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지식 스나크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지캐시 글자.png|썸네일|300픽셀|'''[[지캐시]]'''(Zcash)]]
+
[[파일:지캐시(제트캐시) 글자.png|썸네일|300픽셀|'''[[지캐시]]'''(Zcash)]]
  
 
'''영지식 스나크'''<!--영지식스나크-->(zk-SNARKs)는 'zero-knowledge Succinct Non-interactive Argument of Knowledge'의 약자로, 기존의 [[영지식 증명]]을 좀 더 간결하고(succinct) 비상호적인 환경(non-interactive)에서 적용 가능하도록 변형한 기술이다. 2012년 '''[[지캐시]]'''(Zcash)에 의해 개발되었다. 지캐시는 영지식 스나크를 기반으로 작동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 중 가장 큰 규모이다.
 
'''영지식 스나크'''<!--영지식스나크-->(zk-SNARKs)는 'zero-knowledge Succinct Non-interactive Argument of Knowledge'의 약자로, 기존의 [[영지식 증명]]을 좀 더 간결하고(succinct) 비상호적인 환경(non-interactive)에서 적용 가능하도록 변형한 기술이다. 2012년 '''[[지캐시]]'''(Zcash)에 의해 개발되었다. 지캐시는 영지식 스나크를 기반으로 작동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 중 가장 큰 규모이다.
69번째 줄: 69번째 줄:
 
* '''초기 신뢰 설정''' : 영지식 스나크의 가장 큰 문제점은 신뢰기관(trusted party)의 존재이다. 프로토콜 내에서 신뢰기관의 역할은 매우 크며, 증명을 생성하는 데 있어서도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신뢰기관은 노출되면 안 되는 정보를 통해 거짓 증명(fake proof)를 생성할 수 있으며, 외부의 다른 집단과 공모할 가능성 또한 있다.
 
* '''초기 신뢰 설정''' : 영지식 스나크의 가장 큰 문제점은 신뢰기관(trusted party)의 존재이다. 프로토콜 내에서 신뢰기관의 역할은 매우 크며, 증명을 생성하는 데 있어서도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신뢰기관은 노출되면 안 되는 정보를 통해 거짓 증명(fake proof)를 생성할 수 있으며, 외부의 다른 집단과 공모할 가능성 또한 있다.
  
* '''[[확장성]]''' : 영지식 증명은 당사자 간의 거래를 위한 통신, 영지식 증명의 검증 등의 복잡성에 따라 더 높은 연산처리능력이 요구된다. 영지식 스나크의 경우, 복잡성이 증가할수록 점점 더 높은 연산처리능력이 필요하다. 또한 증명 데이터와 검증 과정이 획기적으로 간결해졌지만 증명자가 증명을 생성하는 시간이 매우 느리다는 문제점이 있다.
+
* '''확장성''' : 영지식 증명은 당사자 간의 거래를 위한 통신, 영지식 증명의 검증 등의 복잡성에 따라 더 높은 연산처리능력이 요구된다. 영지식 스나크의 경우, 복잡성이 증가할수록 점점 더 높은 연산처리능력이 필요하다. 또한 증명 데이터와 검증 과정이 획기적으로 간결해졌지만 증명자가 증명을 생성하는 시간이 매우 느리다는 문제점이 있다.
  
 
* '''양자컴퓨터 공격''' : 영지식 스나크는 [[ECDSA]]와 같은 키페어 알고리즘에 기반하지 않기 때문에 이론적으로 양자 컴퓨터 공격에 매우 취약하다고 알려져 있다. 소인수분해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 양자 알고리즘인 [[쇼어 알고리즘]](Shor’s Algorithm)의 방식을 통해 공개키로부터 비밀키를 추출해 낼 수 있기 때문이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C%87%BC%EC%96%B4_%EC%95%8C%EA%B3%A0%EB%A6%AC%EC%A6%98 쇼어 알고리즘]〉, 《위키백과》</ref> 또한 [[타원곡선암호]] 기법으로 암호화를 하기 때문에 연산능력이 뛰어난 양자컴퓨터로 그 암호를 빠르게 해독하여 무기력할 가능성이 있다.
 
* '''양자컴퓨터 공격''' : 영지식 스나크는 [[ECDSA]]와 같은 키페어 알고리즘에 기반하지 않기 때문에 이론적으로 양자 컴퓨터 공격에 매우 취약하다고 알려져 있다. 소인수분해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 양자 알고리즘인 [[쇼어 알고리즘]](Shor’s Algorithm)의 방식을 통해 공개키로부터 비밀키를 추출해 낼 수 있기 때문이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C%87%BC%EC%96%B4_%EC%95%8C%EA%B3%A0%EB%A6%AC%EC%A6%98 쇼어 알고리즘]〉, 《위키백과》</ref> 또한 [[타원곡선암호]] 기법으로 암호화를 하기 때문에 연산능력이 뛰어난 양자컴퓨터로 그 암호를 빠르게 해독하여 무기력할 가능성이 있다.
87번째 줄: 87번째 줄:
 
* [[지캐시]]
 
* [[지캐시]]
  
{{암호 알고리즘|검토 필요}}
+
{{블록체인 기술|검토 필요}}

위키원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위키원: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