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콘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다른뜻|아이콘 이미지}}
 
{{다른뜻|아이콘 이미지}}
[[파일:아이콘 로고.png|썸네일|200픽셀|'''아이콘'''(ICON)]]
+
[[파일:아이콘 로고.png|썸네일|200픽셀|'''아이콘'''(ICON) 로고]]
[[파일:아이콘 글자.png|썸네일|300픽셀|'''아이콘'''(ICON)]]
+
[[파일:아이콘 글자.png|썸네일|300픽셀|'''아이콘'''(ICON) 로고와 글자]]
[[파일:㈜파라메타 글자.png|썸네일|300픽셀|'''[[㈜파라메타]]'''(PARAMETA)]]
 
  
'''아이콘'''(ICON)은 서로 다른 [[블록체인]]을 연결하는 [[암호화폐]]이다. [[㈜파라메타]]<!--파라메타-->(구 ㈜아이콘루프)<!--아이콘루프, 더루프-->(대표이사 [[김종협]])가 기술 개발에 참여했다. 아이콘은 [[인터체인]] 알고리즘을 사용한 대표적인 암호화폐이다. [[인터체인]](interchain)을 사용하면 A라는 암호화폐로만 구매할 수 있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인터체인으로 연결된 B라는 다른 암호화폐로도 구매할 수 있다. 인터체인에 속하는 유사한 암호화폐로 [[아이온]](AION)이 있다. 아이콘의 화폐 단위는 '''ICX'''이다.
+
'''아이콘'''(ICON)은 서로 다른 [[블록체인]]을 연결하는 [[암호화폐]]이다. 한국의 [[이더리움]]이라고 불린다. [[㈜아이콘루프]]<!--아이콘루프, 더루프-->(대표이사 [[김종협]])가 개발했다. 아이콘은 [[인터체인]] 알고리즘을 사용한 대표적인 암호화폐이다. [[인터체인]](interchain)을 사용하면 A라는 암호화폐로만 구매할 수 있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인터체인으로 연결된 B라는 다른 암호화폐로도 구매할 수 있다. 인터체인에 속하는 유사한 암호화폐로 [[아이온]](AION)이 있다. 아이콘의 화폐 단위는 '''ICX'''이다.
  
 
== 개요 ==
 
== 개요 ==
2017년 10월 론칭한 아이콘은 단기간에 암호화폐 상위권에 도달하며, 2018년 8월 기준 암호화폐 시가총액 31위에 오른 암호화폐이다. 아이콘은 '한국의 [[이더리움]]'이라고 불리기도 했다. 아이콘은 미국 [[타임즈]]와 [[포브스]]에서도 많은 찬사를 받았다. 아이콘(ICON)은 한국에서 탄생하여 메이저 코인 반열에 오른 첫 사례이다. 2017년부터 2018년 상반기 한국 판매량 1위를 차지한 책 《[[블록체인 혁명]]》의 저자인 [[돈 탭스콧]](Don Tapscott), [[코인실리움]]의 [[에디 트라비아]](Eddy Travia) 등이 아이콘의 [[어드바이저]]이다.<ref>씽커스 50(Thinkers 50)에 따르면, [[돈 탭스콧]](Don Tapscott)은 세계에서 네 번째로 영향력 있는 경영 사상가로 선정되었다.</ref>
+
[[파일:김종협.jpg|썸네일|200픽셀|'''[[김종협]]''' [[㈜아이콘루프]] 대표이사]]
 +
 
 +
아이콘(ICON)은 한국에서 탄생하여 메이저 코인 반열에 오른 첫 사례이다. 2017년 10월 론칭한 아이콘은 단기간에 암호화폐 상위권에 도달하며, 2018년 8월 기준 암호화폐 시가총액 31위에 오른 한국을 대표하는 암호화폐이다. [[타임즈]]와 [[포브스]]에서도 많은 찬사를 받으며 2017년부터 2018년 상반기 한국 판매량 1위를 차지한 책 《블록체인 혁명》의 저자인 [[돈 탭스콧]](Don Tapscott)아이콘의 [[어드바이저]]이다.<ref>씽커스 50(Thinkers 50)에 따르면, [[돈 탭스콧]](Don Tapscott)은 세계에서 네 번째로 영향력 있는 경영 사상가로 선정되었다.</ref>
  
 
현재 블록체인 기술은 보험, 은행, 병원, 학교, 기업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면서 각각 다른 네트워크를 이용하고 있다. 아이콘은 이들 각각의 네트워크를 [[루프체인]](Loopchain) 기술로 연결함으로 세상에서 가장 큰 분산화 네트워크를 만들기 위해 기획되었다. 아이콘은 초연결성(Hyper connectivity), 즉 고도의 연결성을 표방하여 공공기관, 기업, 대학교, 금융, 병원 등 다양한 커뮤니티를 국경과 업종을 넘나들면서 연결한다. 이 거대한 커뮤니티는 거래 수수료 없이 빠르고 즉각적인 송금 및 기타 여러 데이터를 제공하는 유기체이자 생태계라 할 수 있다. 이렇듯 아이콘은 금융, 의료, 공공분야, 전자상거래(e-commerce) 등 블록체인 간 국경이 사라지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 블록체인 아이디(ID)로부터 결제, 거래 등 필요에 따라 누구나 이 플랫폼에서 [[디앱]](DApp)을 만들 수 있다.
 
