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료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4번째 줄: 24번째 줄:
 
* '''[[로켓엔진]]''' : [[로켓]]은 액체 상태의 연료, 연료에 불을 붙게 하는 산화제를 각각 다른 공간에 주입하여 추후 투입량을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된다. 가장 널리 쓰이는 연료는 등유이며 산화제로는 플로오린, 질산, 과산화수소 등이 있다. 연소실이라는 제3의 공간에서 이곳에 투입한 연료와 산화제에 불이 붙으면 고온고압의 가스가 발생하고, 이 가스가 노즐로 빠져나가며 로켓이 추력을 얻는다. 액체인 연료와 산화제를 연소실로 보내려면 연료와 산화제의 압력이 매우 높아야 한다. 그래서 연료와 산화제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고자 펌프를 사용하는데, 보통은 풍차 같은 터보 펌프를 사용한다. 액체연료 시스템에서는 부품 냉각, 순환, 가스 압력과 분출 조절 장치 등 상대적으로 시스템이 복잡하고 정교하게 설계된다. 덕분에 만들기 어렵고 비싸지만, 점화와 소화를 반복하여 유연하게 제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아나시스 2호를 쏘아 올린 팰컨9 로켓처럼 재사용 가능하다는 매우 강력한 장점이 있다. 실제 우주발사체 개발 현장에서는, 액체연료와 고체연료를 용도에 따라 상호보완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액체연료를 중심으로 추력을 만들면서도 고체연료로 부스터를 추가해 성능을 높이는 식이다. 2013년 나로호에도 1단에는 액체, 2단에는 고체 부스터가 탑재됐다. 또, 로켓을 발사한 이후 인공위성 같은 작은 비행체를 제어하기 위해서나, 군사용으로 중장거리 미사일을 만들 때처럼 신속히 작은 추력이 필요할 때 고체연료 엔진을 활용한다.<ref name="홈피"></ref>
 
* '''[[로켓엔진]]''' : [[로켓]]은 액체 상태의 연료, 연료에 불을 붙게 하는 산화제를 각각 다른 공간에 주입하여 추후 투입량을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된다. 가장 널리 쓰이는 연료는 등유이며 산화제로는 플로오린, 질산, 과산화수소 등이 있다. 연소실이라는 제3의 공간에서 이곳에 투입한 연료와 산화제에 불이 붙으면 고온고압의 가스가 발생하고, 이 가스가 노즐로 빠져나가며 로켓이 추력을 얻는다. 액체인 연료와 산화제를 연소실로 보내려면 연료와 산화제의 압력이 매우 높아야 한다. 그래서 연료와 산화제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고자 펌프를 사용하는데, 보통은 풍차 같은 터보 펌프를 사용한다. 액체연료 시스템에서는 부품 냉각, 순환, 가스 압력과 분출 조절 장치 등 상대적으로 시스템이 복잡하고 정교하게 설계된다. 덕분에 만들기 어렵고 비싸지만, 점화와 소화를 반복하여 유연하게 제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아나시스 2호를 쏘아 올린 팰컨9 로켓처럼 재사용 가능하다는 매우 강력한 장점이 있다. 실제 우주발사체 개발 현장에서는, 액체연료와 고체연료를 용도에 따라 상호보완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액체연료를 중심으로 추력을 만들면서도 고체연료로 부스터를 추가해 성능을 높이는 식이다. 2013년 나로호에도 1단에는 액체, 2단에는 고체 부스터가 탑재됐다. 또, 로켓을 발사한 이후 인공위성 같은 작은 비행체를 제어하기 위해서나, 군사용으로 중장거리 미사일을 만들 때처럼 신속히 작은 추력이 필요할 때 고체연료 엔진을 활용한다.<ref name="홈피"></ref>
  
