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케이하이닉스㈜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09번째 줄: 109번째 줄:
 
에스케이하이닉스㈜의 안전보건환경 경영은 사람과 환경 중심의 가치를 최우선으로 추구한다. 이를 위해 안전보건경영을 핵심가치로 정의하고 법규를 선도하는 기준을 수립하여 구성원이 건강하고 안전한 사업장을 구축하고 장비의 안전한 운영을 위한 지속적 혁신과 시스템 고도화를 통해 안전보건 수준을 향상하고 구성원과 협력사 직원이 모두 건강한 작업환경을 조성하고 위해∙위험성을 사전 감지, 개선하는 안전 및 보건방침과 전 과정을 고려한 환경친화적 설계, 자원의 효율적 사용 및 최적 오염방지시설 도입으로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고 유해화학물질의 투명한 정보공개와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 사업장과 지역사회의 환경을 보호하는 환경방침이 합쳐져 선진 안전∙보건∙환경(SHE, Safety Health Environment) 경영시스템 구축, 안전 리스크 프리 사업장구축, 사람 중심의 보건 시스템 구축, 지속가능한 환경 시스템 구축을 안전∙보건∙환경 4대 경영원칙으로 설정하여 안전, 보건, 환경의 질적 수준을 향상하고 지역사회와 긴밀한 협력 관계를 유지함으로써 사회로부터 신뢰를 확보하고 지속 가능한 회사 발전을 추구한다. 4대 경영원칙 중에서 선진 안전∙보건∙환경 경영시스템 구축은 글로벌 최고 수준 안전∙보건∙환경 기준을 도입했으며,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관리체계 고도화, 자회사/협력사 안전∙보건∙환경 동반성장, 진정한 소통을 통한 신뢰를 확보한다. 안전 리스크 프리 사업장 구축은 현업 위주 자율 공정안정관리(PSM)운영 정착. 변경관리 절차 필수화, 위험성 평가를 통한 안전관리, 안전문화 정착 및 체질화가 이루어진다. 동시에 작업환경관리, 건강관리, 사람 중심의 화학물질관리 (MSDS)를 통해 구성원의 건강장해 예방과 쾌적한 사업장 구축을 위해 작업환경을 측정/관리하고 측정기관/노동조합/보건관리자가 노출가능성이 있는 유해인자를 함께 측정하여 결과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산업보건검증위원회 활동을 진행하여 투명하고 신뢰성 있는 사업장 정보의 구축과 함께 화학적 인자, 물리적 인자 등의 노출수준 파악 활동과 근골격계 질환 예방활동, 사내 부속의원 운영을 통한 통증호소자 관리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에스케이하이닉스㈜의 안전보건환경 경영은 사람과 환경 중심의 가치를 최우선으로 추구한다. 이를 위해 안전보건경영을 핵심가치로 정의하고 법규를 선도하는 기준을 수립하여 구성원이 건강하고 안전한 사업장을 구축하고 장비의 안전한 운영을 위한 지속적 혁신과 시스템 고도화를 통해 안전보건 수준을 향상하고 구성원과 협력사 직원이 모두 건강한 작업환경을 조성하고 위해∙위험성을 사전 감지, 개선하는 안전 및 보건방침과 전 과정을 고려한 환경친화적 설계, 자원의 효율적 사용 및 최적 오염방지시설 도입으로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고 유해화학물질의 투명한 정보공개와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 사업장과 지역사회의 환경을 보호하는 환경방침이 합쳐져 선진 안전∙보건∙환경(SHE, Safety Health Environment) 경영시스템 구축, 안전 리스크 프리 사업장구축, 사람 중심의 보건 시스템 구축, 지속가능한 환경 시스템 구축을 안전∙보건∙환경 4대 경영원칙으로 설정하여 안전, 보건, 환경의 질적 수준을 향상하고 지역사회와 긴밀한 협력 관계를 유지함으로써 사회로부터 신뢰를 확보하고 지속 가능한 회사 발전을 추구한다. 4대 경영원칙 중에서 선진 안전∙보건∙환경 경영시스템 구축은 글로벌 최고 수준 안전∙보건∙환경 기준을 도입했으며,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관리체계 고도화, 자회사/협력사 안전∙보건∙환경 동반성장, 진정한 소통을 통한 신뢰를 확보한다. 