현재 블록체인 기술은 보험, 은행, 병원, 학교, 기업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면서 각각 다른 네트워크를 이용하고 있다. 아이콘은 이들 각각의 네트워크를 [[루프체인]](Loopchain) 기술로 연결함으로 세상에서 가장 큰 분산화 네트워크를 만들기 위해 기획되었다. 아이콘은 초연결성(Hyper connectivity), 즉 고도의 연결성을 표방하여 공공기관, 기업, 대학교, 금융, 병원 등 다양한 커뮤니티를 국경과 업종을 넘나들면서 연결한다. 이 거대한 커뮤니티는 거래 수수료 없이 빠르고 즉각적인 송금 및 기타 여러 데이터를 제공하는 유기체이자 생태계라 할 수 있다. 이렇듯 아이콘은 금융, 의료, 공공분야, 전자상거래(e-commerce) 등 블록체인 간 국경이 사라지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 블록체인 아이디(ID)로부터 결제, 거래 등 필요에 따라 누구나 이 플랫폼에서 [[디앱]](DApp)을 만들 수 있다.
  
 
아이콘은 미국 최초의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전문 투자업체인 [[판테라캐피탈]](Pantera Capital)의 투자를 받았다.
 
아이콘은 미국 최초의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전문 투자업체인 [[판테라캐피탈]](Pantera Capital)의 투자를 받았다.
 +
 +
== 구성 집단 ==
 +
 +
아이콘 네트워크는 총 5개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커뮤니티]], 커뮤니티 노드, 커뮤니티 대표, 아이콘 리퍼블릭, 시티즌 노드이다.
 +
 +
* '''커뮤니티'''(community) : 아이콘 네트워크의 기본 단위이다. 금융, 정부, 학교, 병원, 전자상거래(e-commerce),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이 각각의 커뮤니티가 될 수 있다. 각 커뮤니티는 각자의 특성 및 상황에 따라 노드의 구성 및 규모를 달리한다.
 +
* '''커뮤니티 노드'''(C-Node) : 커뮤니티를 이루는 구성단위로서, 커뮤니티 내의 합의 또는 [[거버넌스]]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친다. 커뮤니티 노드는 개인 또는 기관 모두 가능하며, 노드에 대한 정책은 각 커뮤니티에서 결정한다.
 +
* '''커뮤니티 대표'''(C-Rep) : 각 커뮤니티의 커뮤니티 노드들은 자신의 커뮤니티를 대표해 줄 커뮤니티 대표(C-Rep)를 선출한다. 커뮤니티 대표는 커뮤니티를 대표하는 단위이며, 동시에 아이콘 리퍼블릭의 거버넌스를 구성하는 단위로서, 아이콘 리퍼블릭 상에서 발생한 거래에 대한 검증과 거버넌스에 대한 투표권을 가진다. 커뮤니티 대표는 각 커뮤니티 내부의 의사결정에 따라 선정되며, 각 거버넌스의 상황 및 목적에 따라 커뮤니티 대표는 변경 가능하다. 또한, 커뮤니티 대표는 아이콘 리퍼블릭을 유지하고 활성화하는 대가로 보상을 받게 된다.
 +
* '''아이콘 리퍼블릭'''(ICON Republic) : 각 커뮤니티를 대표하는 커뮤니티 대표(C-Rep)와 시티즌 노드(Citizen Node)들로 구성된다. 대표들이 모인 국회와 같은 아이콘 리퍼블릭의 거버넌스는 커뮤니티 대표의 투표로 결정된다. 아이콘 리퍼블릭은 다양한 종류의 커뮤니티를 연결하는 탈중앙화된 네트워크이다. 아이콘 리퍼블릭은 하나의 커뮤니티에서 다른 커뮤니티로 이동하는 연결통로로서 작동할 뿐, 어떤 규칙이나 법칙을 만드는 곳은 아니다.
 +
* '''시티즌 노드'''(Citizen Node) : 특수 참여자로서 아이콘 플랫폼 위에 올라갈 [[디앱]](DApp)을 만든 사람이다. 그러므로 누구나 루프체인 기반의 디앱 생성을 통해 시티즌 노드로 참여할 수 있다. 다만, 시티즌 노드는 아이콘 리퍼블릭의 거버넌스에 대한 직접 투표 권한은 없고, 거래 생성 권한만을 가진다.<ref name="백서">[https://icon.foundation/resources/whitepaper/ICON-Whitepaper-KO-Draft.pdf "ICON_Whitepaper(KO)_Version 1.0.docx"], ''ICON Foundation'', 2018-01-31</ref>
  
