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현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오세현.jpg|썸네일|300픽셀|'''오세현''']]
+
'''오세현'''은 사단법인 [[오픈블록체인산업협회]]의 협회장과 [[SK텔레콤]]의 [[블록체인]] 인증 유닛장으로 있다. 오세현은 블록체인을 통해 다시 한번 한국이 IT 산업을 선도할 수 있다고 생각하며 대중들에게 블록체인을 알리며 기업의 블록체인 기술 발전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파일:에스케이텔레콤㈜ 글자.png|썸네일|300픽셀|'''[[에스케이텔레콤㈜]]'''(SK Telecom)]]
 
[[파일:오픈블록체인산업협회 글자.png|썸네일|300픽셀|'''[[오픈블록체인산업협회]]'''(OBCIA)]]
 
 
 
'''오세현'''은 '''[[에스케이텔레콤㈜]]'''의 [[블록체인]] 인증 유닛장 겸 사단법인 '''[[오픈블록체인산업협회]]'''의 협회장을 맡고 있다. 오세현은 블록체인을 통해 다시 한번 한국이 IT 산업을 선도할 수 있다고 생각하며 대중들에게 블록체인을 알리며 기업의 블록체인 기술 발전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 생애 ==
 
== 생애 ==
[[오세현]]은 어린 시절부터 수학을 좋아하였고 1980년대 신문물이었던 컴퓨터를 접하고 난뒤 컴퓨터공학으로의 진로를 선택했다. 그녀의 오빠인 [[오세훈]]은 한국의 유명한 정치인으로 전 서울시장이였는데, 오세현의 아버지는 의대를 희망했지만 오빠인 오세훈은 공학이 더 유망하다고 생각하여 공학도를 강력하게 추천하였다고 한다. [[서울대학교]] 컴퓨터 공학과를 졸업한 뒤 결혼과 동시에 독일로 유학을 떠났다. 공학도의 성지라는 독일의 함부르크 대학에서 IT네트워크 분야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컴퓨터 공학에 박사 과정을 모두 수료한 뒤 다시 한국으로 돌아왔다. 귀국한 뒤 바로 [[엘지 씨엔에쓰]](LG CNS) 컨설팅사업본부에서 컨설턴트로 기업활동을 시작하였고 2001년 종합 보안업체 인젠 부사장, 2005년엔 서버 솔루션 밴처 업체 큐론의 대표이사를 역임하며 보안업계에서 유명한 보안전문가로 활약하였다. 그 시기에 한국 IT 여성기업인협회 이사를 맡으며 여성들의 IT산업 및 공학 분야 진출을 장려하였다. 오세현은 2006년 동부그룹에 최초 여성 임원으로 영입되어 화제가 되었고 IT계열사인 동부정보기술 컨설팅사업부분 부분장과 최고기술임원(CTO)로 임명되었고 [[IBM]] 유비쿼터스컴퓨팅연구소에 상무, KT의 신사업 부문 전략담당 전무 등을 맡았다.<ref>김민주 기자, 〈[http://magazine.hankyung.com/business/apps/news?popup=0&nid=01&nkey=2013121100941000311&mode=sub_view [포커스] “유리 천장 뚫는 여성 공학도 더 나와야죠”]〉, 《한국경제매거진》, 2013-12-09</ref>
+
[[오세현]]은 [[서울대학교]] 컴퓨터 공학 학사와 함부르크 대학교에서 컴퓨터 공학 박사 과정까지 수료한 IT 및 소프트웨어 분야의 전문가이다. 오세현은 LG CNS 컨설턴트와 동부정보기술 컨설팅사업부문 부문장, KT 신사업본부 본부장 등 지난 30여년간 국내 및 해외 IT 업계의 주요 요직을 두루 역임한 [[ICT]] 전문가이다. 그녀는 현재 오픈블록체인산업협회의 초대 위원장 및 협회장을 맡고 있으며 SK 블록체인/인증 유닛장으로 있다. 한 때에는 전 서울시장 출신인 [[오세훈]]의 친동생으로 세간의 주목을 받기도 했다.
  
