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력센서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압력센서'''<!--압력 센서-->(pressure sensor)는 두 물체 간의 상호 작용하는 힘의 크기인 [[압력]]을 나타내는 물리적 양을 측정하는 [[센서]]이다. 압력센서는 [[힘]]의 전달 크기, 힘의 방향 등을 측정하는 데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
'''압력센서'''(pressure sensor)는 두 물체 간의 상호 작용하는 힘의 크기를 나타내는 물리적 양을 측정하는 [[디바이스로]]서 힘의 전달 크기, 힘의 방향 등을 측정하는 데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센서]]이다.  
  
압력센서를 사용하는 분야는 [[의료]], [[자동차]], [[항공]], [[공업계측]], [[가전]], [[환경제어]] 분야 등 전반적 산업제품과 산업시설에 응용되고 있다. 압력센서의 측정원리는 힘의 변화에 따른 재료의 변위, 변형, 진동수 변화, 열전도율 변화 등을 이용하는 것으로, 종전의 기계식 감지방법에서 현재는 센서장치의 소형화를 위하여 반도체소자 제작기술과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MEMS)기술을 이용하는 초소형, 저전력형 센서개발로 계속 발전하고 있다. 압력감지 방식에 따라서 압저항형(Piezoresistive)과 정전용량형(Capacitive) 방식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
사용하는 분야는 의료, [[자동차]], [[항공]], 공업계측, 가전, 환경제어분야 등의 전반적 산업제품과 산업시설에 응용되고 있으며, 측정원리는 힘의 변화에 따른 재료의 변위, 변형, 진동수 변화, 열전도율 변화 등을 이용하는 것으로 종전의 기계식 감지방법에서 현재는 센서장치의 소형화를 위하여 반도체소자 제작기술과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MEMS)기술을 이용하는 초소형, 저전력형 센서개발로 계속 발전하고 있다. 압력감지 방식에 따라서 압저항형(Piezoresistive)과 정전용량형(Capacitive) 방식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자동차 배너|부품}}
 
  
 
== 개요 ==
 
== 개요 ==
압력센서는 [[액체]] 또는 [[기체]]의 [[압력]]을 [[검출]]하고, [[계측]]이나 [[제어]]에 사용하기 쉬운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장치]] 및 [[소자]]를 말한다. 넓은 뜻으로는 [[압력 변환기]]와 같은 의미로 쓰인다.
+
압력센서는 [[액체]] 또는 [[기체]]의 압력을 검출하고, 계측이나 제어에 사용하기 쉬운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장치 및 [[소자]]를 말한다. 넓은 뜻으로는 [[압력 변환기]]와 같은 의미로 쓰인다.
  
압력센서는 [[유량]], [[액면]] 및 [[온도센서]]와 함께 프로세스 오토메이션을 지탱하는 4대 센서의 하나이다. 압력 범위는 인공 다이아몬드 합성의 105기압 단위부터 질량 분석계나 전자 현미경의 10⁻¹⁰Torr까지 널리 쓰이고 있다. 측정의 원리는 변위나 변형을 비롯하여 분자 [[밀도]]의 [[열전도율]]을 이용하는 등 매우 많은 종류가 쓰이고 있다. 최근에는 [[실리콘]]을 재료로 한 변형 게이지형의 압력 센서가 개발되어 정밀한 압력 계측에 사용되고 있다. 또 집적 회로를 동일한 기판 위에 만들어 넣어 신호 처리까지 하는 집적화 압력센서도 개발되어 있다.
+
압력센서는 [[유량]], [[액면]] 및 [[온도 센서]]와 함께 프로세스 오토메이션을 지탱하는 4대 센서의 하나이다. 압력 범위는 인공 다이아몬드 합성의 105기압 단위부터 질량 분석계나 전자 현미경의 10⁻¹⁰Torr까지 널리 쓰이고 있다. 측정의 원리는 변위나 변형을 비롯하여 분자 [[밀도]]의 [[열전도율]]을 이용하는 등 매우 많은 종류가 쓰이고 있다. 최근에는 [[실리콘]]을 재료로 한 변형 게이지형의 압력 센서가 개발되어 정밀한 압력 계측에 사용되고 있다. 또 집적 회로를 동일한 기판 위에 만들어 넣어 신호 처리까지 하는 집적화 압력센서도 개발되어 있다.
  
 
압력은 단위면적당의 힘으로 힘을 그 힘이 작용하고 있는 면의 면적으로 나눈 양이다. 힘은 크기와 방향을 가지는 [[벡터]](vector)양이다. 면적도 벡터양으로 취급할 수 있는데, 면적 벡터의 크기는 면적이고 방향은 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안팎의 구분이 있을 때는 바깥 방향이다. 벡터가 하나의 지표를 갖는 양이라면, 압력은 두 벡터양의 비로서 두 개의 지표를 갖는 텐서(tensor)양이다. 이는 힘의 크기와 면의 면적이 같더라도 힘이 어느 방향의 면에 어느 방향으로 작용하느냐에 따라 힘의 효과가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텐서로서의 압력을 보통 변형력(stress) 텐서라고 부른다. 텐서는 보통 다음 식과 같은 행렬로 표현한다.
 
압력은 단위면적당의 힘으로 힘을 그 힘이 작용하고 있는 면의 면적으로 나눈 양이다. 힘은 크기와 방향을 가지는 [[벡터]](vector)양이다. 면적도 벡터양으로 취급할 수 있는데, 면적 벡터의 크기는 면적이고 방향은 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안팎의 구분이 있을 때는 바깥 방향이다. 벡터가 하나의 지표를 갖는 양이라면, 압력은 두 벡터양의 비로서 두 개의 지표를 갖는 텐서(tensor)양이다. 이는 힘의 크기와 면의 면적이 같더라도 힘이 어느 방향의 면에 어느 방향으로 작용하느냐에 따라 힘의 효과가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텐서로서의 압력을 보통 변형력(stress) 텐서라고 부른다. 텐서는 보통 다음 식과 같은 행렬로 표현한다.
50번째 줄: 49번째 줄: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656543&cid=42330&categoryId=42330 압력 센서]〉, 《자동차용어사전》
+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741631&cid=60217&categoryId=60217 압력 센서]〉, 《물리학백과》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56824&cid=42338&categoryId=42338 압력센서]〉, 《센스용어사전》
 
* 나노융합센서연구실, 〈[https://ettrends.etri.re.kr/ettrends/156/0905002088/0905002088.html#!po=21.4286 MEMS 압력센서의 기술 및 산업동향]〉, ''ETRE''
 
* 〈[https://www.nidec-copal-electronics.com/kr/featuring/pressure-sensors/ 압력 센서 특집]〉, 《한국일본전산코팔전자주식회사》
 
* 신혜수 기자, 〈[http://www.kmdia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9335 인체 피부 감각기관을 닮은 '신개념 압력센서' 개발]〉,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 2016-04-28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압력]]
+
 
* [[센서]]
 
* [[온도센서]]
 
* [[습도센서]]
 
* [[압저항]]
 
* [[압력계]]
 
  
 
{{자동차 전장|검토 필요}}
 
{{자동차 전장|검토 필요}}

위키원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위키원: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