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케이씨㈜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에스케이씨㈜ 로고.png|썸네일|200픽셀|'''에스케이씨㈜'''(SKC)]]
+
[[파일:에스케이머티리얼즈㈜ 로고.png|썸네일|200픽셀|'''에스케이씨㈜'''(SKC)]]
 
[[파일:에스케이씨㈜ 글자.png|썸네일|300픽셀|'''에스케이씨㈜'''(SKC)]]
 
[[파일:에스케이씨㈜ 글자.png|썸네일|300픽셀|'''에스케이씨㈜'''(SKC)]]
[[파일:에스케이그룹 글자.png|썸네일|300픽셀|'''[[에스케이그룹]]'''(SK Group)]]
+
'''에스케이씨㈜'''(SKC)는 [[SK그룹]] 계열사이며 본사는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위치하며 현재 대표이사 사장은 [[이완재]]이다.
 
+
주로 산업용 [[필름]]부터 시작하여 친환경, [[반도체]], [[모빌리티]] 등 여러분 야에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필름]], 화학제품 및 소재 전문 업체이다. 국내 최초이자 세계에서 4번째로 폴리에스테(PET) [[필름]] 자체 개발에 성공하였으며 프로필렌옥사이드의 제조가 가능한 국내 유일 기업이다. 2019년부터 [[동박]] 전문 업체를 인수하여 [[전기차]] [[배터리]] [[음극재]] 핵심 소재인 [[동박]] 분야로도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에스케이씨㈜'''<!--에스케이씨, 에스케이 씨-->(SKC)는 산업용 [[필름]]을 제작하는 [[SK그룹]] 계열사이다. 주로 '''SKC'''라고 쓴다. 본사는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위치하며 현재 대표이사 사장은 [[이완재]]이다. 에스케이씨㈜는 주로 산업용 [[필름]]부터 시작하여 친환경, [[반도체]], [[모빌리티]] 등 여러 분야에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필름]], 화학제품 및 소재 전문 업체이다. 국내 최초이자 세계에서 4번째로 폴리에스테(PET) [[필름]] 자체 개발에 성공하였으며 프로필렌옥사이드의 제조가 가능한 국내 유일 기업이다. 2019년부터 [[동박]] 전문 업체를 인수하여 [[전기차]] [[배터리]] [[음극재]] 핵심 소재인 [[동박]] 분야로도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 개요 ==
 
== 개요 ==
 
최초 1976년에 '선경화학㈜'을 설립하였으며 1977년 12월에 국내 최초이자 세계 4번째로 폴리에스터(PET) [[필름]]을 개발했다.
 
최초 1976년에 '선경화학㈜'을 설립하였으며 1977년 12월에 국내 최초이자 세계 4번째로 폴리에스터(PET) [[필름]]을 개발했다.
67번째 줄: 65번째 줄:
 
* 1992년 11월 : 무역의 날 대통령 표창 수상(5000만 불 수출탑)
 
* 1992년 11월 : 무역의 날 대통령 표창 수상(5000만 불 수출탑)
 
* 1993년 05월 : 레이저디스크(LD) 국내 최초 생산​
 
* 1993년 05월 : 레이저디스크(LD) 국내 최초 생산​
* 1993년 06월 : [[필름]] 공장 국내 최초 ISO9002 인증​
+
* 1993년 06월 : [[필름 공장]] 국내 최초 ISO9002 인증​
 
* 1993년 12월 : 미국 아나콤사의 써니베일 공장 인수
 
* 1993년 12월 : 미국 아나콤사의 써니베일 공장 인수
 
* 1994년 09월 : 미니디스크(MD) 국내 최초 개발​
 
* 1994년 09월 : 미니디스크(MD) 국내 최초 개발​
143번째 줄: 141번째 줄:
 
* 2021년 01월 : SK넥실리스, 해외 1호 [[동박]] 생산공장 말레이시아 건설 결정
 
* 2021년 01월 : SK넥실리스, 해외 1호 [[동박]] 생산공장 말레이시아 건설 결정
 
|}}
 
|}}
 
 
== 주요 사업 분야 ==
 
== 주요 사업 분야 ==
 
[[파일:에스케이씨㈜ 동박제품.jpg|썸네일|200픽셀|오른쪽|동박제품]]
 
