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컴퓨터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번째 줄: 2번째 줄:
  
 
==개요==
 
==개요==
양자컴퓨터는 1965년 [[리처드 파인만]](Richard Feynman)이 처음 제안한 개념으로 [[양자역학]]의 원리에 따라 작동하는 [[컴퓨터]]이다. 기존 컴퓨터가 0과 1의 조합인 [[비트]](bit) 단위로 모든 연산을 수행하는 것과 달리, 양자컴퓨터는 0과 1이 중첩된 상태인 [[큐비트]](qubit) 단위로 연산을 수행한다. 큐비트를 이용하면, 기존 컴퓨터로 약 1,000년이 걸려야 풀 수 있는 [[암호]]를 양자 컴퓨터로 4분 만에 풀 수도 있다. 양자컴퓨터를 사용하면 기존 컴퓨터로는 연산하기 어려웠던 많은 양의 데이터를 빠른 속도로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인공지능]](AI), [[암호]], 기후, 교통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될 것으로 예상된다.<ref>소라, 〈[http://www.pollytelly.com/index.php/polly/detail/1993 4차 산업혁명 주요 기술]〉, 《폴리텔리》, 2018-11-21 </ref>
+
양자컴퓨터는 1965년 [[리차드 파인만]](Richard Feynman)이 처음 제안한 개념으로 [[양자역학]]의 원리에 따라 작동하는 [[컴퓨터]]이다. 기존 컴퓨터가 0과 1의 조합인 [[비트]](bit) 단위로 모든 연산을 수행하는 것과 달리, 양자컴퓨터는 0과 1이 중첩된 상태인 [[큐비트]](qubit) 단위로 연산을 수행한다. 큐비트를 이용하면, 기존 컴퓨터로 약 1,000년이 걸려야 풀 수 있는 [[암호]]를 양자 컴퓨터로 4분 만에 풀 수도 있다. 양자컴퓨터를 사용하면 기존 컴퓨터로는 연산하기 어려웠던 많은 양의 데이터를 빠른 속도로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인공지능]](AI), [[암호]], 기후, 교통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될 것으로 예상된다.<ref>소라, 〈[http://www.pollytelly.com/index.php/polly/detail/1993 4차 산업혁명 주요 기술]〉, 《폴리텔리》, 2018-11-21 </ref>
  
 
== 등장배경 ==
 
== 등장배경 ==
초기 컴퓨터는 [[진공관]]을 이용하여 너무 크고 무겁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전화기를 만들었던 [[벨 연구소]](Bell Labs)에서 [[트랜지스터]](transistor)를 개발하면서 크기가 작아지기 시작했다. 계속해서 기술이 발전하여 트랜지스터를 [[집적]]시킨 [[IC칩]]이 개발되어 [[컴퓨터]]는 오늘날의 크기를 가지게 되었다. 트랜지스터의 크기는 14나노미터로 [[HIV]] 바이러스보다 직경이 8배 작고 [[적혈구]]보다 500배나 작다. 현재에는 컴퓨터의 부품들이 [[원자]] 크기에 가까워지기 시작했기 때문에 기술이 더욱 발달하여 IC칩을 더욱더 작게 만드는 것은 물리적인 한계에 다다랐다. 트랜지스터가 원자 크기에 가까워지면, 원자 크기만큼 줄어들어 [[양자터널]](tunnel effect)에 의해 막혀있는 [[통로]]를 그냥 통과해 버릴 것이다. [[입자]]와 [[파동]]의 성질을 모두 가지고 있는 [[양자역학]]의 [[불확정성 원리]]에 의해 [[통로]]를 통과하면 [[스위치]]의 역할을 하는 트랜지스터가 기능하지 못하게 된다. 과학자들은 이러한 [[양자]]의 속성을 컴퓨터의 장점으로 만들기 위해 노력했고 양자컴퓨터가 등장할 수 있었다.<ref name="군">D군의 This play, 〈[https://blog.naver.com/youngdisplay/221463754479 0과 1 그리고 큐빗(qubit), 드디어 상용화된 양자컴퓨터]〉, 《네이버 블로그》, 2019-02-18 </ref>
+
초기 컴퓨터는 진공관을 이용하여 너무 크고 무겁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어 전화기를 만들었던 벨 연구소(Bell Labs)에서 [[트랜지스터]](transistor)를 개발하면서 크기가 작아지기 시작했다. 계속해서 기술이 발전하여 트랜지스터를 집적시킨 IC칩이 개발되어 컴퓨터는 오늘날의 크기를 가지게 되었는데, 트랜지스터의 크기는 14나노미터로 [[HIV]] 바이러스보다 직경이 8배 작고 적혈구보다 500배나 작으며, 현재에는 컴퓨터의 부품들이 원자 크기에 가까워지기 시작했기 때문에 기술이 더욱 발달하여 IC칩을 더욱더 작게 만드는 것은 물리적인 한계에 다다랐다. 트랜지스터가 원자 크기에 가까워지면, 원자 크기만 클 줄어들어 양자 터널(tunnel effect)에 의해 막혀있는 통로를 그냥 톨과 해 버릴 것 이다. 입자와 파동의 성질을 모두 가지고 있는 양자역학의 불확정성 원리에 의해 통로를 통과하면 스위치의 역할을 하는 트랜지스터가 기능하지 못하게 되며, 과학자들은 이러한 양자의 속성을 컴퓨터의 장점으로 만들기 위해 노력했고 양자 컴퓨터가 등장할 수 있었다.<ref name="군">D군의 This play, 〈[https://blog.naver.com/youngdisplay/221463754479 0과 1 그리고 큐빗(qubit), 드디어 상용화된 양자컴퓨터]〉, 《네이버 블로그》, 2019-02-18 </ref>
  
