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범퍼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앞범퍼.jpg|썸네일|300픽셀|'''앞범퍼'''(front bumper)]]
 
[[파일:앞범퍼.jpg|썸네일|300픽셀|'''앞범퍼'''(front bumper)]]
 
+
'''앞범퍼'''(front bumper)는 앞쪽의 갑작스런 충격이나 충돌로 부터 차량과 승객을 보호하기 위한 충격흡수장치다.<ref> 모토야 편집부, 〈[https://www.motoya.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5 앞범퍼(Front Bumper)]〉, 《모토야》, 2017-04-11 </ref>
'''앞범퍼'''<!--앞 범퍼-->(front bumper)는 앞쪽의 갑작스런 [[충격]]이나 [[충돌]]로부터 [[차량]]과 [[승객]]을 보호하기 위한 충격흡수 장치이다.<ref>모토야 편집부, 〈[https://www.motoya.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5 앞범퍼(Front Bumper)]〉, 《모토야》, 2017-04-11 </ref> '''프런트 범퍼'''<!--프런트범퍼-->라고도 한다.
 
  
 
== 상세 ==
 
== 상세 ==
7번째 줄: 6번째 줄:
  
 
== 소재 ==
 
== 소재 ==
초기 범퍼는 [[]] 소재로 사용되었다. 철 소재로 만들어진 범퍼는 [[차체]]와 [[운전자]]를 [[보호]]할 순 있었지만, [[보행자]]에겐 [[위협]]이 되었다. 보행자의 안전에 대한 의식이 높아지면서 자동차 제조사들은 범퍼를 철에서 [[플라스틱]]으로 전환하게 되었다.<ref>도로교통공단,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8988836&memberNo=512209 철에서 플라스틱으로?! 자동차 범퍼의 이유있는 변화]〉, 《네이버 포스트》, 2020-08-05 </ref> 그리고 범퍼 소재가 점점 플라스틱으로 교체되고 있는 것은 자동차 성능과도 연관이 있다. 범퍼 중량이 많이 나가게 되면 [[연비]]가 떨어진다. 자동차 성능 강화를 위해 범퍼는 단단하면서도 [[무게]]는 나가지 않은 경량화 복합소재가 사용되고 있다. 자동차 무게를 약 10% 줄이면 연비는 3~8% 개선되며, [[이산화탄소]] 등 [[배출가스]]가 줄어들며 가속과 조향 성능이 향상되며 제동거리는 5%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자동차 범퍼 경량화를 위해 주로 복합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고 있다. 복합 폴리프로필렌은 폴리프로필렌에 탄성체를 혼합한 플라스틱 복합소재인데, 성형 가공성, 경량 면에서 균형이 뛰어나 자동차 플라스틱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ref name="한화토탈"></ref>
+
초기 범퍼는 철 소재로 사용되었다. 철 소재로 만들어진 범퍼는 차체와 운전자를 보호할 순 있었지만, 보행자에겐 위협이 되었다. 보행자의 안전에 대한 의식이 높아지면서 자동차 제조사들은 범퍼를 철에서 플라스틱으로 전환하게 되었다.<ref> 도로교통공단,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8988836&memberNo=512209 철에서 플라스틱으로?! 자동차 범퍼의 이유있는 변화]〉, 《네이버 포스트》, 2020-08-05 </ref> 그리고 범퍼 소재가 점점 플라스틱으로 교체되고 있는 것은 자동차 성능과도 연관이 있다. 범퍼 중량이 많이 나가게 되면 연비가 떨어진다. 자동차 성능 강화를 위해 범퍼는 단단하면서도 무게는 나가지 않은 경량화 복합소재가 사용되고 있다. 자동차 무게를 약 10% 줄이면 연비는 3~8% 개선되며, [[이산화탄소]] 등 배출가스가 줄어들며 가속과 조향 성능이 향상되며 제동거리는 5%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자동차 범퍼 경량화를 위해 주로 복합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고 있다. 복합 폴리프로필렌은 폴리프로필렌에 탄성체를 혼합한 플라스틱 복합소재인데, 성형 가공성, 경량 면에서 균형이 뛰어나 자동차 플라스틱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ref name="한화토탈"></ref>
  
== 보조범퍼 ==
+
== 보조 범퍼 ==
[[보조범퍼]]는 주로 앞범퍼에 사용되며 [[SUV]] 차량의 경우 운전석이 지면에서 높고 [[보닛]] 바로 앞이나 후방 시야를 확보하기 힘들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고자 사용된다. 이로 인해 작거나 큰 접촉사고가 자주 일어나는데 보조 범퍼를 장착하여 차체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 기존 범퍼 위에 부착하거나 1:1 교체 하는 방식으로 장착하며, 외형을 꾸미기 위한 용도로도 많이 사용된다. 하지만 철 소재의 보조 범퍼를 사용하면 보행자에게 위험을 주기 때문에 불법 개조로 적발되면 처벌을 받는다.<ref>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412648&cid=51399&categoryId=51399 보조범퍼]〉, 《네이버 지식백과》 </ref>
+
보조 범퍼는 주로 앞범퍼에 사용되며 [[SUV]] 차량의 경우 운전석이 지면에서 높고 [[보닛]] 바로 앞이나 후방 시야를 확보하기 힘들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고자 사용된다. 이로 인해 작거나 큰 접촉사고가 자주 일어나는데 보조 범퍼를 장착하여 차체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 기존 범퍼 위에 부착하거나 1:1 교체 하는 방식으로 장착하며, 외형을 꾸미기 위한 용도로도 많이 사용된다. 하지만 철 소재의 보조 범퍼를 사용하면 보행자에게 위험을 주기 때문에 불법 개조로 적발되면 처벌을 받는다.<ref>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412648&cid=51399&categoryId=51399 보조범퍼]〉, 《네이버 지식백과》 </ref>
  