[[파일:에스케이씨㈜ 동박제품.jpg|썸네일|200픽셀|오른쪽|동박제품]]
150번째 줄: 147번째 줄:
 
[[파일:에스케이씨㈜ 동박 적용사례 스쿠터용 케이블.jpg|썸네일|200픽셀|오른쪽|PCT필름 적용사례 : 스쿠터용 케이블]]
 
[[파일:에스케이씨㈜ 동박 적용사례 스쿠터용 케이블.jpg|썸네일|200픽셀|오른쪽|PCT필름 적용사례 : 스쿠터용 케이블]]
 
[[파일:에스케이씨㈜ PVB필름 적용사례  자동차 접합유리.jpg|썸네일|200픽셀|오른쪽|PVB필름 적용사례 : 자동차 접합유리]]
 
[[파일:에스케이씨㈜ PVB필름 적용사례  자동차 접합유리.jpg|썸네일|200픽셀|오른쪽|PVB필름 적용사례 : 자동차 접합유리]]
 
+
*'''인더스트리(Industry) 소재'''
===인더스트리(Industry) 소재===
+
: 국내 최초로 폴리에스터(PET) [[필름]]을 개발한 이래, 끊임없는 연구개발로 폴리에스터 중합부터 베이스[[필름]], 가공까지 일괄생산 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필름]]을 생산하고 있다.
국내 최초로 폴리에스터(PET) [[필름]]을 개발한 이래, 끊임없는 연구개발로 폴리에스터 중합부터 베이스[[필름]], 가공까지 일괄생산 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필름]]을 생산하고 있다.
+
: '''디스플레용''' : 
 
 
;디스플레용
 
 
# 투명PI [[필름]] :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재로서, 고 내열성과 고 투명성을 가지고 있는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이다. 유리처럼 표면이 딱딱하면서도 접히며, 여러 번 접혀도 자국이 남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 투명PI [[필름]] :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재로서, 고 내열성과 고 투명성을 가지고 있는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이다. 유리처럼 표면이 딱딱하면서도 접히며, 여러 번 접혀도 자국이 남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 광학용 [[필름]] : 투과율이 좋고 인장강도 등 물리적/기계적 물성도 가지고 있다. 주로 LCD와 PDP 등 FPD의 다양한 핵심 광학 시트 소재로 널리 쓰인다.
 
# 광학용 [[필름]] : 투과율이 좋고 인장강도 등 물리적/기계적 물성도 가지고 있다. 주로 LCD와 PDP 등 FPD의 다양한 핵심 광학 시트 소재로 널리 쓰인다.
 
# 반사판 [[필름]] : 반사율이 우수하며 열로 인한 변화가 적다. 이런 특성 덕택에 LCD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의 핵심 소재로 쓰인다.
 
# 반사판 [[필름]] : 반사율이 우수하며 열로 인한 변화가 적다. 이런 특성 덕택에 LCD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의 핵심 소재로 쓰인다.
 
# 이형용 [[필름]] : [[디스플레이]] 편광판 보호용, 광학용 접착제 보호용으로 쓰이는 필름의 베이스[[필름]]이다. 투명하고 무결점(Defect Free)의 제품으로 [[실리콘]] 코팅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만든 제품이다.​
 
# 이형용 [[필름]] : [[디스플레이]] 편광판 보호용, 광학용 접착제 보호용으로 쓰이는 필름의 베이스[[필름]]이다. 투명하고 무결점(Defect Free)의 제품으로 [[실리콘]] 코팅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만든 제품이다.​
 
+
: '''포장용''' : 
;포장용
 
 
# 열 수축 [[필름]] : 우수한 수축 특성을 가지고 있는 폴리에스터 [[필름]]으로,  PET, PS, PE, Glass, Can 등 다양한 소재의 용기의 수축 라벨로 쓰인다. 광학 특성이 다른 소재보다 뛰어나, 보다 아름답고 선명하게 제품 디자인을 할 수 있다. 또한 두께가 균일하고 치수가 안정적이기 때문에 인쇄, 슬리팅, 씰링, 라벨링 등의 공정에서 높은 가공성을 발휘한다.
 
