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팔트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번째 줄: 2번째 줄:
  
 
==개요==
 
==개요==
아스팔트는 천연의 [[석탄]] 또는 [[석유]]에서 산출되는 검정 혹은 갈색의 점성 액체 또는 점탄성 고체로서, 분자량이큰 탄화수소 및 이의 유도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역청질 물질이다. 석유계 아스팔트는 이들이 갖고 있는 독특한 물리 화학적 성질로 인하여 수 세기동안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응용되어 왔다. 아스팔트의 주성분은 탄화수소화합물이며 소량의 헤테로고리 화합물들이 포함되어 있고, 극히 소량의 금속들이 카르복실산염, 포르피린 등과의 착염 형태, 혹은 산화물형태로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상세 원자 조성은 원유의 원산지, 그리고 후처리 공정에 따라서 다르다. <ref>민경의, 정한모, 〈세미-브로잉 공정에서 석유 아스팔트의 구조, 물성 변화〉, 《한국석유공업(주) 기술연구소》,  2011-11-07</ref>
+
아스팔트는 천연의 [[석탄]] 또는 [[석유]]에서 산출되는 검정 혹은 갈색의 점성 액체 또는 점탄성 고체로서, 분자량이큰 탄화수소 및 이의 유도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역청질 물질이다. 석유계 아스팔트는 이들이 갖고 있는 독특한 물리 화학적 성질로 인하여 수 세기동안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응용되어 왔다. 아스팔트의 주성분은 탄화수소화합물이며, S, N, O 등의 관능기를 갖는 소량의 헤테로고리 화합물들이 포함되어 있고, 극히 소량의 금속들이 카르복실산염, 포르피린 등과의 착염 형태, 혹은 산화물형태로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상세 원자 조성은 원유의 원산지, 그리고 후처리 공정에 따라서 다르다. <ref>민경의, 정한모, 〈[세미-브로잉 공정에서 석유 아스팔트의 구조, 물성 변화]〉, 《한국석유공업(주) 기술연구소》,  2011-11-07</ref>
  