 
== 특징 ==
 
== 특징 ==
23번째 줄: 34번째 줄:
  
 
=== 아이콘코인(ICX) ===
 
=== 아이콘코인(ICX) ===
 +
 
아이콘은 다양한 분야에서 블록체인 사용자들과 커뮤니티를 연결해 주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 이러한 연결을 위해서는 반드시 [[암호화폐]]가 필요하다. 그래서 개발된 것이 아이콘코인(ICX)이다. 아이콘코인은 총 4억개의 발행량을 가지고 있고, 블록체인 아이디(ID)를 발급 받아 안전하게 [[전자서명]]을 할 수 있고, 스마트 계약을 통해서 발급된 블록체인 아이디를 통해 어디서든지 안전하게 통합 인증 및 전자서명을 할 수 있다. 아이콘코인을 활용하면 사용자들이 자산과 권리를 아이콘코인을 통해 행사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점차 다양한 영역에서 네트워크의 역동성이 극대화될 것이다. 기존 화폐는 물론, 부동산·자동차 등의 유형 자산, 특허권, 저작권, 상표권과 같은 무형자산, 투표권이나 시민권과 같은 법적 권리, 심지어는 DNA 분석 데이터나 혈액검사 결과 데이터까지 토큰화되어 이를 거래하거나 공유하는 일이 가능해진다. 뿐만 아니라 업종의 경계가 허물어져 블록체인 기반으로 자동차 1대와 그림 작품 10점의 교환이 가능해지며, [[SNS]]에 올린 글 10개로 보험료를 납부할 수 있는 다양한 사례들도 나오게 될 것이다.
 
아이콘은 다양한 분야에서 블록체인 사용자들과 커뮤니티를 연결해 주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 이러한 연결을 위해서는 반드시 [[암호화폐]]가 필요하다. 그래서 개발된 것이 아이콘코인(ICX)이다. 아이콘코인은 총 4억개의 발행량을 가지고 있고, 블록체인 아이디(ID)를 발급 받아 안전하게 [[전자서명]]을 할 수 있고, 스마트 계약을 통해서 발급된 블록체인 아이디를 통해 어디서든지 안전하게 통합 인증 및 전자서명을 할 수 있다. 아이콘코인을 활용하면 사용자들이 자산과 권리를 아이콘코인을 통해 행사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점차 다양한 영역에서 네트워크의 역동성이 극대화될 것이다. 기존 화폐는 물론, 부동산·자동차 등의 유형 자산, 특허권, 저작권, 상표권과 같은 무형자산, 투표권이나 시민권과 같은 법적 권리, 심지어는 DNA 분석 데이터나 혈액검사 결과 데이터까지 토큰화되어 이를 거래하거나 공유하는 일이 가능해진다. 뿐만 아니라 업종의 경계가 허물어져 블록체인 기반으로 자동차 1대와 그림 작품 10점의 교환이 가능해지며, [[SNS]]에 올린 글 10개로 보험료를 납부할 수 있는 다양한 사례들도 나오게 될 것이다.
  
57번째 줄: 69번째 줄:
 
=== 인공지능 다빈치 ===
 
=== 인공지능 다빈치 ===
 
국적과 업종을 불문하고 블록체인 생태계가 확산되면 [[거버넌스]] 이슈가 발생할 수 있다. 블록체인 플랫폼에 기능을 추가하거나 개선사항 등을 논의할 때도 자칫 개발자들의 논리로만 의사결정하는 구조가 될 우려가 있다. 이는 [[탈중앙화]]를 지향하는 블록체인의 기본 철학과 어긋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아이콘 네트워크에 접목한 기술이 [[인공지능]](AI) [[다빈치]](DAVinCI)이다. 다빈치는 [[㈜아이콘루프]]<!--아이콘루프, 더루프-->의 모기업인 [[㈜데일리금융그룹]]<!--데일리금융그룹--> 산하 금융 기술 개발 기업인 [[㈜데일리인텔리전스]]<!--데일리인텔리전스-->가 개발했다. 향후 다빈치가 블록체인 거버넌스를 관리할 수 있도록 개발 중이다.<ref>김미희 기자, 〈[http://www.fnnews.com/news/201807060956591035 블록체인·암호화폐로 전 세계 금융과 의료를 연결한다]〉, 《파이낸셜뉴스》, 2018-07-08</ref>
 