# 열 수축 [[필름]] : 우수한 수축 특성을 가지고 있는 폴리에스터 [[필름]]으로,  PET, PS, PE, Glass, Can 등 다양한 소재의 용기의 수축 라벨로 쓰인다. 광학 특성이 다른 소재보다 뛰어나, 보다 아름답고 선명하게 제품 디자인을 할 수 있다. 또한 두께가 균일하고 치수가 안정적이기 때문에 인쇄, 슬리팅, 씰링, 라벨링 등의 공정에서 높은 가공성을 발휘한다.
 
#  배리어[[필름]](PVdC) : 폴리비닐리덴클로라이드(PVdC)를 코팅한 폴리에스터 [[필름]]이다. 범용 폴리에스터 [[필름]]과 비교했을 때 투습도, 투기도 등의 차단(barrier) 특성이 좋고, 인쇄가 잘 되며,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도 열접착이 잘 되는 특성이 있어 고기능 포장소재로 쓰인다. 물을 사용해 코팅하기 때문에 잔류 용제가 없고, 인체에 무해하며 환경친화적이다.
 
#  배리어[[필름]](PVdC) : 폴리비닐리덴클로라이드(PVdC)를 코팅한 폴리에스터 [[필름]]이다. 범용 폴리에스터 [[필름]]과 비교했을 때 투습도, 투기도 등의 차단(barrier) 특성이 좋고, 인쇄가 잘 되며,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도 열접착이 잘 되는 특성이 있어 고기능 포장소재로 쓰인다. 물을 사용해 코팅하기 때문에 잔류 용제가 없고, 인체에 무해하며 환경친화적이다.
 
# 트위스트 [[필름]] : 비틀리는 성질(트위스트 특성)이 우수한 친환경 폴리에스터 [[필름]]이다. 트위스트 방식으로 포장되는 사탕, 초콜렛, 캐러멜 등의 포장에 적합하여 이미 많은 제품에 사용되고 있으며 두께 균일성이 뛰어나 인쇄하기가 쉬우며 가공성이 우수하다.​​
 
# 트위스트 [[필름]] : 비틀리는 성질(트위스트 특성)이 우수한 친환경 폴리에스터 [[필름]]이다. 트위스트 방식으로 포장되는 사탕, 초콜렛, 캐러멜 등의 포장에 적합하여 이미 많은 제품에 사용되고 있으며 두께 균일성이 뛰어나 인쇄하기가 쉬우며 가공성이 우수하다.​​
 
+
: '''산업용''' :
;산업용
 
 
# 원착 [[필름]] : [[필름]]의 원료로 쓰이는 투명 칩에 색상을 입힌 뒤, [[필름]]을 만드는 방식(Chip-Dyed)으로 만든 폴리에스터 [[필름]]이다. 색상 균일성이 좋고 선명해 주로 차량용이나 건축용 윈도우 [[필름]]의 베이스[[필름]]으로 쓰인다.​
 
# 원착 [[필름]] : [[필름]]의 원료로 쓰이는 투명 칩에 색상을 입힌 뒤, [[필름]]을 만드는 방식(Chip-Dyed)으로 만든 폴리에스터 [[필름]]이다. 색상 균일성이 좋고 선명해 주로 차량용이나 건축용 윈도우 [[필름]]의 베이스[[필름]]으로 쓰인다.​
 
# 열 안정 폴리에스터 [[필름]] : 일반적인 2축 연신 폴리에스터 [[필름]]보다 열에 의한 치수 변형이 낮은 제품으로, 일반 폴리에스터 [[필름]]을 생산한 후 추가적인 열처리 공정을 통해 만드는 Off-line 타입과 생산과 동시에 열 처리해 수축율을 제어하는 In-line 타입으로 나눌 수 있다.​ 주로 자동차 시트 센서용, 전자제품 보강용, [[디스플레이]] 등 열에 대한 치수 안정성이 중요하게 요구되는 제품에 쓰인다.
 