===기체연료===
+
===기체 연료===
[[기체연료]]는 [[기체]] 상태로 사용되는 연료로 [[고체연료]], [[액체연료]]에 대비되는 말이다. 기체연료는 [[파이프]]에 의한 연속수송이 가능하고 착화성이 좋아 연소 조절이 편리하며 연소 뒤에 회분이 남지 않아 청결하므로 공업용이나 가정용으로 많이 이용된다. 기체연료는 같은 열량을 수송할 때 액체연료보다 굵은 파이프가 필요하며, 저장에도 대용량의 탱크 설비가 필요하지만, 도시나 공장 등에 집단공급할 때의 경제성과 연소기구의 간이성이 높아 도시가스의 발달을 가져오게 되었다. 대표적인 기체연료는 [[천연가스]], [[석탄가스]], [[오일가스]], [[유정가스]], [[탄갱가스]], [[제유소가스]], [[LP가스]] 등 종류가 다양하다.<ref>사이언스올, 〈[https://www.scienceall.com/%EA%B8%B0%EC%B2%B4%EC%97%B0%EB%A3%8C/ 기체연료]〉, 《사이언스올》, 2010-08-07</ref> 또한 기체연료는 연소효율이 높고 소량의 공기라도 완전연소가 가능하여 고온을 얻기 쉽다. 또한 연소가 균일하고 연소조절이 용이하며 회분이나 매연이 없어 청결하고 배관공사비의 시설비가 많이 들어 저장이 곤란하지만 다른 연료에 비해 코스트가 높다. 기체연료의 저장은 제조량과 공급량을 조성하고 품질을 균일하게 하며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가스 홀더를 저장하여 두고 공급한다. 또한 유수식 홀더, 무수식 홀더, 고압 홀더를 통해 수분을 동반하지 않으며 저장량은 가스의 압력변화에 따라 증감된다.
+
기체 연료는 기체 상태로 사용되는 연료로 고체 연료, 액체 연료에 대비되는 말이다. 파이프에 의한 연속수송이 가능하고 착화성이 좋아 연소 조절이 편리하며 연소 뒤에 회분이 남지 않아 청결하므로 공업용이나 가정용으로 많이 이용된다. 기체 연료는 같은 열량을 수송할 때 액체 연료보다 굵은 파이프가 필요하며, 저장에도 대용량의 탱크 설비가 필요하지만, 도시나 공장 등에 집단공급할 때의 경제성과 연소기구의 간이성이 높아 도시가스의 발달을 가져오게 되었다. 대표적인 기체 연료는 [[천연가스]], 석탄가스, [[오일가스]], 유정가스, 탄갱 가스, 제유소가스, LP가스 등 종류가 다양하다.<ref>사이언스올, 〈[https://www.scienceall.com/%EA%B8%B0%EC%B2%B4%EC%97%B0%EB%A3%8C/ 기체연료]〉, 《사이언스올》, 2010-08-07</ref> 또한 기체연료는 연소효율이 높고 소량의 공기라도 완전연소가 가능하여 고온을 얻기 쉽다. 또한 연소가 균일하고 연소조절이 용이하며 회분이나 매연이 없어 청결하고 배관공사비의 시설비가 많이 들어 저장이 곤란하지만 다른 연료에 비해 코스트가 높다. 기체 연료의 저장은 제조량과 공급량을 조성하고 품질을 균일하게 하며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가스 홀더를 저장하여 두고 공급한다. 또한 유수식 홀더, 무수식 홀더, 고압 홀더를 통해 수분을 동반하지 않으며 저장량은 가스의 압력변화에 따라 증감된다.
  
* '''[[천연가스]]''' : 천연적으로 발생하는 가스 중 [[탄화수소]]를 주성분으로 한 [[가연성]]의 것을 말하는 것으로 [[유전가스]], [[수용성가스]], [[탄전가스]] 등이 있다. 천연가스는 광상에 따라 유용성, 유리성, 수용성으로 분류되기도 하며, 주성분에 따라 습성 천연가스, 건성 천연가스로 분류되기도 한다.  
+
* '''[[천연가스]]''' : 천연적으로 발생하는 가스 중 탄화[[수소]]를 주성분으로 한 가연성의 것을 말하는 것으로 유전 가스, 수용성 가스, 탄전 가스 등이 있다. 천연가스는 광상에 따라 유용성, 유리성, 수용성으로 분류되기도 하며 주성분에 따라 습성 천연가스, 건성 천연가스로 분류되기도 한다.  
  
 
* '''[[LPG]]''' : LPG(엘피지)는 [[액화천연가스]]를 말한다. LPG는 [[천연가스]]를 [[냉각]]하여 얻게 되는 [[메탄]]을 주성분으로 하는 [[액체]]로 냉각 액화할 때 제진, 탈황, 탈탄산, 탈수 등의 처리를 하기 때문에 재기화할 경우의 가스는 청결하고 양질이며 무해하다.<ref>에장, 〈[https://blog.naver.com/zoota2002/150035098415 연료의 구분 (고체연료/ 액체연료 / 기체연료)]〉, 《네이버 블로그》, 2008-09-08</ref>  
 
* '''[[LPG]]''' : LPG(엘피지)는 [[액화천연가스]]를 말한다. LPG는 [[천연가스]]를 [[냉각]]하여 얻게 되는 [[메탄]]을 주성분으로 하는 [[액체]]로 냉각 액화할 때 제진, 탈황, 탈탄산, 탈수 등의 처리를 하기 때문에 재기화할 경우의 가스는 청결하고 양질이며 무해하다.<ref>에장, 〈[https://blog.naver.com/zoota2002/150035098415 연료의 구분 (고체연료/ 액체연료 / 기체연료)]〉, 《네이버 블로그》, 2008-09-08</ref>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