국적과 업종을 불문하고 블록체인 생태계가 확산되면 [[거버넌스]] 이슈가 발생할 수 있다. 블록체인 플랫폼에 기능을 추가하거나 개선사항 등을 논의할 때도 자칫 개발자들의 논리로만 의사결정하는 구조가 될 우려가 있다. 이는 [[탈중앙화]]를 지향하는 블록체인의 기본 철학과 어긋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아이콘 네트워크에 접목한 기술이 [[인공지능]](AI) [[다빈치]](DAVinCI)이다. 다빈치는 [[㈜아이콘루프]]<!--아이콘루프, 더루프-->의 모기업인 [[㈜데일리금융그룹]]<!--데일리금융그룹--> 산하 금융 기술 개발 기업인 [[㈜데일리인텔리전스]]<!--데일리인텔리전스-->가 개발했다. 향후 다빈치가 블록체인 거버넌스를 관리할 수 있도록 개발 중이다.<ref>김미희 기자, 〈[http://www.fnnews.com/news/201807060956591035 블록체인·암호화폐로 전 세계 금융과 의료를 연결한다]〉, 《파이낸셜뉴스》, 2018-07-08</ref>
 
== 구성 집단 ==
 
아이콘 네트워크는 총 5개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커뮤니티]], 커뮤니티 노드, 커뮤니티 대표, 아이콘 리퍼블릭, 시티즌 노드이다.
 
 
* '''커뮤니티'''(community) : 아이콘 네트워크의 기본 단위이다. 금융, 정부, 학교, 병원, 전자상거래(e-commerce),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이 각각의 커뮤니티가 될 수 있다. 각 커뮤니티는 각자의 특성 및 상황에 따라 노드의 구성 및 규모를 달리한다.
 
* '''커뮤니티 노드'''(C-Node) : 커뮤니티를 이루는 구성단위로서, 커뮤니티 내의 합의 또는 [[거버넌스]]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친다. 커뮤니티 노드는 개인 또는 기관 모두 가능하며, 노드에 대한 정책은 각 커뮤니티에서 결정한다.
 
* '''커뮤니티 대표'''(C-Rep) : 각 커뮤니티의 커뮤니티 노드들은 자신의 커뮤니티를 대표해 줄 커뮤니티 대표(C-Rep)를 선출한다. 커뮤니티 대표는 커뮤니티를 대표하는 단위이며, 동시에 아이콘 리퍼블릭의 거버넌스를 구성하는 단위로서, 아이콘 리퍼블릭 상에서 발생한 거래에 대한 검증과 거버넌스에 대한 투표권을 가진다. 커뮤니티 대표는 각 커뮤니티 내부의 의사결정에 따라 선정되며, 각 거버넌스의 상황 및 목적에 따라 커뮤니티 대표는 변경 가능하다. 또한, 커뮤니티 대표는 아이콘 리퍼블릭을 유지하고 활성화하는 대가로 보상을 받게 된다.
 
* '''아이콘 리퍼블릭'''(ICON Republic) : 각 커뮤니티를 대표하는 커뮤니티 대표(C-Rep)와 시티즌 노드(Citizen Node)들로 구성된다. 대표들이 모인 국회와 같은 아이콘 리퍼블릭의 거버넌스는 커뮤니티 대표의 투표로 결정된다. 아이콘 리퍼블릭은 다양한 종류의 커뮤니티를 연결하는 탈중앙화된 네트워크이다. 아이콘 리퍼블릭은 하나의 커뮤니티에서 다른 커뮤니티로 이동하는 연결통로로서 작동할 뿐, 어떤 규칙이나 법칙을 만드는 곳은 아니다.
 
* '''시티즌 노드'''(Citizen Node) : 특수 참여자로서 아이콘 플랫폼 위에 올라갈 [[디앱]](DApp)을 만든 사람이다. 그러므로 누구나 루프체인 기반의 디앱 생성을 통해 시티즌 노드로 참여할 수 있다. 다만, 시티즌 노드는 아이콘 리퍼블릭의 거버넌스에 대한 직접 투표 권한은 없고, 거래 생성 권한만을 가진다.<ref name="백서">[https://icon.foundation/resources/whitepaper/ICON-Whitepaper-KO-Draft.pdf "ICON_Whitepaper(KO)_Version 1.0.docx"], ''ICON Foundation'', 2018-01-31</ref>
 
  
 
== 활용 ==
 
== 활용 ==
78번째 줄: 81번째 줄:
 
[[유-코인]](U-Coin; University Coin)은 대학생을 주 사용층으로 하는 [[암호화폐]]이다. 대학생 커뮤니티는 그 어떤 세대나 계층보다 가장 먼저 암호화폐를 사용하고 전파하는 [[얼리 어답터]](early adopter)<ref>[[얼리 어답터]](early adopter)란 '일찍'이라는 뜻의 'early'와 '채택하는 사람'이라는 뜻의 'adopter'를 합친 말로서, 최신 제품을 다른 사람들보다 일찍 구입하여 사용해 보는 사람을 말한다. 얼리 어답터는 신제품을 사용해 보고, [[블로그]] 등 [[SNS]]에 사용후기를 올려 여론을 주도할 수 있다.</ref>의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7년 12월 말 [[고려대]], [[포항공대]], [[서강대]] 등과 협업해 대학 내에서 거래할 수 있는 암호화폐인 U-코인을 개발하기도 했다.<ref name="백서"></ref>
 