# 열 안정 폴리에스터 [[필름]] : 일반적인 2축 연신 폴리에스터 [[필름]]보다 열에 의한 치수 변형이 낮은 제품으로, 일반 폴리에스터 [[필름]]을 생산한 후 추가적인 열처리 공정을 통해 만드는 Off-line 타입과 생산과 동시에 열 처리해 수축율을 제어하는 In-line 타입으로 나눌 수 있다.​ 주로 자동차 시트 센서용, 전자제품 보강용, [[디스플레이]] 등 열에 대한 치수 안정성이 중요하게 요구되는 제품에 쓰인다.
171번째 줄: 164번째 줄:
 
# 보호[[필름]] : [[모바일]], [[디스플레이]] 등의 제품 생산 공정 중에 제품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는 폴리에스터 [[필름]]이다. 보호[[필름]]은 제품 외관이나 공정 과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깨끗하게 잘 떨어져야 하며, 내열성도 가지고 있다. 23mic에서 100mic까지 다양한 두께의 제품을 공급하며 인라인 프라이머 코팅 등의 표면처리 방법으로 고객 공정의 부착력을 높게 해주고 있다.  
 
# 보호[[필름]] : [[모바일]], [[디스플레이]] 등의 제품 생산 공정 중에 제품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는 폴리에스터 [[필름]]이다. 보호[[필름]]은 제품 외관이나 공정 과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깨끗하게 잘 떨어져야 하며, 내열성도 가지고 있다. 23mic에서 100mic까지 다양한 두께의 제품을 공급하며 인라인 프라이머 코팅 등의 표면처리 방법으로 고객 공정의 부착력을 높게 해주고 있다.  
 
# 팬시라이트(Fancylite) [[필름]] : 나노미터 두께의 레진을 수백 층 적층 한 [[필름]]으로 각층 수지의 굴절률 차이, 각층의 두께 및 적층 수에 따라 색상 특성이 나타나는 제품이다. 광원의 특성과 보는 각도와 배경에 따라서 다양한 색상으로 변화해 무지개빛의 효과를 내며, 패션, 뷰티, 윈도우 및 액세서리 등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컬러 [[필름]]들은 주로 염료나 안료를 [[필름]] 내부에 넣거나 [[필름]] 표면에 코팅하는 방식으로 만들어 왔으나, 팬시라이트는 [[필름]] 자체의 구조로부터 색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안료, 염료의 변화에 의한 탈색이나 변색이 없는 [[필름]]이다.​
 
# 팬시라이트(Fancylite) [[필름]] : 나노미터 두께의 레진을 수백 층 적층 한 [[필름]]으로 각층 수지의 굴절률 차이, 각층의 두께 및 적층 수에 따라 색상 특성이 나타나는 제품이다. 광원의 특성과 보는 각도와 배경에 따라서 다양한 색상으로 변화해 무지개빛의 효과를 내며, 패션, 뷰티, 윈도우 및 액세서리 등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컬러 [[필름]]들은 주로 염료나 안료를 [[필름]] 내부에 넣거나 [[필름]] 표면에 코팅하는 방식으로 만들어 왔으나, 팬시라이트는 [[필름]] 자체의 구조로부터 색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안료, 염료의 변화에 의한 탈색이나 변색이 없는 [[필름]]이다.​
 
+
: '''그래픽용''' :
;그래픽용
 
 
# 초투명 [[필름]] : 투과율이 매우 좋고 헤이즈(Haze) 정도가 낮은 폴리에스터 [[필름]]이다. 주로 투명도가 중요한 액정보호[[필름]], 비산 방지 [[필름]] 등 하드코팅 적용 [[필름]]이나 윈도우 [[필름]]에 쓰인다. 표면 접착성도 뛰어나기 때문에 코팅 시 코팅물질(레진)과 잘 붙는다.​​
 
# 초투명 [[필름]] : 투과율이 매우 좋고 헤이즈(Haze) 정도가 낮은 폴리에스터 [[필름]]이다. 주로 투명도가 중요한 액정보호[[필름]], 비산 방지 [[필름]] 등 하드코팅 적용 [[필름]]이나 윈도우 [[필름]]에 쓰인다. 표면 접착성도 뛰어나기 때문에 코팅 시 코팅물질(레진)과 잘 붙는다.​​
 
