신진자동차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번째 줄: 2번째 줄:
 
[[파일:신진자동차 글자.png|썸네일|300픽셀|'''신진자동차'''(Shinjin)]]
 
[[파일:신진자동차 글자.png|썸네일|300픽셀|'''신진자동차'''(Shinjin)]]
 
[[파일:김창원.jpg|썸네일|200픽셀|'''[[김창원]]'''(金昌源) 전 [[신진그룹]] 회장]]
 
[[파일:김창원.jpg|썸네일|200픽셀|'''[[김창원]]'''(金昌源) 전 [[신진그룹]] 회장]]
[[파일:김제원.jpg|썸네일|200픽셀|'''[[김제원]]'''(金濟源)]]
 
  
'''신진자동차'''<!--신진 자동차-->(Shinjin)는 1955년 설립된 [[신진그룹]]의 자동차 회사로 [[한국GM]]의 전신이다. 외환사정의 악화로 SKD부품수입이 도입금지된 1963년 5월 [[새나라자동차공업㈜]]가 문을 닫고 경기도 부평(현재 인천광역시 부평구)에 있던 [[새나라자동차공업㈜]]의 현대식 자동차 조립공장은 1965년 '''[[김창원]]'''의 신진공업으로 소유주가 넘어가게 되었다. 이후 신진자동차로 사명을 바꾸고 일본 [[토요타]] 자동차와 제휴해 자동차를 생산하기 시작하려고 했으나 토요타가 1972년 주4원칙을 따라 한국에서 철수하면서 계획은 공중분해되고 GM과 제휴하였다. 신진자동차는 제너럴 모터스(GM)과 합작으로 GM코리아를 설립했다. GM코리아는 1972년 '쉐보레'와 '레코드'를 양산하였고, 1976년 한국측 지분을 산업은행이 인수하여 '''새한자동차'''로 회사명을 바꾸고 다시 1978년 산업은행의 보유지분을 [[대우그룹]]에 넘김으로써 대우자동차(현재 GM대우)가 출발하게 되었다. 그러나 신진자동차는 ㈜거화로 바꾸고 쌍용 코란도를 1983년 처음 내놓고 생산하였으나, 회사 내부 갈등으로 웃지 못할 흑자도산으로 문을 닫으며 쌍용 코란도를 동아자동차(現 쌍용자동차)로 넘기는 계기를 맞았다.
+
'''신진자동차'''(Shinjin)는 1955년 설립된 [[신진그룹]]의 자동차 회사로 [[한국GM]]의 전신이다. 외환사정의 악화로 SKD부품수입이 도입금지된 1963년 5월 [[새나라자동차]]가 문을 닫고 경기도 부평(현재 인천광역시 부평구)에 있던 새나라자동차의 현대식 자동차 조립공장은 1965년 '''[[김창원]]'''의 신진공업으로 소유주가 넘어가게 되었다. 이후 신진자동차로 사명을 바꾸고 일본 [[토요타]] 자동차와 제휴해 자동차를 생산하기 시작하려고 했으나 토요타가 1972년 주4원칙을 따라 한국에서 철수하면서 계획은 공중분해되고 GM과 제휴하였다. 신진자동차는 제너럴 모터스(GM)과 합작으로 GM코리아를 설립했다. GM코리아는 1972년 '쉐보레'와 '레코드'를 양산하였고, 1976년 한국측 지분을 산업은행이 인수하여 '''새한자동차'''로 회사명을 바꾸고 다시 1978년 산업은행의 보유지분을 [[대우그룹]]에 넘김으로써 대우자동차(현재 GM대우)가 출발하게 되었다. 그러나 신진자동차는 ㈜거화로 바꾸고 쌍용 코란도를 1983년 처음 내놓고 생산하였으나, 회사 내부 갈등으로 웃지 못할 흑자도산으로 문을 닫으며 쌍용 코란도를 동아자동차(現 쌍용자동차)로 넘기는 계기를 맞았다.
  