[[유-코인]](U-Coin; University Coin)은 대학생을 주 사용층으로 하는 [[암호화폐]]이다. 대학생 커뮤니티는 그 어떤 세대나 계층보다 가장 먼저 암호화폐를 사용하고 전파하는 [[얼리 어답터]](early adopter)<ref>[[얼리 어답터]](early adopter)란 '일찍'이라는 뜻의 'early'와 '채택하는 사람'이라는 뜻의 'adopter'를 합친 말로서, 최신 제품을 다른 사람들보다 일찍 구입하여 사용해 보는 사람을 말한다. 얼리 어답터는 신제품을 사용해 보고, [[블로그]] 등 [[SNS]]에 사용후기를 올려 여론을 주도할 수 있다.</ref>의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7년 12월 말 [[고려대]], [[포항공대]], [[서강대]] 등과 협업해 대학 내에서 거래할 수 있는 암호화폐인 U-코인을 개발하기도 했다.<ref name="백서"></ref>
  
== 제휴 ==
+
== 아이콘 기반의 디앱 ==
 +
[[파일:블루웨일 로고.jpg|썸네일|200픽셀|아이콘 플랫폼 기반의 '''[[블루웨일]]'''(Bluewhale)]]
 
[[파일:위블락 로고.jpg|썸네일|200픽셀|아이콘 플랫폼 기반의 '''[[위블락]]'''(WeBloc)]]
 
[[파일:위블락 로고.jpg|썸네일|200픽셀|아이콘 플랫폼 기반의 '''[[위블락]]'''(WeBloc)]]
  
=== 아이콘 기반의 디앱 ===
+
=== 아이콘 디앱 ===
 
아이콘은 플랫폼 코인을 지향하며, 다양한 디앱을 개발하고 지원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아이콘은 플랫폼 코인을 지향하며, 다양한 디앱을 개발하고 지원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썸씽]]'''(Somesing) : 아이콘 플랫폼을 기반으로 운영되는 '모바일 노래방' 서비스 프로젝트이다. 썸씽을 개발한 [[㈜이멜벤처스]]<!--이멜벤처스-->의 대표이사는 [[김희배]]이고, 부대표는 [[윤현근]]이다.
+
* '''[[블루웨일]]'''(Bluewhale) : 아이콘 플랫폼 기반 최초의 디앱은 [[블루웨일]]이다. 블루웨일은 자영업자 등 소상공인을 위한 암호화폐로서, 창시자는 [[이원홍]]이다.
 
* '''[[위블락]]'''(WeBloc) : 블록체인 기반의 광고 대행 서비스 플랫폼이다. 광고 업계에서 오랜 경력을 가진 [[㈜애드포스인사이트]]<!--애드포스인사이트, 애드포스 인사이트-->의 [[홍준]] 대표가 위블락 프로젝트를 책임지고 있다.
 
* '''[[위블락]]'''(WeBloc) : 블록체인 기반의 광고 대행 서비스 플랫폼이다. 광고 업계에서 오랜 경력을 가진 [[㈜애드포스인사이트]]<!--애드포스인사이트, 애드포스 인사이트-->의 [[홍준]] 대표가 위블락 프로젝트를 책임지고 있다.
 
* '''[[스테이지]]'''(Stayge) :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특정 아티스트를 향한 팬들의 활동과 영향력을 객관적으로 기록하고 보상하는 암호화폐이다. 엔터테인먼트 테크 스타트업인 [[스테이지랩스]](Stage Labs)의 [[백명현]] 대표가 개발했다.
 
* '''[[스테이지]]'''(Stayge) :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특정 아티스트를 향한 팬들의 활동과 영향력을 객관적으로 기록하고 보상하는 암호화폐이다. 엔터테인먼트 테크 스타트업인 [[스테이지랩스]](Stage Labs)의 [[백명현]] 대표가 개발했다.
 +
* '''[[메카코인]]'''(Mecacoin) : 아이콘 플랫폼 기반의 카지노 게임용 암호화폐이다.
 
* '''[[디스커버엑스]]'''(DiscoverX) : 블록체인 기반의 여행 플랫폼 위에서 사용자들의 [[여행]] 콘텐츠를 토큰화하기 위한 암호화폐이다.
 