# 고투명 [[필름]] : 투명 성능이 우수하며  이형 및 각종 인쇄, 보호용 등으로 광범위하게 쓰이는 폴리에스터 [[필름]]이다.​
 
# 고투명 [[필름]] : 투명 성능이 우수하며  이형 및 각종 인쇄, 보호용 등으로 광범위하게 쓰이는 폴리에스터 [[필름]]이다.​
 
# 유색 [[필름]] : 흰색, 검은색, 파란색, 반투명 폴리에스터 필름이다. 주로 인쇄, 카드, 벽지, 드럼헤드 등에 쓰인다.
 
# 유색 [[필름]] : 흰색, 검은색, 파란색, 반투명 폴리에스터 필름이다. 주로 인쇄, 카드, 벽지, 드럼헤드 등에 쓰인다.
 
+
*'''친환경'''
===친환경===
+
: 옥수수 추출 바이오매스 성분으로 만들어진 생분해 PLA [[필름]]을 국내 최초로 개발하고 세계 최초로 포장재 라벨까지 재활용이 가능한 제품을 개발했다.
[[옥수수]] 추출 [[바이오매스]] 성분으로 만들어진 생분해 PLA [[필름]]을 국내 최초로 개발하고 세계 최초로 포장재 라벨까지 재활용이 가능한 제품을 개발했다.
+
# 생분해 PLA [[필름]] : 온실가스 저감에 기여하고, 퇴비 조건에서 14주 만에 유해성분 없이 생분해 되는 친환경 소재이다. 2008년에 세계 최초로 상용화에 성공하여, 폐플라스틱 이슈에 대한 솔루션으로 식품 포장용, 일반 포장 용 등 다양한 국내외 고객의 요구에 대응하고 있다.
# 생분해 PLA [[필름]] : 온실가스 저감에 기여하고, 퇴비 조건에서 14주 만에 유해성분 없이 생분해 되는 친환경 소재이다. 2008년에 세계 최초로 상용화에 성공하여, 폐플라스틱 이슈에 대한 솔루션으로 식품 포장용, 일반 포장 용 등 다양한 국내외 고객의 요구에 대응하고 있다.
 
 
# 에코라벨(Eco-Label) : 세계 최초 100% 재활용이 가능한 PET병 포장재로, 기존 열 수축 [[필름]]에 SKC만의 기술력으로 재활용성을 부여한 제품이다. 에코라벨은 PET 재질로 만들어져 라벨의 포장 인쇄를 씻어 PET병과 함께 재활용되기 때문에 친환경적이다.​ 주로 음료 용기, 유가공품 용기 라벨에 쓰인다.
 
# 에코라벨(Eco-Label) : 세계 최초 100% 재활용이 가능한 PET병 포장재로, 기존 열 수축 [[필름]]에 SKC만의 기술력으로 재활용성을 부여한 제품이다. 에코라벨은 PET 재질로 만들어져 라벨의 포장 인쇄를 씻어 PET병과 함께 재활용되기 때문에 친환경적이다.​ 주로 음료 용기, 유가공품 용기 라벨에 쓰인다.
 
# 윈도우 [[필름]] : 자외선, 적외선 차단 기능이 탁월한 제품이다 . 주로 차량 및 건축용으로 쓰인다.
 
# 윈도우 [[필름]] : 자외선, 적외선 차단 기능이 탁월한 제품이다 . 주로 차량 및 건축용으로 쓰인다.
 
+
*'''[[반도체]]'''
===반도체===
+
: 40년 소재 기술을 바탕으로 [[반도체]] 소재 국산화에 앞장서고 있으며 [[미디어]] 사업과 폴리우레탄 사업에서 축적한 기술력으로 [[반도체]] 스페셜티 소재 기업으로 성장했다.
40년 소재 기술을 바탕으로 [[반도체]] 소재 국산화에 앞장서고 있으며 [[미디어]] 사업과 폴리우레탄 사업에서 축적한 기술력으로 [[반도체]] 스페셜티 소재 기업으로 성장했다.
 
