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티베이스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5번째 줄: 25번째 줄:
 
*'''다중버전 기법''' : 알티베이스는 다중버전 기법을 이용한 동시성 제어를 수행한다. 다중버전 기업은 하나의 데이터에 대해 여러 개의 버전을 유지하여 읽기와 쓰기 연산에 대한 충돌을 방지함으로써 최대의 성능을 발휘 할 수 있도록 하이었던 수정된 데이터에 대한 읽기 연산이 대기하거나, 이미 읽힌 데이터에 대해 수정 연산이 장기간 대기하는 문제점을 완벽히 제거하였으며, 데이터베이스를 종료하지 않고도 즉시 백업 할 수 있는 hot-backup 시스템의 가능성을 지원한다.
 
*'''다중버전 기법''' : 알티베이스는 다중버전 기법을 이용한 동시성 제어를 수행한다. 다중버전 기업은 하나의 데이터에 대해 여러 개의 버전을 유지하여 읽기와 쓰기 연산에 대한 충돌을 방지함으로써 최대의 성능을 발휘 할 수 있도록 하이었던 수정된 데이터에 대한 읽기 연산이 대기하거나, 이미 읽힌 데이터에 대해 수정 연산이 장기간 대기하는 문제점을 완벽히 제거하였으며, 데이터베이스를 종료하지 않고도 즉시 백업 할 수 있는 hot-backup 시스템의 가능성을 지원한다.
 
*'''[[트랜잭션]]''' :  알티베이스는 Hybrid DBMS의 구조에 맞추어 최고의 성능을 낼 수 있는 트랜잭션 구조와 그것과 관련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먼저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동시에 수행될 수 있는 트랜잭션의 개수를 [[프로퍼티]]를 이용해서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효율적인 서버 운영을 위해 별도로 지원하는 autocommit 모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알티베이스 시스템이 제공하는 트랜잭션의 고립화 수준으로는 read committed(=0), repeatable read(=1), no phantom read(=2)로서 사용자의 필요에 맞추어 적절한 고립화 수준으로 선택, 사용할 수 있다.
 
*'''[[트랜잭션]]''' :  알티베이스는 Hybrid DBMS의 구조에 맞추어 최고의 성능을 낼 수 있는 트랜잭션 구조와 그것과 관련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먼저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동시에 수행될 수 있는 트랜잭션의 개수를 [[프로퍼티]]를 이용해서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효율적인 서버 운영을 위해 별도로 지원하는 autocommit 모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알티베이스 시스템이 제공하는 트랜잭션의 고립화 수준으로는 read committed(=0), repeatable read(=1), no phantom read(=2)로서 사용자의 필요에 맞추어 적절한 고립화 수준으로 선택, 사용할 수 있다.
*'''[[더블 라이트 버퍼]]'''(double write buffer) : 시스템의 페이지 크기와 파일 시스템의 물리적 페이지 크기가 같지 않을 경우에, Disk I/O를 수행하다가 비정상 종료가 되면 페이지가 온전하지 못한 상태로 남아있게 될 수 있다. 이런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알티베이스는 페이지 플러싱시에 디스크의 특정 영역에 존재하는 더블 라이트 버퍼 영역에 같은 이미지를 미리 저장해 두었다가 알티베이스의 재시작 시에 더블 라이트 버퍼의 내용과 실제 페이지의 내용을 검토하여 온전하지 못한 페이지들을 복구한다.
+
*'''더블 라이트 버퍼'''(double write buffer) : 시스템의 페이지 크기와 파일 시스템의 물리적 페이지 크기가 같지 않을 경우에, Disk I/O를 수행하다가 비정상 종료가 되면 페이지가 온전하지 못한 상태로 남아있게 될 수 있다. 이런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알티베이스는 페이지 플러싱시에 디스크의 특정 영역에 존재하는 더블 라이트 버퍼 영역에 같은 이미지를 미리 저장해 두었다가 알티베이스의 재시작 시에 더블 라이트 버퍼의 내용과 실제 페이지의 내용을 검토하여 온전하지 못한 페이지들을 복구한다.
 
*'''퍼지&핑퐁 체크포인트''' : 알티베이스는 최근의 데이터베이스 상태를 안전하게 백업 데이터베이스로 반영하기 위해 퍼지&핑퐁 체크포인트를 수행한다. 메인 [[메모리]][[ 데이터베이스]]에서의 퍼지 체크포인트는 모든 변경된 데이터 페이지가 백업 데이터베이스로 내려가 현재 수행 중인 트랜잭션의 수행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퍼지 체크포인트와 더불어 핑퐁 체크포인트 방식을 함께 수행한다. 즉, backup 데이터베이스를 두 개로 관리함으로써, 체크포인트 과정에서의 부하를 줄일 수 있도록 하여, [[트랜잭션]]의 동작에 최대한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게 한다.
 
*'''퍼지&핑퐁 체크포인트''' : 알티베이스는 최근의 데이터베이스 상태를 안전하게 백업 데이터베이스로 반영하기 위해 퍼지&핑퐁 체크포인트를 수행한다. 메인 [[메모리]][[ 데이터베이스]]에서의 퍼지 체크포인트는 모든 변경된 데이터 페이지가 백업 데이터베이스로 내려가 현재 수행 중인 트랜잭션의 수행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퍼지 체크포인트와 더불어 핑퐁 체크포인트 방식을 함께 수행한다. 즉, backup 데이터베이스를 두 개로 관리함으로써, 체크포인트 과정에서의 부하를 줄일 수 있도록 하여, [[트랜잭션]]의 동작에 최대한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게 한다.
 
*'''저장 프로시저(stored procedure)''' : 알티베이스는 입력 인자, 출력 인자, 입출력 인자를 가지고 바디(body)내에 정의된 조건에 따라 여러 SQL문을 한 번에 수행하는 데이터베이스 프로시저를 제공한다. 저장 프로시저의 종류는 반환 값에 따라 프로시저와 함수로 나누어진다.
 
*'''저장 프로시저(stored procedure)''' : 알티베이스는 입력 인자, 출력 인자, 입출력 인자를 가지고 바디(body)내에 정의된 조건에 따라 여러 SQL문을 한 번에 수행하는 데이터베이스 프로시저를 제공한다. 저장 프로시저의 종류는 반환 값에 따라 프로시저와 함수로 나누어진다.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