* '''[[디스커버엑스]]'''(DiscoverX) : 블록체인 기반의 여행 플랫폼 위에서 사용자들의 [[여행]] 콘텐츠를 토큰화하기 위한 암호화폐이다.
* '''[[메카코인]]'''(Mecacoin) : 아이콘 플랫폼 기반의 카지노 게임인 [[메카카지노]]에서 사용하는 암호화폐이다.<ref>황치규 기자,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579 아이콘, 블록체인 기반 카지노 프로젝트 메카카지노에 투자]〉, 《더비체인》, 2018-11-29</ref><ref>Platum, 〈[https://platum.kr/archives/111883 아이콘(ICON), 3세대 블록체인 카지노 프로젝트 ‘메카카지노’에 전략적 투자]〉, 《플래텀》, 2018-11-29</ref>
 
 
=== ICX 스테이션 ===
 
아이콘은 글로벌 액셀러레이터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2018년 8월 [[ICX 스테이션]]을 설립했다.<ref>김다운 기자, 〈[http://www.inews24.com/view/1151043 블록체인 업계, 메인넷 출시 앞두고 '디앱 육성' 나서]〉, 《아이뉴스24》, 2019-01-12</ref> 아이콘은 미국 [[샌프란시스코]]와 일본 [[도쿄]]에 'ICX 스테이션'을 설립하고 [[스타트업]]을 지원하고 있으며, [[싱가포르]]에도 사무실을 마련할 계획이다.<ref>특별취재팀,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917140014&type=det&re=zdk 아이콘 "소규모 블록체인 간 연결로 가치 창출"]〉, 《지디넷코리아》, 2018-09-17</ref> ICX 스테이션은 스마트 컨트랙트 감사·법률자문·등의 컨설팅 서비스 업체와 연결, 투자 자금 모금, 아이콘 개발자들의 기술지원, 백서 검토 등 제반 업무를 총괄한다.<ref>임유경 기자, 〈[http://www.zdnet.co.kr/view/?no=20180818104600 아이콘, 액셀러레이터 ICX스테이션 설립]〉, 《지디넷코리아》, 2018-08-18</ref>
 
  
 
=== 디블락 크립토펀드 ===
 
=== 디블락 크립토펀드 ===
 
아이콘루프 측은 다양한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기업에 투자할 목적으로 '''[[디블락]]'''(DeBlock)이라는 [[크립토펀드]]를 만들었다. [[오현석]] 대표가 이끄는 디블락은 앞으로 블록체인 분야에서 3년간 300개 업체를 발굴하고 투자할 계획이며,<ref>박정연 기자, 〈[http://www.decenter.kr/NewsView/1S1ZAJIQHZ/GZ03 오현석 디블락 대표 "암호화폐 거품 빠져도 ICO 시장 사라지지 않는다"]〉, 《디센터》, 2018-07-06</ref> [[스타트업]]에게 필요한 [[액셀러레이터]]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아이콘루프 측은 다양한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기업에 투자할 목적으로 '''[[디블락]]'''(DeBlock)이라는 [[크립토펀드]]를 만들었다. [[오현석]] 대표가 이끄는 디블락은 앞으로 블록체인 분야에서 3년간 300개 업체를 발굴하고 투자할 계획이며,<ref>박정연 기자, 〈[http://www.decenter.kr/NewsView/1S1ZAJIQHZ/GZ03 오현석 디블락 대표 "암호화폐 거품 빠져도 ICO 시장 사라지지 않는다"]〉, 《디센터》, 2018-07-06</ref> [[스타트업]]에게 필요한 [[액셀러레이터]]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 다양한 협력사 ===
+
=== ICX 스테이션 ===
아이콘의 협력사로는 [[판테라캐피탈]](Pantera Capital), Kenetic Capital, Token-as-a-Service, [[코인실리움]](Coinsilium), CM Crypto Capital, MIND FUND, [[해시드]](Hashed), CRYPTO BAZAR, CertiK, Portal Network, Tribe, LayerX, MME, [[코인데스크]](CoinDesk), cryptocoinsnews, ICO CROWD 등 회사들이 있다.<ref>''[https://icon.foundation/contents/team/partners?lang=ko PARTNERS]'', ''ICON''</ref>
+
아이콘루프는 글로벌 액셀러레이터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2018년 8월 [[ICX 스테이션]]을 설립했다.<ref>김다운 기자, 〈[http://www.inews24.com/view/1151043 블록체인 업계, 메인넷 출시 앞두고 '디앱 육성' 나서]〉, 《아이뉴스24》, 2019-01-12</ref> 아이콘루프는 미국 [[샌프란시스코]]와 일본 [[도쿄]]에 'ICX 스테이션'을 설립하고 [[스타트업]]을 지원하고 있으며, [[싱가포르]]에도 사무실을 마련할 계획이다.<ref>특별취재팀,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917140014&type=det&re=zdk 아이콘 "소규모 블록체인 간 연결로 가치 창출"]〉, 《지디넷코리아》, 2018-09-17</ref> ICX 스테이션은 스마트 컨트랙트 감사·법률자문·등의 컨설팅 서비스 업체와 연결, 투자 자금 모금, 아이콘 개발자들의 기술지원, 백서 검토 등 제반 업무를 총괄한다.<ref>임유경 기자, 〈[http://www.zdnet.co.kr/view/?no=20180818104600 아이콘, 액셀러레이터 ICX스테이션 설립]〉, 《지디넷코리아》, 2018-08-18</ref>
 