안전 리스크 프리 사업장 구축은 현업 위주 자율 공정안정관리(PSM)운영 정착. 변경관리 절차 필수화, 위험성 평가를 통한 안전관리, 안전문화 정착 및 체질화가 이루어진다. 동시에 작업환경관리, 건강관리, 사람 중심의 화학물질관리 (MSDS)를 통해 구성원의 건강장해 예방과 쾌적한 사업장 구축을 위해 작업환경을 측정/관리하고 측정기관/노동조합/보건관리자가 노출가능성이 있는 유해인자를 함께 측정하여 결과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산업보건검증위원회 활동을 진행하여 투명하고 신뢰성 있는 사업장 정보의 구축과 함께 화학적 인자, 물리적 인자 등의 노출수준 파악 활동과 근골격계 질환 예방활동, 사내 부속의원 운영을 통한 통증호소자 관리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신규 사용물질은 '안전∙보건∙환경 퀄리티(SHE Qual.)제도'를 통해 구성원 건강에 영향을 끼치는 화학물질을 모니터링하고, 이를 바탕으로 작업환경관리 및 건강검진 등을 실시하여 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하고 건강한 작업환경을 제공하고 있으며 구성원들의 안전확보를 위해 화학물질 노출가능성 파악 및 위험성 저감 활동을 실시하고 있다. 사람 중심의 보건 시스템 구축은 사람 우선 작업환경 조성, 잠재적 건강위험 발굴과 개선, 직무 노출 관리 시스템 도입, 화학물질 정보에 관한 신뢰성을 확보가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지속가능한 환경 시스템 구축에서는 환경규제 선행적 대응, 일류(Top Tier)수준 저탄소경영 지속, 자원 절약 및 오염물질 저감, 미래성장 환경 인프라 확보 등이 이루어진다. 안전∙보건∙환경의 경영 시스템은 안전보건경영시스템(OHSAS 18001 / KOSHA 18001), 환경경영시스템(ISO 14001) 및 공정 안전관리(산업안전보건법 제49조의2)를 통합하여 운영하고 있다. 안전∙보건∙환경 경영시스템 운영을 통하여 도출되는 영향 요인에 대한 모니터링과 개선 활동 등을 위해 내부심사 규정에 따라 안전·보건·환경 통합 이행수준 평가를 수행하고 있으며, 도출된 문제점은 개선 조치하여 경영시스템 운영에 완벽히 하고 있다. 더불어 에스케이하이닉스㈜의 그린 상품 사용을 통해 저감되는 전력사용량, 이산화탄소 배출량 및 나무식재효과 등 고객이 에스케이하이닉스㈜ 제품을 통해 환경에 기여하는 정보를 확인하는데 도움을 주는 도구인 이산화탄소 계산표(CO2 Calculator)를 개발하여 사용 중이다.<ref name="홈페이지"></ref>
+
그리고, 신규 사용물질은 '안전∙보건∙환경 퀄리티(SHE Qual.)제도'를 통해 구성원 건강에 영향을 끼치는 화학물질을 모니터링하고, 이를 바탕으로 작업환경관리 및 건강검진 등을 실시하여 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하고 건강한 작업환경을 제공하고 있으며 구성원들의 안전확보를 위해 화학물질 노출가능성 파악 및 위험성 저감 활동을 실시하고 있다. 사람 중심의 보건 시스템 구축은 사람 우선 작업환경 조성, 잠재적 건강위험 발굴과 개선, 직무 노출 관리 시스템 도입, 화학물질 정보에 관한 신뢰성을 확보가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지속가능한 환경 시스템 구축에서는 환경규제 선행적 대응, 일류(Top Tier)수준 저탄소경영 지속, 자원 절약 및 오염물질 저감, 미래성장 환경 인프라 확보 등이 이루어진다. 안전∙보건∙환경의 경영 시스템은 안전보건경영시스템(OHSAS 18001 / KOSHA 18001), 환경경영시스템(ISO 14001) 및 공정 안전관리(산업안전보건법 제49조의2)를 통합하여 운영하고 있다. 안전∙보건∙환경 경영시스템 운영을 통하여 도출되는 영향 요인에 대한 모니터링과 개선 활동 등을 위해 내부심사 규정에 따라 안전·보건·환경 통합 이행수준 평가를 수행하고 있으며, 도출된 문제점은 개선 조치하여 경영시스템 운영에 완벽히 하고 있다. 더불어 에스케이하이닉스㈜의 그린 상품 사용을 통해 저감되는 전력사용량, 이산화탄소 배출량 및 나무식재효과 등 고객이 에스케이하이닉스㈜ 제품을 통해 환경에 기여하는 정보를 확인하는데 도움을 주는 도구인 이산화탄소 계산표(CO2 Calculator)를 개발하여 사용 중이다.<ref name="홈페이지"></ref>
  