 
==역사==
 
==역사==
아스팔트는 진리라는 뜻을 지닌 헬라어의 '아스팔레이라'라는 단어에서 유래되었는데 그 단어의 의미는 굳건함, 확실함, 안전이다. 유전이 있는 지대에는 석기 시대부터 아스팔트를 사용한 유물이 발굴됬다. 성경에도 아스팔트가 등장한다. 노아는 방주의 방수 도료로 아스팔트를 사용했고 바벨탑의 벽돌 사이에도 아스팔트를 발랐다는 구절이 있다. 르네상스 시대 이후 아스팔트는 열에 녹고 접착성이 강한데다 방수가 뛰어난 특징이 있어 건축자재로서 사용됐다.<ref>김무연 기자,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338246628922640&mediaCodeNo=257&OutLnkChk=Y (위대한 생각)②현대 도로의 대명사, 아스팔트의 앞날은]〉, 《이데일리》,  2021-01-09</ref> 하지만 아스팔트 포장의 기원은 락 아스팔트의 발견과 그의 의용으로부터 시작되었다. 1712년 스위스 의사인 다이리니스 박사에 의해 락 아스팔트가 발견되었다. 그 계기로 유럽 각지에서 발견된 락 아스팔트는 포장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목적에 이용되게 되었다. 가열하므로써 유동성을 띠고, 상온으로 되돌아오면 단단해지는 동시에 "풀"과 같은 역할을 하는 아스팔트는 당시로서 귀중한 것이었다. 아스팔트를 포장에 대량으로 사용한 것은 1834년, 파리의 가로 포장 사업이었다. 레온 말로는 이 락 아스팔트를 분쇄, 가열하여 현재의 시트 아스팔트와 같은 포장을 파리의 시내에 1845년에 시공을 하였다. 이것은 근대 가열포장의 시초이다. 이어서 1869년에는 델라노에 의해 영국에 소개되었고 런던의 시내의 도로 포장에도 이용되었다. 당시 사용된 락 아스팔트는 석회암에 6%~15%의 아스팔트가 들어있는 것으로 포장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이것을 잘게 분쇄하고 가열하여 포설, 전압하여 사용하였다. 1817년에는 프랑스에서 말이 이끄는 롤러가 출현하였고, 스팀롤러를 이용하기 시작한 것은 1859년의 일이다. 1838년 미국에 처음으로 락 아스팔트가 수입되었고 그 일로 뉴욕에서 23.400㎡가 락 아스팔트로 포장이 시공되었다. 1870년에는 벨지움의 화학자인 데스메트가 뉴욕시의 시청앞 가로의 포장을 시공하였다. 뉴욕시에서의 포장은 모래, 석회성분 및 트리니데드의 레이크 아스팔트를 사용한 포장이고 이것은 1870년 특허공법으로 되었다. 이것이 레이크 아스팔트를 처음으로 사용하기 시작한 것이며, 이것이 혼합물의 배합을 인위적으로 실시한 포장의 최초의 일이다. 19세기의 락 아스팔트 포장은 1830년대 부터 1980년까지 계속된다. 하지만 16세기말 이미 발견되었던 레이크 아스팔트의 이용 가치가 확인됨 동시에 석유 잔사유의 출현으로 서서히 락 아스팔트의 사용은 줄어들게 되었고 20세기 초 석유 아스팔트의 이용에 이르기까지 레이크 아스팔트의 시대가 계속되었다. 레이크 아스팔트 시대가 되면서 인위적으로 골재의 배합과 아스팔트의 첨가가 필요하게 되었고, 배합설계가 실행되었다.<ref>크레넷, 〈[http://gussfix.com/26/?q=YToy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zOjQ6InBhZ2UiO2k6MTt9&bmode=view&idx=1986212&t=board 아스팔트의 역사2: 락 아스팔트]〉, 《구스픽스 공식홈페이지》,  2021-06-10</ref><ref>크레넷, 〈[http://gussfix.com/26/?q=YToy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zOjQ6InBhZ2UiO2k6MTt9&bmode=view&idx=1986212&t=board 아스팔트의 역사3: 레이크 아스팔트 ]〉, 《구스픽스 공식홈페이지》,  2021-06-10</ref><ref>크레넷, 〈[http://gussfix.com/26/?q=YToy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zOjQ6InBhZ2UiO2k6MTt9&bmode=view&idx=1986212&t=board 아스팔트의 역사1: 아스팔트의 유래 ]〉, 《구스픽스 공식홈페이지》,  2021-06-10</ref>
+
아스팔트는 진리라는 뜻을 지닌 헬라어의 '아스팔레이라'라는 단어에서 유래되었는데 그 단어의 의미는 굳건함, 확실함, 안전이다. 유전이 있는 지대에는 석기 시대부터 아스팔트를 사용한 유물이 발굴됬다. 성경에도 아스팔트가 등장한다. 노아는 방주의 방수 도료로 아스팔트를 사용했고 바벨탑의 벽돌 사이에도 아스팔트를 발랐다는 구절이 있다. 르네상스 시대 이후 아스팔트는 열에 녹고 접착성이 강한데다 방수가 뛰어난 특징이 있어 건축자재로서 사용됐다.<ref>김무연 기자,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338246628922640&mediaCodeNo=257&OutLnkChk=Y [위대한 생각]②현대 도로의 대명사, 아스팔트의 앞날은]〉, 《이데일리》,  2021-01-09</ref> 하지만 아스팔트 포장의 기원은 락 아스팔트의 발견과 그의 의용으로부터 시작되었다. 1712년 스위스 의사인 다이리니스 박사에 의해 락 아스팔트가 발견되었다. 그 계기로 유럽 각지에서 발견된 락 아스팔트는 포장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목적에 이용되게 되었다. 가열하므로써 유동성을 띠고, 상온으로 되돌아오면 단단해지는 동시에 "풀"과 같은 역할을 하는 아스팔트는 당시로서 귀중한 것이었다. 아스팔트를 포장에 대량으로 사용한 것은 1834년, 파리의 가로 포장 사업이었다. 레온 말로는 이 락 아스팔트를 분쇄, 가열하여 현재의 시트 아스팔트와 같은 포장을 파리의 시내에 1845년에 시공을 하였다. 이것은 근대 가열포장의 시초이다. 이어서 1869년에는 델라노에 의해 영국에 소개되었고 런던의 시내의 도로 포장에도 이용되었다. 당시 사용된 락 아스팔트는 석회암에 6%~15%의 아스팔트가 들어있는 것으로 포장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이것을 잘게 분쇄하고 가열하여 포설, 전압하여 사용하였다. 1817년에는 프랑스에서 말이 이끄는 롤러가 출현하였고, 스팀롤러를 이용하기 시작한 것은 1859년의 일이다. 1838년 미국에 처음으로 락 아스팔트가 수입되었고 그 일로 뉴욕에서 23.400㎡가 락 아스팔트로 포장이 시공되었다. 1870년에는 벨지움의 화학자인 데스메트가 뉴욕시의 시청앞 가로의 포장을 시공하였다. 뉴욕시에서의 포장은 모래, 석회성분 및 트리니데드의 레이크 아스팔트를 사용한 포장이고 이것은 1870년 특허공법으로 되었다. 이것이 레이크 아스팔트를 처음으로 사용하기 시작한 것이며, 이것이 혼합물의 배합을 인위적으로 실시한 포장의 최초의 일이다. 19세기의 락 아스팔트 포장은 1830년대 부터 1980년까지 계속된다. 하지만 16세기말 이미 발견되었던 레이크 아스팔트의 이용 가치가 확인됨 동시에 석유 잔사유의 출현으로 서서히 락 아스팔트의 사용은 줄어들게 되었고 20세기 초 석유 아스팔트의 이용에 이르기까지 레이크 아스팔트의 시대가 계속되었다. 레이크 아스팔트 시대가 되면서 인위적으로 골재의 배합과 아스팔트의 첨가가 필요하게 되었고, 배합설계가 실행되었다.<ref>크레넷, 〈[http://gussfix.com/26/?q=YToy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zOjQ6InBhZ2UiO2k6MTt9&bmode=view&idx=1986212&t=board 아스팔트의 역사2: 락 아스팔트]〉, 《구스픽스 공식홈페이지》,  2021-06-10</ref><ref>크레넷, 〈[http://gussfix.com/26/?q=YToy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zOjQ6InBhZ2UiO2k6MTt9&bmode=view&idx=1986212&t=board 아스팔트의 역사3: 레이크 아스팔트 ]〉, 《구스픽스 공식홈페이지》,  2021-06-10</ref><ref>크레넷, 〈[http://gussfix.com/26/?q=YToy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zOjQ6InBhZ2UiO2k6MTt9&bmode=view&idx=1986212&t=board 아스팔트의 역사1: 아스팔트의 유래 ]〉, 《구스픽스 공식홈페이지》,  2021-06-10</ref>
  
