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통화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41번째 줄: 41번째 줄:
 
== 악용 사례 ==
 
== 악용 사례 ==
 
=== 영상통화 피싱 ===
 
=== 영상통화 피싱 ===
스마트폰이 나오기 전에는 기본적인 전화 기능을 담당하는 실시간 운영체제가 주를 이루고 있었으나 스마트폰은 개인용 컴퓨터와 같이 모바일 [[운영체제]]를 탑재하는 것이 특징으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과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그만큼 이용자나 [[개발자]]의 편의를 도우면서도 범죄에 악용될 여지를 남긴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국내에서도 안드로이드의 소프트웨어 배포에 사용되는 파일인 [[APK파일]]을 이용한 범죄가 일어나고 있다. 해당 범죄는 몸캠 [[피싱]]이라는 신종 범죄다. 랜덤채팅이나 SNS 등을 통해서, 조작된 영상이나 도용한 사진을 이용해 영상통화로 음란한 행위를 하도록 유도한 뒤, 이를 녹화하고 APK 파일을 보내 설치를 유도한다. 만일 APK파일을 설치할 시 스마트폰에 저장된 모든 데이터가 유출되며 확보한 영상과 연락처를 이용해 피해자를 협박하여 금품을 갈취하는 형태의 범행 수법을 보인다. 이러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문자 혹은 모바일 채팅 등을 통해 다운로드하는 출처가 불분명한 파일들은 되도록 열람하지 않아야 한다. 환경설정에서 출처를 알 수 없는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차단하는 기능을 활성화하는 것 또한 하나의 방법이다.<ref> 우진영 기자, 〈[https://www.dailysecu.com/news/articleView.html?idxno=82522 ‘몸피카(몸캠피씽 피해자모임 카페)' 몸캠피싱과 영상통화 사기 예방을 위한 보안수칙 소개]〉, 《데일리시큐》, 2019-11-29 </ref>
+
스마트폰이 나오기 전에는 기본적인 전화 기능을 담당하는 실시간 운영체제가 주를 이루고 있었으나 스마트폰은 개인용 컴퓨터와 같이 모바일 [[운영체제]]를 탑재하는 것이 특징으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과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그 만큼 이용자나 [[개발자]]의 편의를 도우면서도 범죄에 악용될 여지를 남긴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국내에서도 안드로이드의 소프트웨어 배포에 사용되는 파일인 [[APK파일]]을 이용한 범죄가 일어나고 있다. 해당 범죄는 몸캠 [[피싱]]이라는 신종 범죄다. 랜덤채팅이나 SNS 등을 통해서, 조작된 영상이나 도용한 사진을 이용해 영상통화로 음란한 해우이를 하도록 유도한 뒤, 이를 녹화하고 APK 파일을 보내 설치를 유도한다. 만일 APK파일을 설치할 시 스마트폰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데이터들이 유출되며 확보한 영상과 연락처를 이용해 피해자를 협박하여 금품을 갈취하는 형태의 범행 수법을 보인다. 이러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문자 혹은 모바일 채팅 등을 통해 다운로드하는 출처가 불분명한 파일들은 되도록 열람하지 않아야 한다. 환경설정에서 출처를 알 수 없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차단하는 기능을 활성화 하는 것 또한 하나의 방법이다.<ref> 우진영 기자, 〈[https://www.dailysecu.com/news/articleView.html?idxno=82522 ‘몸피카(몸캠피씽 피해자모임 카페)' 몸캠피싱과 영상통화 사기 예방을 위한 보안수칙 소개]〉, 《데일리시큐》, 2019-11-29 </ref>
  
 
{{각주}}
 
{{각주}}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