 
===공정거래===
 
===공정거래===
152번째 줄: 152번째 줄:
 
== 제휴 ==
 
== 제휴 ==
 
;중국 다롄시와 협력 관계 구축
 
;중국 다롄시와 협력 관계 구축
2020년 12월 29일, 에스케이하이닉스㈜가 중국 다롄시 정부와 협력관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에스케이하이닉스㈜는 2019년 10월에 인텔의 낸드 사업부 인수를 발표와 더불어, 다롄에는 인텔의 낸드 생산 팹이 있다. 2020년 12월 29일 오후 화상 연결로 진행된 체결식에는 다롄시 진궈웨이 부시장과 에스케이하이닉스㈜ 노종원 경영지원 담당 부사장 등이 참석했다. 양측은 이번 협약을 통해 에스케이하이닉스㈜의 인텔 낸드 사업 인수를 계기로 다롄 지역에서의 신규 투자를 공동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또한, 다롄시는 인텔 팹이 에스케이하이닉스㈜로 원활하게 이전될 수 있도록 필요한 절차를 지원하기로 했으며 에스케이하이닉스㈜는 중국 IT 기업들과 협력 관계를 구축시키고, 다롄시의 산업 혁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힘쓰기로 했다. 진궈웨이 부시장은 "에스케이하이닉스㈜가 인텔 낸드 사업 부문을 성공적으로 인수할 수 있도록 협력하고, 다양한 투자 활동을 함께 진행해 지역경제 성장을 도모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이에 노종원 부사장은 "2004년 중국 장쑤성 우시에 처음 진출한 이후, 지역사회와 회사가 함께 성장하기 위한 노력을 여러 방면으로 펼쳐왔으며, 그 결과 현지에 뿌리를 잘 내린 외국 기업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기 때문에 인텔 낸드 사업 인수와 함께 에스케이하이닉스㈜의 새로운 터전이 될 다롄에서도 지역 내 산업 혁신과 경제 발전을 위해 긴밀히 협력하겠다"라고 말했다.<ref>이승현 기자, 〈[https://cnews.pinpointnews.co.kr/view.php?ud=20210131102212939748e3dd6dd5_45 SK하이닉스 中다롄시, 협력 관계 구축 위한 MOU 체결]〉, 《핀포인트뉴스》, 2021-01-29</ref>
+
2020년 12월 29일, 에스케이하이닉스㈜가 중국 다롄시 정부와 협력관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에스케이하이닉스㈜는 2019년 10월에 인텔의 낸드 사업부 인수를 발표와 더불어, 다롄에는 인텔의 낸드 생산 팹이 있다. 2020년 12월 29일 오후 화상 연결로 진행된 체결식에는 다롄시 진궈웨이 부시장과 에스케이하이닉스㈜ 노종원 경영지원 담당 부사장(CFO) 등이 참석했다. 양측은 이번 협약을 통해 에스케이하이닉스㈜의 인텔 낸드 사업 인수를 계기로 다롄 지역에서의 신규 투자를 공동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또한, 다롄시는 인텔 팹이 에스케이하이닉스㈜로 원활하게 이전될 수 있도록 필요한 절차를 지원하기로 했으며 에스케이하이닉스㈜는 중국 IT 기업들과 협력 관계를 구축시키고, 다롄시의 산업 혁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힘쓰기로 했다. 진궈웨이 부시장은 "에스케이하이닉스㈜가 인텔 낸드 사업 부문을 성공적으로 인수할 수 있도록 협력하고, 다양한 투자 활동을 함께 진행해 지역경제 성장을 도모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이에 노종원 부사장은 "2004년 중국 장쑤성 우시에 처음 진출한 이후, 지역사회와 회사가 함께 성장하기 위한 노력을 여러 방면으로 펼쳐왔으며, 그 결과 현지에 뿌리를 잘 내린 외국 기업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기 때문에 인텔 낸드 사업 인수와 함께 에스케이하이닉스㈜의 새로운 터전이 될 다롄에서도 지역 내 산업 혁신과 경제 발전을 위해 긴밀히 협력하겠다"라고 말했다.<ref>이승현 기자, 〈[https://cnews.pinpointnews.co.kr/view.php?ud=20210131102212939748e3dd6dd5_45 SK하이닉스 中다롄시, 협력 관계 구축 위한 MOU 체결]〉, 《핀포인트뉴스》, 2021-01-29</ref>
 