 
# CMP 패드 : CMP 패드(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Pad)는 [[반도체]] 웨이퍼 표면을 물리, 화학 반응으로 연마해 [[반도체]] 웨이퍼 표면을 평탄하게 만드는 등 [[반도체]] 집적도를 높이는 데 필요한 제품이다. 3D 낸드플래시 등의 생산이 급증하면서 수요가 늘고 있는 소모성 자재이다.​
 
# CMP 패드 : CMP 패드(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Pad)는 [[반도체]] 웨이퍼 표면을 물리, 화학 반응으로 연마해 [[반도체]] 웨이퍼 표면을 평탄하게 만드는 등 [[반도체]] 집적도를 높이는 데 필요한 제품이다. 3D 낸드플래시 등의 생산이 급증하면서 수요가 늘고 있는 소모성 자재이다.​
 
# CMP 슬러리 : [[반도체]] 웨이퍼 광역 평탄화 및 표면 거칠기(surface roughness) 조절 용도로 쓰이는 제품이다.
 
# CMP 슬러리 : [[반도체]] 웨이퍼 광역 평탄화 및 표면 거칠기(surface roughness) 조절 용도로 쓰이는 제품이다.
 
# 블랭크 마스크 : [[반도체]] 공정 중 노광 공정에 사용되는 포토 마스크의 핵심 부품이다. [[필름]] 사진에 비유하자면, 촬영 전 [[필름]]이 블랭크 마스크이고, 촬영 후 형상이 전사된 [[필름]]이 포토 마스크이다. 반도체 기술이 발전할수록 미세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고해상도의 포토 마스크가 필요하며,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블랭크 마스크가 필수적이다.
 
# 블랭크 마스크 : [[반도체]] 공정 중 노광 공정에 사용되는 포토 마스크의 핵심 부품이다. [[필름]] 사진에 비유하자면, 촬영 전 [[필름]]이 블랭크 마스크이고, 촬영 후 형상이 전사된 [[필름]]이 포토 마스크이다. 반도체 기술이 발전할수록 미세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고해상도의 포토 마스크가 필요하며,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블랭크 마스크가 필수적이다.
 
+
*'''[[모빌리티]]'''
===모빌리티===
+
: 급성장하는 [[전기차]] 시장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모빌리티]]를 새로운 신성장동력으로, [[전기차]] [[음극재]] 핵심소재인 [[동박]]의 글로벌 기술력 1위 기업 SK넥실리스를 투자사로 출범시키는 한편, 40년 소재 기업의 노하우로 다양한 [[모빌리티]] 소재를 개발하고 있다.
급성장하는 [[전기자동차]] 시장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모빌리티]]를 새로운 신성장동력으로, [[전기차]] [[음극재]] 핵심소재인 [[동박]]의 글로벌 기술력 1위 기업 SK넥실리스를 투자사로 출범시키는 한편, 40년 소재 기업의 노하우로 다양한 [[모빌리티]] 소재를 개발하고 있다.
 
 
# [[동박]] : 전지용 [[동박]]은 환경규제가 강화되고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급성장하고 있는 [[전기차]](EV)의 핵심 부품이다. [[동박]]은 [[리튬이온 전지]]의 [[음극재]] 소재로, 지지체로 전류를 흐르게 하는 이동 경로 역할을 맡을 뿐 아니라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도 한다. [[동박]] 제조는 얇고 넓게 펼치는 기술이 필요한데, 자회사 SK넥실리스는 압도적인 기술력을 바탕으로 2019년 세계에서 가장 얇은 4㎛ 두께의 초극박 [[동박]]을 생산했다.​
 
# [[동박]] : 전지용 [[동박]]은 환경규제가 강화되고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급성장하고 있는 [[전기차]](EV)의 핵심 부품이다. [[동박]]은 [[리튬이온 전지]]의 [[음극재]] 소재로, 지지체로 전류를 흐르게 하는 이동 경로 역할을 맡을 뿐 아니라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도 한다. [[동박]] 제조는 얇고 넓게 펼치는 기술이 필요한데, 자회사 SK넥실리스는 압도적인 기술력을 바탕으로 2019년 세계에서 가장 얇은 4㎛ 두께의 초극박 [[동박]]을 생산했다.​
 
# PCT [[필름]] : PCT [[필름]]은 [[SK케미칼]]과 공동 개발을 통해 세계 최초로 슈퍼 엔지니어링플라스틱을 [[필름]]으로 상용화한 고기능성 [[필름]]이다. 우수한 내열성과 내습성, 내화학성을 활용하여 자동차용 소재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또한 낮은 유전율 특성을 가지고 있어, 향후 5G 용 소재로도 다양하게 활용될 전망이다.
 
