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니세이강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북아시아 위치 지도}}
 
 
[[파일:예니세이강.jpg|썸네일|300픽셀|'''예니세이강''']]
 
[[파일:예니세이강.jpg|썸네일|300픽셀|'''예니세이강''']]
 
[[파일:예니세이강 지리.jpg|썸네일|300픽셀|'''예니세이강''']]
 
[[파일:예니세이강 지리.jpg|썸네일|300픽셀|'''예니세이강''']]
25번째 줄: 24번째 줄:
 
*  해양수산분야 국책 연구기관인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는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 있는 네벨스코이 국립해양대학교 내에 '한·러 공동연구센터'를 설립하고 2015년 6월 17일 문을 열고 해양관련 공동연구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날 열린 센터 개소식에는 김성귀 KMI 원장과 오가이 네벨스코이대 총장 등 양측 관계자가 참석했다. 이 센터는 2013년 한·러 정상회담을 계기로 양국 간 학술연구 교류의 확대, 심화를 실현할 수 있는 상설 연구조직이 필요하다는 데 인식을 함께하고 그동안 설립을 추진해 왔다. 연구센터는 KMI와 네벨스코이대에서 공동센터장을 포함해 각 7명씩 모두 14명의 연구진으로 구성됐다. KMI와 네벨스코이대는 이 센터를 중심으로 물류, 해운, [[항만]], 수산, [[해양]] 등 다양한 부문에서 양국 간 공동 현안과 관심사를 발굴, 연구사업을 수행할 예정이다. 설립 첫해인 2015년에는 러시아 북극해로 흘러나가는 [[레나강]], 예니세이 강, [[오비강]]과 북극 항로를 연계한 내륙복합물류 가능성에 관해 공동연구를 진행한다. 이 센터는 공동연구와 함께 정기 학술세미나 개최하고 러시아 동향 리포트 및 정보지 발간 등 다양한 활동을 벌여나갈 계획이다. 러시아에 진출한 한국기업들이 중심이 되는 기업협의회를 파트너로 해서 한국기업들의 대 극동진출 상담, 정보제공 등 한국기업의 러시아 극동지역 진출 지원사업도 적극적으로 벌이기로 했다.<ref>이종민 기자, 〈[https://www.yna.co.kr/view/AKR20150617066500051?input=1195m KMI, 러시아와 손잡고 북극 등 해양 관련 공동연구]〉, 《연합뉴스》, 2015-06-17</ref>
 
*  해양수산분야 국책 연구기관인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는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 있는 네벨스코이 국립해양대학교 내에 '한·러 공동연구센터'를 설립하고 2015년 6월 17일 문을 열고 해양관련 공동연구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날 열린 센터 개소식에는 김성귀 KMI 원장과 오가이 네벨스코이대 총장 등 양측 관계자가 참석했다. 이 센터는 2013년 한·러 정상회담을 계기로 양국 간 학술연구 교류의 확대, 심화를 실현할 수 있는 상설 연구조직이 필요하다는 데 인식을 함께하고 그동안 설립을 추진해 왔다. 연구센터는 KMI와 네벨스코이대에서 공동센터장을 포함해 각 7명씩 모두 14명의 연구진으로 구성됐다. KMI와 네벨스코이대는 이 센터를 중심으로 물류, 해운, [[항만]], 수산, [[해양]] 등 다양한 부문에서 양국 간 공동 현안과 관심사를 발굴, 연구사업을 수행할 예정이다. 설립 첫해인 2015년에는 러시아 북극해로 흘러나가는 [[레나강]], 예니세이 강, [[오비강]]과 북극 항로를 연계한 내륙복합물류 가능성에 관해 공동연구를 진행한다. 이 센터는 공동연구와 함께 정기 학술세미나 개최하고 러시아 동향 리포트 및 정보지 발간 등 다양한 활동을 벌여나갈 계획이다. 러시아에 진출한 한국기업들이 중심이 되는 기업협의회를 파트너로 해서 한국기업들의 대 극동진출 상담, 정보제공 등 한국기업의 러시아 극동지역 진출 지원사업도 적극적으로 벌이기로 했다.<ref>이종민 기자, 〈[https://www.yna.co.kr/view/AKR20150617066500051?input=1195m KMI, 러시아와 손잡고 북극 등 해양 관련 공동연구]〉, 《연합뉴스》, 2015-06-17</ref>
  
== 지도 ==
+
==지도==
{{예니세이강 행정 지도|800}}
 
 
{{지도|예니세이강}}
 
{{지도|예니세이강}}
{{다단2
 
|{{바이칼호 행정 지도}}
 
|{{북아시아 강 지도}}
 
}}
 
  
 
==동영상==
 
==동영상==
48번째 줄: 42번째 줄: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다단3|
 
 
* [[러시아]]
 
* [[러시아]]
 
* [[북극해]]
 
* [[북극해]]
57번째 줄: 50번째 줄:
 
* [[아마존강]]
 
* [[아마존강]]
 
* [[미시시피강]]
 
* [[미시시피강]]
|
 
 
* [[몽골]]
 
* [[몽골]]
 
* [[지류]]
 
* [[지류]]
66번째 줄: 58번째 줄:
 
* [[철]]
 
* [[철]]
 
* [[목재]]
 
* [[목재]]
|
 
 
* [[전원]]
 
* [[전원]]
 
* [[수력발전소]]
 
* [[수력발전소]]
77번째 줄: 68번째 줄:
 
* [[독일]]
 
* [[독일]]
 
* [[일본]]
 
* [[일본]]
}}
 
  
{{:북아시아 같이 보기}}
+
{{세계지리|검토 필요}}
 
 
{{세계의 강|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