 
== 역사 ==
 
== 역사 ==
63번째 줄: 63번째 줄:
 
[[디웨이브]](D-Wave)는 양자 영역에서 파장을 일으키는 작은 회사로, 2018년 말에 디웨이브는 최초의 실시간 양자 응용 환경인 [[리프]](Leap)를 출시해 실시간 양자컴퓨터에 대한 원격 접근을 제공했다. 디웨이브는 주요 자동차 제조사에 첨단 자동차 기술을 제공하는 선도기업인 [[덴소]](DENSO)와 제휴를 맺어 공장 자동화를 15% 향상할 수 있다고 발표했으며, 또한 폭스바겐과 직접 손잡고 택시 교통 관리 시스템을 개발했다.<ref name="시오"></ref>
 
[[디웨이브]](D-Wave)는 양자 영역에서 파장을 일으키는 작은 회사로, 2018년 말에 디웨이브는 최초의 실시간 양자 응용 환경인 [[리프]](Leap)를 출시해 실시간 양자컴퓨터에 대한 원격 접근을 제공했다. 디웨이브는 주요 자동차 제조사에 첨단 자동차 기술을 제공하는 선도기업인 [[덴소]](DENSO)와 제휴를 맺어 공장 자동화를 15% 향상할 수 있다고 발표했으며, 또한 폭스바겐과 직접 손잡고 택시 교통 관리 시스템을 개발했다.<ref name="시오"></ref>
  
; 디웨이브즈의 양자컴퓨터 활용
+
* '''디웨이브즈의 양자컴퓨터 활용'''
* '''락헤드마틴'''(Lockhead Martin) : 2010년 말 128큐비트의 디웨이브 1을 최초 구매한 락헤드마틴은 [[USC]]의 정보과학연구소(Information Sciences Institute)에 디웨이브 1을 설치한 후 시스템 잠재력 공동 연구했다. 2013년 이를 디웨이브 2로 업그레이드하고, 신약 설계나 수백만 라인의 [[소프트웨어]] [[코드]] 순간 [[디버깅]] 등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잠재력을 연구했다. 이후 2015년엔 디웨이브 2X로 업그레이드하여 비행 제어시스템, 통신 및 작동 확인 등 항공기 설계에 활용하였다.
+
# '''락헤드마틴'''(Lockhead Martin) : 2010년 말 128큐비트의 디웨이브 1을 최초 구매한 락헤드마틴은 [[USC]]의 정보과학연구소(Information Sciences Institute)에 디웨이브 1을 설치한 후 시스템 잠재력 공동 연구했다. 2013년 이를 디웨이브 2로 업그레이드하고, 신약 설계나 수백만 라인의 [[소프트웨어]] [[코드]] 순간 [[디버깅]] 등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잠재력을 연구했다. 이후 2015년엔 디웨이브 2X로 업그레이드하여 비행 제어시스템, 통신 및 작동 확인 등 항공기 설계에 활용하였다.
 