# PCT [[필름]] : PCT [[필름]]은 [[SK케미칼]]과 공동 개발을 통해 세계 최초로 슈퍼 엔지니어링플라스틱을 [[필름]]으로 상용화한 고기능성 [[필름]]이다. 우수한 내열성과 내습성, 내화학성을 활용하여 자동차용 소재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또한 낮은 유전율 특성을 가지고 있어, 향후 5G 용 소재로도 다양하게 활용될 전망이다.
 
# PVB [[필름]] : 자동차/건축용 접합유리 및 태양광 모듈의 중간막으로 사용되는 안전 소재이다. PVB [[필름]]은 예기치 못한 외부 충격으로 인한 유리조각의 비산을 막아주는 본연의 안전성에 있어 업계 최고의 성능을 자랑한다. 또한 고객의 요청에 따라 방음, 단열, 자외선 차단 등의 프리미엄 솔루션을 제공한다.  
 
# PVB [[필름]] : 자동차/건축용 접합유리 및 태양광 모듈의 중간막으로 사용되는 안전 소재이다. PVB [[필름]]은 예기치 못한 외부 충격으로 인한 유리조각의 비산을 막아주는 본연의 안전성에 있어 업계 최고의 성능을 자랑한다. 또한 고객의 요청에 따라 방음, 단열, 자외선 차단 등의 프리미엄 솔루션을 제공한다.  
 
 
{{각주}}
 
{{각주}}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 SKC 공식 홈페이지 – http://www.skc.kr/kor/main/index.do
+
* SKC 공식홈페이지 – http://www.skc.kr/kor/main/index.do
 
*〈[https://namu.wiki/w/SKC, SKC]〉, 《나무위키》
 
*〈[https://namu.wiki/w/SKC, SKC]〉, 《나무위키》
 
* 강완협 기자, 〈[https://www.ikld.kr/news/articleView.html?idxno=2318 SKC, 세계 최초 친환경 HPPO 공장 준공]〉, 《국토일보》, 2008-08-29
 
* 강완협 기자, 〈[https://www.ikld.kr/news/articleView.html?idxno=2318 SKC, 세계 최초 친환경 HPPO 공장 준공]〉, 《국토일보》, 2008-08-29
206번째 줄: 193번째 줄:
 
* 이재은 기자,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3/26/2020032602504.html SKC, 반도체 소재 '블랭크 마스크' 하이엔드급 국산화 박차]〉, 《조선비즈》, 2020-03-26
 
* 이재은 기자,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3/26/2020032602504.html SKC, 반도체 소재 '블랭크 마스크' 하이엔드급 국산화 박차]〉, 《조선비즈》, 2020-03-26
 
* 성재용 기자, 〈[http://biz.newdaily.co.kr/site/data/html/2020/08/21/2020082100115.html SKC, SK바이오랜드 매각… '모빌리티-반도체' 성장 '박차']〉, 《뉴데일리》, 2020-08-21
 
* 성재용 기자, 〈[http://biz.newdaily.co.kr/site/data/html/2020/08/21/2020082100115.html SKC, SK바이오랜드 매각… '모빌리티-반도체' 성장 '박차']〉, 《뉴데일리》, 2020-08-21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SK그룹]]
 
* [[SK그룹]]
218번째 줄: 204번째 줄:
 
* [[디스플레이]]
 
* [[디스플레이]]
 
* [[세라믹]]
 
* [[세라믹]]
 
+
{{로고 수정 필요}}
 
{{배터리 회사|검토 필요}}
 
{{배터리 회사|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