 
== 개요 ==
 
== 개요 ==
19번째 줄: 18번째 줄:
  
 
=== 새나라자동차 등 인수 ===
 
=== 새나라자동차 등 인수 ===
1962년 8월에 재일교포 박노정은 경기도 부평(현재 인천광역시 부평구)에 연간 6천대의 생산능력을 갖춘 [[새나라자동차공업㈜]]을 설립하고 일본 닛산의 블루버드 모델을 SKD(Semi Knock Down : 반제품 형태로 들여와 조립 생산하는 방식)으로 들여와 '새나라호'라는 이름으로 판매하였다. 새나라자동차공업㈜는 설립과정과 닛산 [[블루버드]]의 수입 판매에 관련하여 당시 정부의 특혜시비 의혹에 휘말리며 (자동차 등 4대 의혹사건) 1963년 7월에 [[한일은행]]의 관리 하에 들어가게 되었다.
+
1962년 8월에 재일교포 박노정은 경기도 부평(현재 인천광역시 부평구)에 연간 6천대의 생산능력을 갖춘 새나라자동차를 설립하고 일본 닛산의 블루버드 모델을 SKD(Semi Knock Down : 반제품 형태로 들여와 조립 생산하는 방식)으로 들여와 '새나라호'라는 이름으로 판매하였다. 새나라자동차는 설립과정과 블루버드의 수입 판매에 관련하여 당시 정부의 특혜시비 의혹에 휘말리며 (자동차등 4대의혹사건) 1963년 7월에 한일은행의 관리 하에 들어가게 되었다.
  
1963년에 미군 지프 폐차 부품을 이용해서 새나라 자동차의 닛산 블루버드 외형을 모방하여 만든 '신성호'라는 세단은 신진자동차 최초의 승용차였으나 재생부품을 사용하다 보니 조악한 품질과 새나라자동차보다 비싼 가격으로 판매가 매우 부진했다. 결국 300대를 판매하고 생산을 중단하였다.
+
1963년에 미군 지프 폐차 부품을 이용해서 새나라 자동차의 닛산 블루버드 외형을 모방하여 만든 '신성호'라는 세단은 신진자동차 최초의 승용차였으나 재생부품을 사용하다보니 조악한 품질과 새나라자동차보다 비싼 가격으로 판매가 매우 부진했다. 결구 300대를 판매하고 생산을 중단하였다.
  