+
# '''퀼'''(QuAlL) : 2013년 구글, 나사, URSA가 공동 설립한 양자 인공지능 연구소인 퀄은 디웨이브 2를 구입했다. 구글 연구팀은 음성인식부터 웹 검색까지 모든 분야에서 정확한 모델을 구축하는데 양자 시스템이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를 연구했고, 나사에서는 양자 컴퓨팅 및 양자 알고리즘이 항공 교통제어나 [[자율주행]], [[로봇]], 스케줄링 등의 분야에서의 최적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향상하기 위한 연구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URSA에서는 컴퓨팅 시간 할당 등 운영 관리를 하였다.
* '''퀼'''(QuAlL) : 2013년 구글, 나사, URSA가 공동 설립한 양자 인공지능 연구소인 퀄은 디웨이브 2를 구입했다. 구글 연구팀은 음성인식부터 웹 검색까지 모든 분야에서 정확한 모델을 구축하는데 양자 시스템이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를 연구했고, 나사에서는 양자 컴퓨팅 및 양자 알고리즘이 항공 교통제어나 [[자율주행]], [[로봇]], 스케줄링 등의 분야에서의 최적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향상하기 위한 연구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URSA에서는 컴퓨팅 시간 할당 등 운영 관리를 하였다.
+
# '''LANL''' : 2015년 미국 국가 안보 관련 종합 연구 기관인 LANL은 디웨이브 2X를 도입해 2016년 초에 설치하였다. 에너지부, 일부 대학 등과 협력해 양자 어닐링(annealing) 기술의 기능과 응용 분야를 연구하였다.
 
+
# '''USC''' : USC는 디웨이브 시스템을 정보과학연구소에 설치하여 디웨이브 시스템이 물리 양자 시스템의 최저 에너지 상태를 찾기 위해 문제를 인코딩하는 방식인 단열 양자 최적화의 이론적 및 실용적인 측면을 연구한다. 컴퓨팅 센터의 구축은 차세대 양자 컴퓨터 칩 개발을 지원하고, 이를 통해 대학과 파트나가 양자 컴퓨팅 분야의 연구를 선도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걸 목적으로 한다. {{자세히|디웨이브}}
* '''LANL''' : 2015년 미국 국가 안보 관련 종합 연구 기관인 LANL은 디웨이브 2X를 도입해 2016년 초에 설치하였다. 에너지부, 일부 대학 등과 협력해 양자 어닐링(annealing) 기술의 기능과 응용 분야를 연구하였다.
 
 
 
* '''USC''' : USC는 디웨이브 시스템을 정보과학연구소에 설치하여 디웨이브 시스템이 물리 양자 시스템의 최저 에너지 상태를 찾기 위해 문제를 인코딩하는 방식인 단열 양자 최적화의 이론적 및 실용적인 측면을 연구한다. 컴퓨팅 센터의 구축은 차세대 양자 컴퓨터 칩 개발을 지원하고, 이를 통해 대학과 파트나가 양자 컴퓨팅 분야의 연구를 선도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걸 목적으로 한다. {{자세히|디웨이브}}
 
  
 
===아이온큐===
 
===아이온큐===
 
[[파일:아이온큐.PNG|썸네일|300픽셀|'''아이온큐'''(IonQ)]]
 
[[파일:아이온큐.PNG|썸네일|300픽셀|'''아이온큐'''(IonQ)]]
  