 
== 학력 ==
 
== 학력 ==
 
* 한성여자고등학교 졸업
 
* 한성여자고등학교 졸업
 
*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 학사
 
*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 학사
* 독일 [[함부르크대학교]](Universität Hamburg) 대학원 컴퓨터공학 석사
+
* 함부르크대학교(Universität Hamburg) 대학원 컴퓨터공학 석사
 
* 함부르크대학교 대학원 컴퓨터공학 박사과정 수료
 
* 함부르크대학교 대학원 컴퓨터공학 박사과정 수료
  
 
== 약력 ==
 
== 약력 ==
 
* 1999년 : [[LG]] CNS 컨설팅사업본부 컨설턴트
 
* 1999년 : [[LG]] CNS 컨설팅사업본부 컨설턴트
* [[인젠]] 부사장
+
* 인젠 부사장
* [[큐론]] 대표이사
+
* 큐론 대표이사
 
* 2006년 2월 : 동부정보기술 컨설팅사업부문 부문장, 최고기술임원(CTO) 상무
 
* 2006년 2월 : 동부정보기술 컨설팅사업부문 부문장, 최고기술임원(CTO) 상무
 
* 2008년 : [[IBM]] 유비쿼터스컴퓨팅연구소 상무
 
* 2008년 : [[IBM]] 유비쿼터스컴퓨팅연구소 상무
26번째 줄: 22번째 줄:
  
 
=== SK텔레콤 블록체인/인증 유닛장 ===
 
=== SK텔레콤 블록체인/인증 유닛장 ===
[[SK텔레콤]]은 2016년 7월 처음으로 [[블록체인]]이라는 기술이 어떤것인지, 심도있게 들여다 본 후, 이 기술이 가져올 변화와 혁신을 직감하고 깊이 빠져들었고 블록체인사업개발 유닛을 새로이 만들었다. 유닛의 수장은 [[ICT]] 기술에만 30년 동안 있던 베테랑인 [[오세현]]이 맡았다. 그녀는 [[오픈블록체인산업협회]] 협회장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오세현도 처음 SK텔레콤에 들어왔을 때 당시 SK C&C [[박정호]] 사장이 블록체인 기술을 검토해보라는 지시를 내렸고, 블록체인 기술을 알게 되고 나서 그녀는 'SK그룹 전체에 적용해야 할 굉장히 큰 기술이고 앞으로 문화, 사회 모두 바꿀 것'이라고 박정호 사장에게 보고했다고 말한다. 오세현이 말하는 블록체인의 핵심은 뛰어난 확장성이다. 블록체인 이전에는 4개 조직이 협업을 하려고 하면 각각의 조건을 맞춰 물리적인 통합이 필요했지만 블록체인에선 그렇게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그녀는 블록체인의 확장성으로 인해 앞으로 모든 소프트웨어 구조가 변경될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했다.<ref>임유경 기자, 〈[http://www.zdnet.co.kr/view/?no=20180319094124 "블록체인, 韓 IT가 세계 선도할 드문 기회"]〉, 《지디넷코리아》, 2018-03-19</ref>
+
[[SK텔레콤]]은 2016년 7월 처음으로 [[블록체인]]이라는 기술이 어떤것인지, 심도있게 들여다 본 후, 이 기술이 가져올 변화와 혁신을 직감하고 깊이 빠져들었고 블록체인사업개발유닛을 새로이 만들었다. 유닛의 수장은 [[ICT]]기술에만 30년 동안 있던 베테랑인 [[오세현]]이 맡았으며 그녀는 현재 오픈블록체인산업협회 협회장으로도 있다. 오세현도 처음 SK텔레콤에 들어왔을때 당시 SK C&C 박정호 사장이 블록체인 기술을 검토해보라는 지시를 내렸고 블록체인 기술을 알게 되고 나서 그녀는 'SK그룹 전체에 적용해야 할 굉장히 큰 기술이고 앞으로 문화, 사회 모두 바꿀 것'이라고 박정호 사장에게 보고했다고 말한다. 오세현이 말하는 블록체인의 핵심은 뛰어난 확장성이다. 블록체인 이전에는 4개 조직이 협업을 하려고 하면 각각의 조건을 맞춰 물리적인 통합이 필요했지만 블록체인에선 그렇게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그녀는 블록체인의 확장성으로 인해 앞으로 모든 소프트웨어 구조가 변경될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했다.<ref> 임유경 기자, 〈[http://www.zdnet.co.kr/view/?no=20180319094124 "블록체인, 韓 IT가 세계 선도할 드문 기회"]〉, 《ZD Net Korea》, 2018-03-19</ref>
  