1965년 [[새나라자동차공업㈜]]을 인수한 신진공업은 이듬해 상호를 '''신진자동차공업주식회사'''로 변경하고 일본 토요타 자동차와 기술제휴로 부평공장에서 '코로나'(1966년)를 생산하였다. 코로나는 당시 승용차의 대명사로 불리며 1972년까지 4만4천248대가 생산되는 인기를 누렸다. 차 값은 83만 7,000원으로 당시 대통령 월급이 7만 8,000원, 쇠고기 한 근 200원, 택시 기본요금 60원 다방커피 40원이던 것과 비교하면 얼마나 비쌌는지 알 수 있다. 그럼에도 디자인이 예쁘고 한국의 도로사정에 잘 맞는 자동차로 부각되면서 국내 승용차 시장을 싹쓸이했다. 그후 신진자동차는 토요타자동차의 자체 개발1호로 유명한 중형차 "크라운" 을 조립, 생산하여 국내 고급차 시장의 문을 열었다. 소형차 "코로나"를 최고의 차로 알고 있던 사람들에게 그보다 차체가 크고 고급스러운 크라운은 큰 화제였다. 특히 1967년의 뉴크라운은 디자인을 네 번이나 바꾼 마지막 모델로 그야말로 부와 신분의 상징이었다. 집 한 채 값이 70 ~ 80 만원 하던 시절에 차 값이 무려 310만원이었다. 디자인이 당시로서는 초현대적이어서 재벌총수, 장관, 국회의원 등의 자가용으로 인기가 높았다. 1967년 5월~1972년 7월까지 총 3,840대가 생산되었다.<ref>홍익희 세종대 교수, 〈[http://pub.chosun.com/client/news/viw.asp?cate=C03&nNewsNumb=20161021608&nidx=21609 억척으로 엮어낸 자동차산업(1)...시발, 새나라, 신진 자동차]〉, 《조선펍》, 2016-10-07</ref>
+
1965년 새나라자동차를 인수한 신진공업은 이듬해 상호를 '''신진자동차공업주식회사'''로 변경하고 일본 토요타 자동차와 기술제휴로 부평공장에서 '코로나'(1966년)를 생산하였다. 코로나는 당시 승용차의 대명사로 불리며 1972년까지 4만4천248대가 생산되는 인기를 누렸다. 차 값은 83만 7,000원으로 당시 대통령 월급이 7만 8,000원, 쇠고기 한 근 200원, 택시 기본요금 60원 다방커피 40원이던 것과 비교하면 얼마나 비쌌는지 알 수 있다. 그럼에도 디자인이 예쁘고 한국의 도로사정에 잘 맞는 자동차로 부각되면서 국내 승용차 시장을 싹쓸이했다. 그후 신진자동차는 토요타자동차의 자체 개발1호로 유명한 중형차 "크라운" 을 조립, 생산하여 국내 고급차 시장의 문을 열었다. 소형차 "코로나"를 최고의 차로 알고 있던 사람들에게 그보다 차체가 크고 고급스러운 크라운은 큰 화제였다. 특히 1967년의 뉴크라운은 디자인을 네 번이나 바꾼 마지막 모델로 그야말로 부와 신분의 상징이었다. 집 한 채 값이 70 ~ 80 만원 하던 시절에 차 값이 무려 310만원이었다. 디자인이 당시로서는 초현대적이어서 재벌총수, 장관, 국회의원 등의 자가용으로 인기가 높았다. 1967년 5월~1972년 7월까지 총 3,840대가 생산되었다.<ref>홍익희 세종대 교수, 〈[http://pub.chosun.com/client/news/viw.asp?cate=C03&nNewsNumb=20161021608&nidx=21609 억척으로 엮어낸 자동차산업(1)...시발, 새나라, 신진 자동차]〉, 《조선펍》, 2016-10-07</ref>
  
 
1966년에 일본 토요타 자동차와 기술제휴로 만든 FB100LK 가솔린 버스는 폐차 재생부품이 아닌 규격화된 신품 부품만을 사용하여 만든 국내 최초의 대량 생산 기성품 버스로 1960년대를 대표하는 시내버스로 유명했고, 1968년에 내놓은 DB102LC 디젤 버스는 본격적으로 국내에 디젤엔진 버스 시대를 개막하면서 버스 = 디젤엔진 공식을 성립시키며 1970년대 초반에 가장 흔한 버스 중에 하나였다. 버스 이외에도 토요타, 히노자동차와의 기술제휴로 중대형 트럭도 만드는 등 그야말로 한때나마 대한민국 자동차 시장을 싹쓸이하던 회사였다.
 
1966년에 일본 토요타 자동차와 기술제휴로 만든 FB100LK 가솔린 버스는 폐차 재생부품이 아닌 규격화된 신품 부품만을 사용하여 만든 국내 최초의 대량 생산 기성품 버스로 1960년대를 대표하는 시내버스로 유명했고, 1968년에 내놓은 DB102LC 디젤 버스는 본격적으로 국내에 디젤엔진 버스 시대를 개막하면서 버스 = 디젤엔진 공식을 성립시키며 1970년대 초반에 가장 흔한 버스 중에 하나였다. 버스 이외에도 토요타, 히노자동차와의 기술제휴로 중대형 트럭도 만드는 등 그야말로 한때나마 대한민국 자동차 시장을 싹쓸이하던 회사였다.
95번째 줄: 94번째 줄:
 
* [[김창원]]
 
* [[김창원]]
 
* [[시발]]
 
* [[시발]]
* [[새나라자동차공업㈜]]
+
* [[새나라자동차]]
 
* [[새한자동차]]
 
* [[새한자동차]]
  
 
{{자동차 역사|검토 필요}}
 
{{자동차 역사|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