[[아이온큐]](IonQ)는 현재까지 가장 강력한 양자컴퓨터를 만들었다고 광고하고 있다. 큐비트에 갇힌 이온을 사용하기 때문에 다른 양자컴퓨터와는 약간 다르고, 이를 개별 원자에 대한 정보 저장이라고 부르며, 새로운 아이온큐 시스템의 큐비트는 희귀 원소인 이터븀이 진공상태로 있는 개별 원자로, 이 이온 포획 기술은 구글이나 IBM과 같은 이 기술 분야의 다른 기술 기업들이 실리콘 칩에서 큐비트를 만들어 제로로 냉각시키는 방식과는 거리가 있다. 아이온큐는 2016년에 [[메릴랜드 대학교]] 물리학자인 크리스 몬로와 [[듀크 대학교]] 전자공학자인 김정상 교수가 뉴 엔터프라이즈 어소시에이츠(New Enterprise Associates)에서 200만 달러의 자금을 지원하고 메릴랜드 대학교와 듀크 대학교에서 핵심 기술에 대한 라이선스를 취득해 설립한 회사이며, 아이온큐는 GV, 아마존 웹 서비스, NEA로부터 2,000만 달러를 모금했다.<ref name="시오"></ref>
+
[[아이온큐]](IonQ)는 현재까지 가장 강력한 양자컴퓨터를 만들었다고 광고하고 있다. 큐비트에 갇힌 이온을 사용하기 때문에 다른 양자컴퓨터와는 약간 다르고, 이를 개별 원자에 대한 정보 저장이라고 부르며, 새로운 아이온큐 시스템의 큐비트는 희귀 원소인 이터븀이 진공상태로 있는 개별 원자로, 이 이온 포획 기술은 구글이나 IBM과 같은 이 기술 분야의 다른 기술 기업들이 실리콘 칩에서 큐비트를 만들어 제로로 냉각시키는 방식과는 거리가 있다. 아이온큐는 2016년에 메릴랜드대학 물리학자인 크리스 몬로와 듀크대학교 전자공학자인 김정상 교수가 뉴 엔터프라이즈 어소시에이츠(New Enterprise Associates)에서 200만 달러의 자금을 지원하고 메릴랜드대학과 듀크대학에서 핵심 기술에 대한 라이선스를 취득해 설립한 회사이며, 아이온큐는 GV, 아마존 웹 서비스, NEA로부터 2,000만 달러를 모금했다.<ref name="시오"></ref>
  
 
번스타인 바지 라니(Bernstein-Vazirani) 알고리즘 테스트에서 아이온큐의 컴퓨터는 1024가지 변형을 각각 500번 해결하려고 시도했고, 전체적으로 78%의 단일 시도로 정답을 식별했다. 더 어려운 히든 쉬프트(Hidden Shift) 알고리즘의 경우 아이온큐 컴퓨터는 시험의 35%에서 한 번의 시도로 정답을 찾았다. 히든 쉬프트 알고리즘은 10개 이상의 오류가 발생하기 쉬운 2큐빗 게이트를 포함하여 35에서 50개의 양자 논리 게이트를 필요로하기 때문에 정확도가 낮아질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비해 기존의 컴퓨터는 한 번의 시도로 번스타인 바지 라니 및 히든 쉬프트 문제의 0.1%만 정답을 맞췄다.<ref> 〈[https://insidehpc.com/2019/03/ionq-posts-benchmarks-for-quantum-computer/ IonQ, 양자 컴퓨터의 벤치 마크 발표]〉, 《인사이드HPC》, 2019-03-24 </ref> {{자세히|아이온큐}}
 
번스타인 바지 라니(Bernstein-Vazirani) 알고리즘 테스트에서 아이온큐의 컴퓨터는 1024가지 변형을 각각 500번 해결하려고 시도했고, 전체적으로 78%의 단일 시도로 정답을 식별했다. 더 어려운 히든 쉬프트(Hidden Shift) 알고리즘의 경우 아이온큐 컴퓨터는 시험의 35%에서 한 번의 시도로 정답을 찾았다. 히든 쉬프트 알고리즘은 10개 이상의 오류가 발생하기 쉬운 2큐빗 게이트를 포함하여 35에서 50개의 양자 논리 게이트를 필요로하기 때문에 정확도가 낮아질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비해 기존의 컴퓨터는 한 번의 시도로 번스타인 바지 라니 및 히든 쉬프트 문제의 0.1%만 정답을 맞췄다.<ref> 〈[https://insidehpc.com/2019/03/ionq-posts-benchmarks-for-quantum-computer/ IonQ, 양자 컴퓨터의 벤치 마크 발표]〉, 《인사이드HPC》, 2019-03-24 </ref> {{자세히|아이온큐}}
104번째 줄: 101번째 줄:
 
* 신찬옥기자,〈[https://www.mk.co.kr/news/it/view/2019/05/320104/ 알파고 넘는 `양자컴퓨터` 온다]〉, 《매일경제》.2019-05-15
 
* 신찬옥기자,〈[https://www.mk.co.kr/news/it/view/2019/05/320104/ 알파고 넘는 `양자컴퓨터` 온다]〉, 《매일경제》.2019-05-15
 
* 조성선 수석, 〈[http://www.itfind.or.kr/admin/getFile.htm?identifier=02-001-180323-000003 양자컴퓨터 개발 동향과 시사점]〉,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2018-02-23
 