 
== 거래 ==
 
 
 
=== 한국 1위의 암호화폐 ===
 
아이콘이 한국 대표 블록체인 프로젝트로 불리는 이유는 높은 시가와 성공적인 ICO, 여러 공공기관 사업의 개발사로 나섰기 때문이다. 2019년 3월 25일 [[코인마켓캡]] 기준 아이콘의 코인 ICX의 시가총액은 1,700억원으로 세계 41위, 한국 암호화폐 1위다. 아이콘은 2017년 9월 [[스위스]]에 재단을 세우고 암호화폐공개(ICO)를 진행해 15만개의 [[이더리움]]을 유치했다. 당시 시세(30만원 대)로 약 450억원 규모이다.<ref name="가영“>김가영 기자, 〈[http://paxnetnews.com/allView?vNewsSetId=6073&articleId=2019032614421802697&objId=A2019032614421802697&portalCode=naver 아이콘, 글로벌 엑셀러레이팅으로 디앱 발굴]〉, 《팍스넷뉴스》, 2019-03-26</ref>
 
 
 
== 논란 ==
 
아이콘은 [[퍼블릭 블록체인]] 플랫폼을 표방하고 있으나, 실제 아이콘 기반의 [[디앱]]이 거의 없거나, 설령 있더라도 [[트랜잭션]]이 거의 없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트랜잭션 개수가 거의 없다는 것은 아이콘 플랫폼 기반의 실사용자가 거의 없다는 뜻으로서, 아이콘 토큰을 가지고 있더라도 실제 사용할 곳이 없다는 뜻이 된다. 아이콘 측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및 금융기관 등의 블록체인 사업을 수주하여 아이콘 기반의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개발하여 납품하고 있으나, 정작 퍼블릭 블록체인 플랫폼 개발은 매우 느리게 진행되고 있다. 그에 따라 일부에서는 아이콘이 퍼블릭 블록체인이 아니라 프라이빗 블록체인으로 주저앉게 되는 것은 아닌지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ref name="이수호">이수호 기자, 〈[http://news1.kr/articles/?3436310 토종 암호화폐 '아이콘' 프라이빗 블록체인으로 주저앉나? ]〉, 《뉴스1》, 2018-09-27</ref> 이에 대해 아이콘 측은 "현재 10개의 [[디앱]]이 개발돼, 생태계 확보를 위해 여전히 노력하는 중"이라며 "비판이 많은 것은 알고 있지만 아이콘은 아직 걸음마 단계이므로 앞으로 기술수준을 높이는데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다.<ref name="이수호"></ref>
 
 
 
== 행사 ==
 
{{:해시넷 블록체인 페스티벌 배너|아이콘이 해시넷 블록체인 페스티벌에 참가합니다.}}
 
{{:2019년 해시넷 블록체인 콘퍼런스 배너|아이콘이 2019년 해시넷 블록체인 콘퍼런스에 참가했습니다.}}
 
{{:월드블록체인서밋 마블스 서울 2019 배너|아이콘이 월드블록체인서밋 마블스 서울 2019 행사에 참가합니다.}}
 
  
{{각주}}
+
{{주석}}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 아이콘 공식 홈페이지 - https://icon.foundation/
 
* 아이콘 공식 홈페이지 - https://icon.foundation/
 +
* 아이콘 백서 - 아이콘재단(ICON Foundation), 〈[https://icon.foundation/resources/whitepaper/ICON-Whitepaper-KO-Draft.pdf ICON : Hyperconnect the World, version 1.0 (Korean)]〉, 2018-01-31
 
* ICX 스테이션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icxstation.com/
 
* ICX 스테이션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icxstation.com/
* 아이콘 백서 - 아이콘재단(ICON Foundation), 〈[https://icon.foundation/resources/whitepaper/ICON-Whitepaper-KO-Draft.pdf ICON : Hyperconnect the World, version 1.0 (Korean)]〉, 2018-01-31
+
* 유병철 기자, 〈[http://news.g-enews.com/view.php?ud=201803261800236392581e5800d6_1&md=20180329173837_J (기묘한 재테크) 아이콘, 한국인 주도로 만든 암호화폐…시총 20위권]〉, 《글로벌이코노믹》, 2018-03-30
* 머니넷스탭, 〈[https://www.moneynet.co.kr/board_lecture/551765 아이콘프로젝트와 아이콘토큰(ICON/ICX) 개념 및 특징]〉, 《머니넷》, 2018-01-10
 