하지만 SK라는 대기업이 블록체인 산업에 뛰어들며 향후 암호화폐 시장에 어떤 변화가 있을지와 블록체인에 관한 인식이 어떻게 개선이 되는지는 뚜렷한 로드맵 및 계획을 발표하지 않았다.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연구와 기술 발전의 방향성만 제시할 뿐, SK 자체에서 개발한 블록체인 기술을 발표한다는 등 뚜렷한 활동을 보여주지 못한 아쉬움이 있다.
+
하지만 SK라는 대기업이 블록체인 산업에 뛰어들며 향후 암호화폐 시장에 어떤 변화가 있을지와 블록체인에 관한 인식이 어떻게 개선이 되는지는 뚜렷한 로드맵 및 계획을 발표하지 않았다.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연구와 기술 발전의 방향성만 제시 할뿐, SK 자체에서 개발한 블록체인 기술을 발표한다는 등 뚜렷한 활동을 보여주지 못한 아쉬움이 있다.
  
 
이후 SK텔레콤 블록체인 사업개발 유닛은 명칭을 블록체인/인증 유닛으로 변경했다. 데이터 유닛에 소속된 이동통신 3사 통합인증 공동 브랜드인 [[패스]](PASS) 담당 조직을 블록체인/인증 유닛과 통합하였다. 이는 사업개발은 사라지고 인증으로 색깔이 완전히 달라졌다. 업계에서는 SK텔렠몸 블록체인 담당 조직이 출범하면서 했던 약속들이 모두 파기가 된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있었고 블록체인에 관한 글로벌 정세와 정부의 규제로 인한 블록체인 기술 개발의 미래를 보고 변경했을 것이라는 말도 있었다.<ref>정미하 기자,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1/16/2019011601313.html [해설] SK텔레콤 ICO 지원 서비스 물거품되나(?)]〉, 《IT Chosun》, 2019-01-16</ref>
 
이후 SK텔레콤 블록체인 사업개발 유닛은 명칭을 블록체인/인증 유닛으로 변경했다. 데이터 유닛에 소속된 이동통신 3사 통합인증 공동 브랜드인 [[패스]](PASS) 담당 조직을 블록체인/인증 유닛과 통합하였다. 이는 사업개발은 사라지고 인증으로 색깔이 완전히 달라졌다. 업계에서는 SK텔렠몸 블록체인 담당 조직이 출범하면서 했던 약속들이 모두 파기가 된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있었고 블록체인에 관한 글로벌 정세와 정부의 규제로 인한 블록체인 기술 개발의 미래를 보고 변경했을 것이라는 말도 있었다.<ref>정미하 기자,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1/16/2019011601313.html [해설] SK텔레콤 ICO 지원 서비스 물거품되나(?)]〉, 《IT Chosun》, 2019-01-16</ref>
56번째 줄: 52번째 줄:
 
* 허준 기자, 〈[http://www.fnnews.com/news/201902151325515582 오픈블록체인산업협회, 올해 해커톤-컨퍼런스 등 활동 본격화]〉, 《파이낸셜뉴스》, 2019-02-15
 
* 허준 기자, 〈[http://www.fnnews.com/news/201902151325515582 오픈블록체인산업협회, 올해 해커톤-컨퍼런스 등 활동 본격화]〉, 《파이낸셜뉴스》, 2019-02-15
 
* WUC Korea, 〈[https://blog.naver.com/cmcm508/221481471532 SK, 블록체인 개인 인증 기술 특허 출원!!]〉, 《네이버 블로그》, 2019-03-06
 
* WUC Korea, 〈[https://blog.naver.com/cmcm508/221481471532 SK, 블록체인 개인 인증 기술 특허 출원!!]〉, 《네이버 블로그》, 2019-03-06
* 김진범 기자, 〈[http://coinreaders.com/3788 (27일 블록체인 동향) 코인플러그-SK텔레콤, 메타디움 기반 제증명 서비스 개발 外]〉, 《코딩월드뉴스》, 2019-03-27
+
* 김진범 기자, 〈[http://coinreaders.com/3788 [27일 블록체인 동향]코인플러그-SK텔레콤, 메타디움 기반 제증명 서비스 개발 外]〉, 《코딩월드뉴스》, 2019-03-27
  
== 같이 보기 ==
+
== 같이보기 ==
 
* [[SK텔레콤]]
 
* [[SK텔레콤]]
* [[오픈블록체인산업협회]]
 
* [[코리아 블록체인 위크 2019]]
 
  
{{블록체인 개발업체 경영자|검토 필요}}
+
{{블록체인 개발업체 경영자|토막글}}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