 
==특징==
 
==특징==
27번째 줄: 27번째 줄: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 원유를 상압증류탑에서 증류시킨 후 상압잔 사유를 다시 감압증류하여 얻은 최종 잔류분에는 분해되지 않는 역청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것을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라고 하며 다양한 석유계 아스팔트 원료로 사용된다.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 원유를 상압증류탑에서 증류시킨 후 상압잔 사유를 다시 감압증류하여 얻은 최종 잔류분에는 분해되지 않는 역청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것을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라고 하며 다양한 석유계 아스팔트 원료로 사용된다.
  
*'''아스팔트 시멘트''' : 도로포장용으로 사용되는 아스팔트를 말하며 감압증류공정에서 운전조건을 조정하여 친입도 및 기타물성을 조절하여 생산한다. 현재 국내에서는 일반 아스팔트 AP-3, AP-5가 사용되고 있는데, 종래 AP-3가 시장의 주종을 이루고 있었던데 비해 최근에는 혹서기 도로파손 피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고온에서의 포장성능이 상대적으로 우수하다고 평가되는 AP-5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
*'''아스팔트 시멘트''' : 도로포장용으로 사용되는 아스팔트를 말하며 감압증류공정에서 운전조건을 조정하여 친입도 및 기타물성을 조절하여 생산한다. 현재 국내에서는 일반 아스팔트 AP-3, AP-5가 사용되고 있는데, 종래 AP-3가 시장의 주종을 이루고 있엇던데 비해 최근에는 혹서기 도로파손 피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고온에서의 포장성능이 상대적으로 우수하다고 평가되는 AP-5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유화 아스팔트''' : 아스팔트를 미세한 입자로 만들어 물에 분산시킨 것을 말하며, 물속에서 아스팔트 상분리 현상이 일어나지 않고 분산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유화제가 필요하다. 유화제가 양전하로 대전되어 있으면 양이온계 유화아스팔트, 음전하로 대전되어 있으면 음이온계 유화아스팔트라고 하는데, 국내 생산제품들은 대부분 양이온계 유화 아스팔트이다.
 
*'''유화 아스팔트''' : 아스팔트를 미세한 입자로 만들어 물에 분산시킨 것을 말하며, 물속에서 아스팔트 상분리 현상이 일어나지 않고 분산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유화제가 필요하다. 유화제가 양전하로 대전되어 있으면 양이온계 유화아스팔트, 음전하로 대전되어 있으면 음이온계 유화아스팔트라고 하는데, 국내 생산제품들은 대부분 양이온계 유화 아스팔트이다.
86번째 줄: 86번째 줄:
 
|align=center rowspan="2" |중간층용
 
|align=center rowspan="2" |중간층용
 
|align=center|중간층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align=center|중간층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align=center|중간층에
+
|align=center|중간층에 사용
 
|align=center|중간층용 아스팔트 포장에 주로 사용됨
 
|align=center|중간층용 아스팔트 포장에 주로 사용됨
 
|-
 
|-
 
|align=center|내유동 아스팔트 콘크리트
 
|align=center|내유동 아스팔트 콘크리트
 
|align=center|표층 및 중간층에 사용
 
|align=center|표층 및 중간층에 사용
|align=center|중간층용 혼합물과 비슷한 입도이며, 중간층에 사용할 수 있음
+
|align=center|MC-1과 비슷한 입도이며, 중간층에 사용할 수 있음
 
|-
 
|-
 
|align=center  rowspan="3"|기층용
 
|align=center  rowspan="3"|기층용
116번째 줄: 116번째 줄:
 
*최대 골재크기가 작거나 잔골재율이 높을수록 시공시 아스팔트 혼합물의 재료분리가 적어지고, 균열저항성이 증가되지만, 소성변형에 대한 저항성이 낮아지고, 최적 아스팔트 함량이 높아진다.
 