 
== 논란 ==
 
== 논란 ==
추돌 시 충격을 흡수하고 부서진 다음 새로운 범퍼로 교체해서 비싼 차체의 수리 비용보다 저렴하게 수리할 수 지도록 하는 것 역시 범퍼의 중요한 역할이다. 2016년 이전에는 범퍼의 긁힘 및 손상이 경미함에도 보험 처리를 통해 범퍼를 교체할 수 있었다. 하지만 범퍼의 소재가 발전함에 따라서 간단한 복원 수리만으로도 가능한 범퍼를 무조건 새것으로 바꾸는 과잉 수리가 만연해지면서 이를 개정하게 되었다. 실제로 수입차는 국산 차보다 수리비가 2~3배 이상 비싼 데다 부품가격이 투명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이를 악용해 미수선 수리비를 과다 청구하는 사례가 반복되고 있었다.<ref> 명순영 기자,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14/12/1479420/ ‘부르는 게 값’ 수입차 미수선수리비…견적서 부풀려도 ‘며느리도 몰라’]〉, 《매일경제》, 2014-12-01 </ref>  2016년 7월 보험 표준 약관을 통해 자동차의 기능과 안전에 영향이 없는 가벼운 손상의 경우 교체 없이 복원 수리비만 지급하도록 개정되었다.<ref> 픽플러스, 〈[https://content.v.daum.net/v/5b750bd0ed94d20001e83fdb 내 차를 지켜주는 자동차 범퍼의 변화]〉, 《다음 컨텐츠뷰》, 2020-08-16 </ref>  
+
추돌 시 충격을 흡수하고 부서진 다음 새로운 범퍼로 교체해서 비싼 차체의 수리 비용보다 저렴하게 수리할 수 지도록 하는 것 역시 범퍼의 중요한 역할이다. 2016년 이전에는 범퍼의 긁힘 및 손상이 경미함에도 보험 처리를 통해 범퍼를 교체할 수 있었다. 하지만 범퍼의 소재가 발전함에 따라서 간단한 복원 수리만으로도 가능한 범퍼를 무조건 새것으로 바꾸는 과잉 수리가 만연해지면서 이를 개정하게 되었다. 2016년 7월 보험 표준 약관을 통해 자동차의 기능과 안전에 영향이 없는 경미한 손상의 경우 교체 없이 복원 수리비만 지급하도록 개정되었다.<ref> 픽플러스, 〈[https://content.v.daum.net/v/5b750bd0ed94d20001e83fdb 내 차를 지켜주는 자동차 범퍼의 변화]〉, 《다음 컨텐츠뷰》, 2020-08-16 </ref>  
 
 
 
{{각주}}
 
{{각주}}
  
22번째 줄: 20번째 줄:
 
* 한화토탈,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7900881&memberNo=41226869 자동차 범퍼는 왜 플라스틱일까?]〉, 《네이버 포스트》, 2020-04-03
 
* 한화토탈,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7900881&memberNo=41226869 자동차 범퍼는 왜 플라스틱일까?]〉, 《네이버 포스트》, 2020-04-03
 
* 도로교통공단,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8988836&memberNo=512209 철에서 플라스틱으로?! 자동차 범퍼의 이유있는 변화]〉, 《네이버 포스트》, 2020-08-05
 
* 도로교통공단,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8988836&memberNo=512209 철에서 플라스틱으로?! 자동차 범퍼의 이유있는 변화]〉, 《네이버 포스트》, 2020-08-05
* 명순영 기자,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14/12/1479420/ ‘부르는 게 값’ 수입차 미수선수리비…견적서 부풀려도 ‘며느리도 몰라’]〉, 《매일경제》, 2014-12-01
 
 
* 픽플러스, 〈[https://content.v.daum.net/v/5b750bd0ed94d20001e83fdb 내 차를 지켜주는 자동차 범퍼의 변화]〉, 《다음 컨텐츠뷰》, 2020-08-16
 
* 픽플러스, 〈[https://content.v.daum.net/v/5b750bd0ed94d20001e83fdb 내 차를 지켜주는 자동차 범퍼의 변화]〉, 《다음 컨텐츠뷰》, 2020-08-16
  
 
==같이 보기==
 
==같이 보기==
 
* [[범퍼]]
 
* [[범퍼]]
* [[뒷범퍼]]
 
  
{{자동차 외장|검토 필요}}
+
{{자동차 부품|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