 
;필요자금 유치
 
2021년 1월 19일, [[금융위원회]](FSC)는 에스케이하이닉스㈜와 [[산업은행]], [[한국수출입은행]], [[농협]]이 에스케이하이닉스㈜ 이천캠퍼스에서 반도체 산업 육성을 위한 산업 및 금융 협력프로그램 협약을 체결했다. 에스케이하이닉스㈜는 금융기관들과 글로벌 미래투자를 목적으로 2025년까지 총 30억 달러 자금 조달을 위해 상호 협력하기로 했으며, 2021년 중 1,000억 원 규모 소부장 펀드도 조성하기로 했다. 소부장 반도체 펀드는 반도체 산업과 연관된 국내 중소·중견 소부장 기업에 투자되어 각 기업의 자금 조달에 도움을 줄 것이다. 펀드의 원활한 조성을 위해 에스케이하이닉스㈜가 300억 원,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이 각각 100억 원씩 투자하기로 했다. 금융위원회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미래를 대비하기 위한 투자는 지속되어야 하며, 산업생태계가 함께 가는 상생발전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ref>김동원 기자, 〈[http://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10465 SK하이닉스, 금융기관과 미래투자 필요자금 유치 협약]〉, 《디일렉》, 2021-01-19</ref>
 
 
 
== 전망 ==
 
2021년 노무라 보고서에서 [[삼성전자㈜]]와 에스케이하이닉스㈜의 주가가 향후 30% 이상 더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씨엔비씨]](CNBC)는 글로벌 투자은행(IB) 노무라(Nomura)의 보고서를 통하여 "메모리 반도체 산업이 단기 회복이 아니라 슈퍼 사이클에 접어든 걸로보며, 반도체 제조업체인 삼성전자㈜와 에스케이하이닉스㈜의 목표주가를 각각 11만1,000원과 19만 원으로 상향 제시했다. 노무라는 2021년 2분기부터 디램 가격 상승세가 가속화하면서 삼성전자㈜의 영업이익도 개선될 것이라며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했다고 설명했다. 노무라는 에스케이하이닉스㈜의 메모리 가격 상승으로 2021년 영업이익이 12조 7,000억 원으로 2020년에 비해 두 배 이상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2022년에도 영업이익이 두 배 이상 증가한 28조 3,000억 원에 이를 걸로 내다봤다. 또한, 에스케이하이닉스㈜가 디램과 낸드 메모리 시장에서 시장 선도업체와 격차를 줄이고 있으며, 중장기적으로 구조적으로 수익성도 개선될 것으로 분석했다. 하지만, 노무라는 중국에서 진행 예정인 인텔 낸드 메모리 반도체 사업부 인수를 목표주가에 반영하지 않았으며, 인수가 진행되고 낸드 시장이 회복하면 에스케이하이닉스㈜의 낸드 사업부 매출은 예상보다 40% 더 늘어날 수도 있다.<ref>고인원 기자, 〈[http://www.newspim.com/news/view/20210309000682 (GAM) 노무라, "반도체 슈퍼사이클"...삼성·SK하이닉스 30% 더 뛴다]〉, 《뉴스핌》, 2021-03-09</ref>
 
  
 
{{각주}}
 
{{각주}}
173번째 줄: 167번째 줄:
 
* 염보라 기자, 〈[http://www.gokorea.kr/news/articleView.html?idxno=697015 SK하이닉스, ESG 경영강화 위해 10억달러 규모 그린본드 발행]〉, 《공감신문》, 2021-01-15
 
* 염보라 기자, 〈[http://www.gokorea.kr/news/articleView.html?idxno=697015 SK하이닉스, ESG 경영강화 위해 10억달러 규모 그린본드 발행]〉, 《공감신문》, 2021-01-15
 
* 양태훈 기자, 〈[https://zdnet.co.kr/view/?no=20201207093051 SK하이닉스, 176단 4D 낸드 개발...내년 SSD 출시]〉, 《메가뉴스》, 2020-12-07
 
* 양태훈 기자, 〈[https://zdnet.co.kr/view/?no=20201207093051 SK하이닉스, 176단 4D 낸드 개발...내년 SSD 출시]〉, 《메가뉴스》, 2020-12-07
* 고인원 기자, 〈[http://www.newspim.com/news/view/20210309000682 (GAM) 노무라, "반도체 슈퍼사이클"...삼성·SK하이닉스 30% 더 뛴다]〉, 《뉴스핌》, 2021-03-09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