*최대 골재크기가 작거나 잔골재율이 높을수록 시공시 아스팔트 혼합물의 재료분리가 적어지고, 균열저항성이 증가되지만, 소성변형에 대한 저항성이 낮아지고, 최적 아스팔트 함량이 높아진다.
  
*따라서, [[고속국도]]나 [[일반국도]]와 같이 중교통량이 많은 도로에는 최대 골재크기를 크게하고, 지방도와 같이 중교통량이 적은 도로는 최대 골재크기를 작게 하는 것이 장기적인 공용성 유지에 유리하다.
+
*따라서, 고속국도나 일반국도와 같이 중교통량이 많은 도로에는 최대 골재크기를 크게하고, 지방도와 같이 중교통량이 적은 도로는 최대 골재크기를 작게 하는 것이 장기적인 공용성 유지에 유리하다.
  
*일반적으로 [[트럭]] 등의 [[대형차]] 교통량이 많은 도로의 표층에는 잔골재율이 적은 내유동성을 갖는 아스팔트 혼합물이 적합하며, 교통량이 적은 도로에는 유연성과
+
*일반적으로 트럭 등의 대형차 교통량이 많은 도로의 표층에는 잔골재율이 적은 내유동성을 갖는 아스팔트 혼합물이 적합하며, 교통량이 적은 도로에는 유연성과
  
*내구성이 있는 아스팔트 혼합물을 사용하고, 겨울철에 [[타이]]어 체인 등으로 표면이 마모될 수 있는 적설 지역의 도로는 잔골재율이 높은 내마모성을 중시한 아스팔트 혼합물을 적용한다.<ref>〈아스팔트 혼합물 생산 및 시공 지침〉, 《국토교통부》</ref>
+
*내구성이 있는 아스팔트 혼합물을 사용하고, 겨울철에 타이어 체인 등으로 표면이 마모될 수 있는 적설 지역의 도로는 잔골재율이 높은 내마모성을 중시한 아스팔트 혼합물을 적용한다.<ref>〈아스팔트 혼합물 생산 및 시공 지침〉, 《국토교통부》</ref>
  
 
{{각주}}
 
{{각주}}
 
 
==참고자료==
 
==참고자료==
*민경의, 정한모, 〈세미-브로잉 공정에서 석유 아스팔트의 구조, 물성 변화〉, 《한국석유공업(주) 기술연구소》,  2011-11-07
+
*김무연 기자,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338246628922640&mediaCodeNo=257&OutLnkChk=Y [위대한 생각]②현대 도로의 대명사, 아스팔트의 앞날은]〉, 《이데일리》,  2021-01-09
*김무연 기자,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338246628922640&mediaCodeNo=257&OutLnkChk=Y (위대한 생각)②현대 도로의 대명사, 아스팔트의 앞날은]〉, 《이데일리》,  2021-01-09
+
*민경의, 정한모, 〈[세미-브로잉 공정에서 석유 아스팔트의 구조, 물성 변화]〉, 《한국석유공업(주) 기술연구소》,  2011-11-07
 
*구스픽스 공식홈페이지 - http://gussfix.com/
 
*구스픽스 공식홈페이지 - http://gussfix.com/
 
*재동이, 〈[https://www.mk.co.kr/news/it/view/2021/01/13329/ 쏘카, 라이드플럭스와 자율주행 확대…연내 제주 세종 등지로 확대]〉, 《네이버 블로그》,  2004-05-13
 
*재동이, 〈[https://www.mk.co.kr/news/it/view/2021/01/13329/ 쏘카, 라이드플럭스와 자율주행 확대…연내 제주 세종 등지로 확대]〉, 《네이버 블로그》,  2004-05-13
132번째 줄: 131번째 줄:
 
*〈아스팔트 혼합물 생산 및 시공 지침〉, 《국토교통부》
 
*〈아스팔트 혼합물 생산 및 시공 지침〉, 《국토교통부》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도로]]
 
* [[도로]]
 
* [[포장도로]]
 
* [[포장도로]]
140번째 줄: 139번째 줄:
 
* [[콘크리트 도로]]
 
* [[콘크리트 도로]]
  
{{수지|검토 필요}}
+
{{도로|검토 필요}}
{{도로공사}}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