* 조성선 수석, 〈[http://www.itfind.or.kr/admin/getFile.htm?identifier=02-001-180323-000003 양자컴퓨터 개발 동향과 시사점]〉,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2018-02-23
* 안효균기자,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03&aid=0008517814 IBM이 뽑은 미래 이끌 '5대 혁신기술'…양자컴퓨터·블록체인 등]〉, 《NEWSIS》, 2018-03-30
+
* 안효균기자,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03&aid=0008517814 IBM이 뽑은 미래 이끌 '5대 혁신기술'…양자컴퓨터·블록체인 등]〉, 《뉴시스》, 2018-03-30
 
* D군의 This play, 〈[https://blog.naver.com/youngdisplay/221463754479 0과 1 그리고 큐빗(qubit), 드디어 상용화된 양자컴퓨터〉, 《네이버 블로그》, 2019-02-18
 
* D군의 This play, 〈[https://blog.naver.com/youngdisplay/221463754479 0과 1 그리고 큐빗(qubit), 드디어 상용화된 양자컴퓨터〉, 《네이버 블로그》, 2019-02-18
 
* 중국신화법률, 〈[https://blog.naver.com/sh2030100/221365245823 5년후 양자컴퓨터가 세상을 뒤집는다.]〉, 《네이버 블로그》, 2018-09-25
 
* 중국신화법률, 〈[https://blog.naver.com/sh2030100/221365245823 5년후 양자컴퓨터가 세상을 뒤집는다.]〉, 《네이버 블로그》, 2018-09-25
 
* 디지털도서관, 〈[https://dibrary1004.blog.me/221162151832 무어의 법칙과 양자컴퓨터]〉, 《네이버 블로그》, 2018-04-01
 
* 디지털도서관, 〈[https://dibrary1004.blog.me/221162151832 무어의 법칙과 양자컴퓨터]〉, 《네이버 블로그》, 2018-04-01
 
* 서정욱 기자, 〈[http://www.itnews.or.kr/?p=25226 스타트업 ‘리게티컴퓨팅’ 양자컴퓨터로 구글·IBM에 맞짱]〉, 《IT뉴스》, 2018-01-23
 
* 서정욱 기자, 〈[http://www.itnews.or.kr/?p=25226 스타트업 ‘리게티컴퓨팅’ 양자컴퓨터로 구글·IBM에 맞짱]〉, 《IT뉴스》, 2018-01-23
* Laurie Clarke, 〈[http://www.ciokorea.com/news/117414 양자컴퓨터 개발 중인 IT기업은 어디?]〉, 《시오코리아》, 2019-02-25  
+
* Laurie Clarke, 〈[http://www.ciokorea.com/news/117414 양자컴퓨터 개발 중인 IT기업은 어디?]〉, 《CIO코리아》, 2019-02-25  
 
* 〈[https://insidehpc.com/2019/03/ionq-posts-benchmarks-for-quantum-computer/ IonQ, 양자 컴퓨터의 벤치 마크 발표]〉, 《인사이드HPC》, 2019-03-24
 
* 〈[https://insidehpc.com/2019/03/ionq-posts-benchmarks-for-quantum-computer/ IonQ, 양자 컴퓨터의 벤치 마크 발표]〉, 《인사이드HPC》, 2019-03-24
 
* 방은주 기자, 〈[https://www.zdnet.co.kr/view/?no=20180312083216 구글 , 양자컴퓨터 개발 새 장...72큐빗 칩 선보여]〉, 《지디넷코리아》, 2018-03-12
 
* 방은주 기자, 〈[https://www.zdnet.co.kr/view/?no=20180312083216 구글 , 양자컴퓨터 개발 새 장...72큐빗 칩 선보여]〉, 《지디넷코리아》, 2018-03-12
123번째 줄: 120번째 줄:
 
* [[큐비트]]
 
* [[큐비트]]
 
* [[블록체인]]
 
* [[블록체인]]
* [[리처드 파인만]]
 
  
 
{{4차 산업혁명|검토 필요}}
 
{{4차 산업혁명|검토 필요}}
 
{{컴퓨터}}
 
{{컴퓨터}}
{{암호 알고리즘}}
 
  
 
[[분류:정보통신]]
 
[[분류:정보통신]]

위키원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위키원: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