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삼륜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4번째 줄: 4번째 줄:
 
==활용==
 
==활용==
 
===역삼륜 자전거===
 
===역삼륜 자전거===
[[삼륜자전거]] 중 코너링 안정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바퀴를 역삼각형 모양으로 배치한 것이 역삼륜 자전거이다. 역삼륜 자전거는 앞바퀴 두 개에 뒷바퀴가 하나로서 걷기보다 느린 속도에서도 균형 유지에 신경 쓰지 않고 여유로운 주행이 가능하다. 이러한 역삼륜 자전거 중 주행의 편의를 향상하기 위해 누워서 페달링하는 [[탑승]] 자세를 제공하는 것이 [[리컴번트]]인데, 의자에 등을 기댄 채 페달링하기 때문에 장거리 주행에서 체력의 소모가 최소화되는 장점이 있다. 고령층 인구가 급증하면서 주행 안정성을 기초로 한 역삼륜 자전거가 시판 중이다. 독일 HP Velotechnik이 개발한 Scorpion fs 26이 대표적이다. 이 역삼륜 자전거는 완충장치와 접이식 기능까지 갖췄고 20년의 개발 역사를 가진 HP Velotechnik은 이 역삼륜자전거로 2012년 유로바이크에서 디자인상을 받기도 했다. 또한 전동장치를 부착한 Scorpion fs 26 S-Pedelec도 선보이고 있다. 국내에서는 리컴번트보다 한 단계 위의 주행 안정성을 제공해서 위한 신기술의 역삼륜 자전거 연구개발이 진행 중이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산하 한국자전거종합연구센터가 2012년 선보인 역삼륜 자전거의 리컴번트는 탑승자의 눈높이가 너무 낮아 주행 중 [[교통]] 상황을 파악하기 힘든 치명적인 단점이 있기에 의자 위치를 높이고 등받이를 세움으로써 흡사 자동차를 [[운전]]하는 [[탑승]]자세를 제공한다.<ref>박정웅 기자, 〈[https://news.joins.com/article/12114098 "자전거야 자동차야?" 다양한 역삼륜자전거와 그 가능성]〉, 《중앙일보》, 2013-07-19</ref> 더불어 역삼륜 [[전기자전거]]는 친환경적이면서 가볍고 부피도 작게 차지하고 운영비용이 거의 들어가지 않고 안전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장점을 살려 다양한 전기자전거가 만들어지고 판매되고 있는데 역삼륜 중에서는 비나 바람을 피할 수 있는 덮개인 카울을 탑재한 모델도 있어 편의성과 고급화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다. 전기자전거의 운행은 보통 사용 거리가 20~30km 이내에서 주로 사용되는 데 목적지까지 도달 시간과 1회 [[충전]]으로 운행 가능한 거리 등을 참조해 활용하면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드라이머 브이]](Drymer V)는 역삼륜 자전거를 심플하면서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운송수단이며 디자인과 편의성, 실용성을 목표로 개발됐다. 그러나 아직 완전 양산 제품이 아니라서 가격은 약 800만 원을 선회하는 높은 가격이라 일반인이 부담 없이 타기에는 무리가 있어 보인다. 앞으로 폴리머계의 전지 가격이 낮아지고 모터 및 알루미늄 프레임이 양산 체계를 갖추게 되면 보다 현실적인 가격으로 소비자에게 인기 있는 제품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ref>이정용 기자,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08031002011132691001 (이정용의 미래차 이야기) 진화하는 역삼륜 전기자전거]〉, 《디지털타임스》, 2008-03-10</ref>
+
[[삼륜자전거]] 중 코너링 안정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바퀴를 역삼각형 모양으로 배치한 것이 역삼륜 자전거이다. 역삼륜 자전거는 앞바퀴 두 개에 뒷바퀴가 하나로서 걷기보다 느린 속도에서도 균형 유지에 신경 쓰지 않고 여유로운 주행이 가능하다. 이러한 역삼륜 자전거 중 주행의 편의를 향상하기 위해 누워서 페달링하는 [[탑승]] 자세를 제공하는 것이 [[리컴번트]]인데, 의자에 등을 기댄 채 페달링하기 때문에 장거리 주행에서 체력의 소모가 최소화되는 장점이 있다. 고령층 인구가 급증하면서 주행 안정성을 기초로 한 역삼륜 자전거가 시판 중이다. 독일 HP Velotechnik이 개발한 Scorpion fs 26이 대표적이다. 이 역삼륜 자전거는 완충장치와 접이식 기능까지 갖췄고 20년의 개발 역사를 가진 HP Velotechnik은 이 역삼륜자전거로 2012년 유로바이크에서 디자인상을 받기도 했다. 또한 전동장치를 부착한 Scorpion fs 26 S-Pedelec도 선보이고 있다. 국내에서는 리 컴 번트보다 한 단계 위의 주행 안정성을 제공해서 위한 신기술의 역삼륜 자전거 연구개발이 진행 중이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산하 한국자전거종합연구센터가 2012년 선보인 역삼륜 자전거의 리컴번트는 탑승자의 눈높이가 너무 낮아 주행 중 [[교통]] 상황을 파악하기 힘든 치명적인 단점이 있기에 의자 위치를 높이고 등받이를 세움으로써 흡사 자동차를 [[운전]]하는 [[탑승]]자세를 제공한다.<ref>박정웅 기자, 〈[https://news.joins.com/article/12114098 "자전거야 자동차야?" 다양한 역삼륜자전거와 그 가능성]〉, 《중앙일보》, 2013-07-19</ref> 더불어 역삼륜 [[전기자전거]]는 친환경적이면서 가볍고 부피도 작게 차지하고 운영비용이 거의 들어가지 않고 안전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장점을 살려 다양한 전기자전거가 만들어지고 판매되고 있는데 역삼륜 중에서는 비나 바람을 피할 수 있는 덮개인 카울을 탑재한 모델도 있어 편의성과 고급화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다. 전기자전거의 운행은 보통 사용 거리가 20~30km 이내에서 주로 사용되는 데 목적지까지 도달 시간과 1회 [[충전]]으로 운행 가능한 거리 등을 참조해 활용하면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드라이머 브이]](Drymer V)는 역삼륜 자전거를 심플하면서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운송수단이며 디자인과 편의성, 실용성을 목표로 개발됐다. 그러나 아직 완전 양산 제품이 아니라서 가격은 약 800만 원을 선회하는 높은 가격이라 일반인이 부담 없이 타기에는 무리가 있어 보인다. 앞으로 폴리머계의 전지 가격이 낮아지고 모터 및 알루미늄 프레임이 양산 체계를 갖추게 되면 보다 현실적인 가격으로 소비자에게 인기 있는 제품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ref>이정용 기자,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08031002011132691001 (이정용의 미래차 이야기) 진화하는 역삼륜 전기자전거]〉, 《디지털타임스》, 2008-03-10</ref>
  
 
===역삼륜 전기오토바이===
 
===역삼륜 전기오토바이===

위키원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위키원: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