 
* 비트웹 편집국, 〈[http://www.bitweb.co.kr/news/view.php?idx=380 아이콘 - 최초 국산 코인, 다양한 블록체인을 하나의 블록체인으로!]〉, 《비트웹》, 2018-02-18
 
* 비트웹 편집국, 〈[http://www.bitweb.co.kr/news/view.php?idx=380 아이콘 - 최초 국산 코인, 다양한 블록체인을 하나의 블록체인으로!]〉, 《비트웹》, 2018-02-18
* 김대현 기자, 〈[http://weekly.chosun.com/client/news/viw.asp?nNewsNumb=002497100017&ctcd=C05 (CEO) 블록체인 대표주자 ‘더루프’ 김종협 대표]〉, 《주간조선》, 2018-03-05
+
* 김미희 기자, 〈[http://www.fnnews.com/news/201807060956591035 블록체인·암호화폐로 전 세계 금융과 의료를 연결한다]〉, 《파이낸셜뉴스》, 2018-07-08
* 유병철 기자, 〈[http://news.g-enews.com/view.php?ud=201803261800236392581e5800d6_1&md=20180329173837_J (기묘한 재테크) 아이콘, 한국인 주도로 만든 암호화폐…시총 20위권]〉, 《글로벌이코노믹》, 2018-03-30
 
 
* 김태환 기자, 〈[http://techm.kr/bbs/board.php?bo_table=article&wr_id=4863 아이콘, 블록체인 간 ‘초연결’ 지원…장벽 허문다]〉, 《테크M》, 2018-05-28
 
* 김태환 기자, 〈[http://techm.kr/bbs/board.php?bo_table=article&wr_id=4863 아이콘, 블록체인 간 ‘초연결’ 지원…장벽 허문다]〉, 《테크M》, 2018-05-28
* 핵심만 콕콕! 암호화폐 분석, 〈[https://cryptochain.tistory.com/16 아이콘(ICON)은 무엇인가? 한국의 대표 블록체인 프로젝트]〉, 《블록센스》, 2018-06-24
 
* 김미희 기자, 〈[http://www.fnnews.com/news/201807060956591035 블록체인·암호화폐로 전 세계 금융과 의료를 연결한다]〉, 《파이낸셜뉴스》, 2018-07-08
 
 
* 손경호 기자,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70803170054&type=det&re=zdk 모든 블록체인, 하나로 연결하면 어떻게 될까]〉, 《지디넷코리아》, 2018-08-03
 
* 손경호 기자,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70803170054&type=det&re=zdk 모든 블록체인, 하나로 연결하면 어떻게 될까]〉, 《지디넷코리아》, 2018-08-03
* 이수호 기자, 〈[http://news1.kr/articles/?3436310 토종 암호화폐 '아이콘' 프라이빗 블록체인으로 주저앉나? ]〉, 《뉴스1》, 2018-09-27
+
* 김대현 기자, 〈[http://weekly.chosun.com/client/news/viw.asp?nNewsNumb=002497100017&ctcd=C05 (CEO) 블록체인 대표주자 ‘더루프’ 김종협 대표]〉, 《주간조선》, 2018-03-05
* 황치규 기자,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579 아이콘, 블록체인 기반 카지노 프로젝트 메카카지노에 투자]〉, 《더비체인》, 2018-11-29
 
* Platum, 〈[https://platum.kr/archives/111883 아이콘(ICON), 3세대 블록체인 카지노 프로젝트 ‘메카카지노’에 전략적 투자]〉, 《플래텀》, 2018-11-29
 
 
* 김다운 기자, 〈[http://www.inews24.com/view/1151043 블록체인 업계, 메인넷 출시 앞두고 '디앱 육성' 나서]〉, 《아이뉴스24》, 2019-01-12
 
* 김다운 기자, 〈[http://www.inews24.com/view/1151043 블록체인 업계, 메인넷 출시 앞두고 '디앱 육성' 나서]〉, 《아이뉴스24》, 2019-01-12
* 김수찬 기자, 신용수 기자, 〈[http://hkbnews.com/news/view.php?idx=1792 아이콘루프 ‘루프체인’ 보안 취약점 발견…코인, 휴짓조각 가능성]〉, 《한국블록체인뉴스》, 2019-01-22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파라메타]](구 ㈜아이콘루프)
+
* [[암호화폐]]
 +
* [[암호화폐 종류]]
 +
* [[㈜아이콘루프]]
 
* [[김종협]]
 
* [[김종협]]
 
* [[인터체인]]
 
* [[인터체인]]
138번째 줄: 122번째 줄:
 
* [[아이온]]
 
* [[아이온]]
 
* [[위블락]]
 
* [[위블락]]
* [[2019년 해시넷 블록체인 콘퍼런스]]
 
* [[해시넷 블록체인 페스티벌]]
 
  
 
{{암호화폐 종류|좋은글}}
 
{{암호화폐 종류|좋은글}}
{{블록체인 플랫폼}}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