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기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4번째 줄: 14번째 줄:
  
 
==연기 흡입==
 
==연기 흡입==
소량의 연기 흡입은 크게 심각한 문제가 아니다. 그러나 연기에 유동성 화학물질이 햠유되어 있거나 장시간 흡입할 경우나 비정상적으로 밀도가 높을 경우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플라스틱, 섬유와 같은 일반적인 가정용 물질이 연소될 경우 독성 화학물질을 생성할 수 있다. 연기 흡입의 종류로는 일산화탄소로 인한 신체 질식, 독성 화학물질로 신체 중독, 독성 화학물질로 인한 숨통, 기도 및/또는 폐 손상 뜨거운 가스로 인한 구강과 인후 화상이 있다. 일산화탄소는 많은 화재에서 발생하는 가스로 흡입한는 경우, 일산화탄소가 혈액의 산소운반을 방해하기에, 조직들이 충분한 산소를 공급받지 못하게 된다. 많은 가정용/산업용 물질은 연소될 때 시안화물을 방출하고 시안화물 중독을 야기한다. 염화수소, 포스겐, 이산화황, 독성 알데히드 화학물질, 및 암모니아와 같이 연기 중에 방출된 화학물질을 흡입하면 숨구멍(기관)은 물론 폐에도 부종과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결국, 폐로 이어지는 작은 기도가 좁아서 공기 흐름을 더욱 차단하게 된다. 뜨거운 연기는 보통 빠르게 식기에 폐가 아닌 구강과 인후에만 화상을 입힌다. 그러나 증기는 예외로, 연기보다 훨씬 더 많은 열 에너지를 보유하기에 폐와 기도에 화상을 입힐 수 있다.
+
소량의 연기 흡입은 크게 심각한 문제가 아니다. 그러나 연기에 유동성 화학물질이 햠유되어 있거나 장시간 흡입할 경우나 비정상적으로 밀도가 높을 경우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플라스틱, 섬유와 같은 일반적인 가정용 물질이 연소될 경우 독성 화학물질을 생성할 수 있다. 연기 흡입의 종류로는 일산화탄소로 인한 신체 질식, 독성 화학물질로 신체 중독, 독성 화학물질로 인한 숨통, 기도 및/또는 폐 손상 뜨거운 가스로 인한 구강과 인후 화상이 있다. 일산화탄소는 많은 화재에서 발생하는 가스로 흡입한는 경우, 일산화탄소가 혈액의 산소운반을 방해하기에, 조직들이 충분한 산소를 공급받지 못하게 된다. 많은 가정용/산업용 물질은 연소될 때 시안화물을 방출하고 시안화물 중독을 야기한다. 염화수소, 포스겐, 이산화황, 독성 알데히드 화학물질, 및 암모니아와 같이 연기 중에 방출된 화학물질을 흡입하면 숨구멍(기관)은 물론 폐에도 부종과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결국, 폐로 이어지는 작은 기도가 좁아서 공기 흐름을 더욱 차단하게 된다. 뜨거운 연기는 보통 빠르게 식기에 폐가 아닌 구강과 인후에만 화상을 입힙니다. 그러나 증기는 예외로, 연기보다 훨씬 더 많은 열 에너지를 보유하기에 폐에서 기도에 화상을 입힐 수 있다.
  
 
===증상===
 
===증상===
23번째 줄: 23번째 줄:
  
 
===치료===
 
===치료===
연기를 흡입한 사람들에게는 안면 마스크를 통해 산소를 공급한다. 기관 화상이 의심될 경우 기관이 부어 공기 흐름을 차단할 수있기 때문에 코나 입을 통해 호흡관을 삽입해야한다. 환자가 천명하기 시작하면 알부테롤과 같은 약물을 소기관에 투여할 수 있으며, 주로 산소와 섞은 박무 형태로 안면 마스크를 통해 흡입하게 한다. 안면 마스크와 알부테롤 사용에도 불구하고 폐손상이 계속 호흡 곤란을 일으킬 경우, 환기기(호흡 기계)가 필요할 수 있다.<ref> Steven E. Wolf , 〈[https://www.msdmanuals.com/ko-kr/%ED%99%88/%EB%B6%80%EC%83%81-%EB%B0%8F-%EC%A4%91%EB%8F%85/%ED%99%94%EC%83%81/%EC%97%B0%EA%B8%B0-%ED%9D%A1%EC%9E%85 연기 흡입]〉, 《MSD 매뉴얼 일반인용》</ref>
+
연기를 흡입한 사람들에게는 안면 마스크를 통해 산소를 공급한다. 기관 화상이 의심될 경우 기관이 부어 공기 흐름을 차단할 수있기 때문에 코나 입을 통해 호흡관을 삽해야한다. 환자가 천명하기 시작하면 알부테롤과 같은 약물을 소기관에 투여할 수 있으며, 주로 산소와 섞은 박무 형태로 안면 마스크를 통해 흡입하게 한다. 안면 마스크와 알부테롤 사용에도 불구하고 폐손상이 계속 호흡 곤란을 일으킬 경우, 환기기(호흡 기계)가 필요할 수 있다.<ref> Steven E. Wolf , 〈[https://www.msdmanuals.com/ko-kr/%ED%99%88/%EB%B6%80%EC%83%81-%EB%B0%8F-%EC%A4%91%EB%8F%85/%ED%99%94%EC%83%81/%EC%97%B0%EA%B8%B0-%ED%9D%A1%EC%9E%85 연기 흡입]〉, 《MSD 매뉴얼 일반인용》</ref>
  
 
==화재 연기==
 
==화재 연기==
38번째 줄: 38번째 줄:
 
*Steven E. Wolf , 〈[https://www.msdmanuals.com/ko-kr/%ED%99%88/%EB%B6%80%EC%83%81-%EB%B0%8F-%EC%A4%91%EB%8F%85/%ED%99%94%EC%83%81/%EC%97%B0%EA%B8%B0-%ED%9D%A1%EC%9E%85 연기 흡입]〉, 《MSD 매뉴얼 일반인용》
 
*Steven E. Wolf , 〈[https://www.msdmanuals.com/ko-kr/%ED%99%88/%EB%B6%80%EC%83%81-%EB%B0%8F-%EC%A4%91%EB%8F%85/%ED%99%94%EC%83%81/%EC%97%B0%EA%B8%B0-%ED%9D%A1%EC%9E%85 연기 흡입]〉, 《MSD 매뉴얼 일반인용》
 
*왕성상 기자, 〈[https://www.asiae.co.kr/article/2014053015021530597 “화재 유독가스, 연기를 알면 내 생명 지킬 수 있다”]〉, 《아시아 경제》,  2014-06-02
 
*왕성상 기자, 〈[https://www.asiae.co.kr/article/2014053015021530597 “화재 유독가스, 연기를 알면 내 생명 지킬 수 있다”]〉, 《아시아 경제》,  2014-06-02
 
 
==같이 보기==
 
==같이 보기==
 
* [[연소]]
 
* [[연소]]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