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셉 김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에듀해시 글자.png|썸네일|300픽셀|'''[[에듀해시]]'''(EduHash)]]
 
[[파일:에듀해시 글자.png|썸네일|300픽셀|'''[[에듀해시]]'''(EduHash)]]
  
'''요셉 김'''은 [[블록체인]] 기반의 맞춤형 교육 콘텐츠 서비스 '''[[에듀해시]]'''(EduHash)의 [[블록체인]] 개발 책임자이다.
+
'''요셉 김'''은 [[블록체인]] 기반의 맞춤형 교육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암호화폐]]를 만든 '''[[에듀해시]]'''(EduHash)의 블록체인 개발 책임자이다.
 
 
== 생애 ==
 
[[요셉 김]]은 10살부터 [[ 프로그래밍]]을 하였다. 그리고 [[실리콘 밸리]] 15년 경력을 갖고 있다.<ref>김봉구 기자,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08101953g 코인터뷰] 블록체인 플랫폼에 AI 큐레이션 "교육업계 넷플릭스 되겠다"]〉, 《한국경제》, 2018-08-14</ref>
 
 
 
== 학력 ==
 
*뉴욕 Macaulay Honors 대학 컴퓨터 공학 전공
 
 
 
== 약력 ==
 
*2017년 1월 ~ 2018년 1월 CLASR CTO
 
*2018년 7월~현재 에듀해시 블록체인 개발 책임자
 
*2018년 8월~ 현재 xDLT CTO
 
 
 
== 주요 활동 ==
 
=== 에듀해시(EduHash) ===
 
 
 
[[에듀해시]]는 [[블록체인]] 기반의 맞춤형 교육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암호화폐]]이다. 에듀해시의 미션은 세가지이다. 첫째로 블록체인 기반에서 유저 모두에게 투명하고 공정한 [[보상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고 두번째는 맞춤식 교육서비스 및 질 좋은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세번째는 교육 후진국에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다. <ref name="에듀해시홈페이지"> 에듀해시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eduhash.io/</ref> 에듀해시 대표인 [[강기태]]는 교육삽업은 [[블록체인]]과 굉장히 적합한 산업이라고 강조한다. 에듀해시는 공부를 열심히 하는 학생, 좋은 컨텐츠를 만드는 제공자들에게 보상을 하는 시스템을 목표로 한다. 그 중에서도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블록체인을 이용한다.<ref name="에듀해시블로그"> '홍티' , 〈[http://hongt.kr/221387653695 에듀해시 "교육만큼 블록체인이 ''맞는 곳이 있을까요"]〉, 《네이버 블로그》, 2018-10-30</ref> 에듀해시는 자체 메인넷인 xDLT를 개발했다.<ref>'에듀해시' , 〈[https://blog.naver.com/eduhash-2018?Redirect=Log&logNo=221438816536 에듀해시(EduHash)의 xDLT, 블록체인 상용화를 위한 기술[출처] 에듀해시(EduHash)의 xDLT, 블록체인 상용화를 위한 기술]〉, 《네이버 블로그》, 2019-01-10</ref>
 
{{자세히|에듀해시}}
 
 
 
=== xDLT ===
 
[[xDLT]]는 에듀해시에서 개발한 차세대 [[기업형 블록체인]]이다. xDLT의 특징은 독창성, 고성능, 유연성으로 세가지이다.
 
xDLT는 전세계 최초로 자바스크립트 기반[[ 블록체인 메인넷]]이며 한국최초로 [[오픈소스]]에 의존하지 않고 원천기술로 구현하였다. 또한 전세계 최초로 [[분산원장]](dLT) 자체지원 언어를 내장하였고 분산원장 환경의 병렬개발환경을 지원하는 독창성을 갖고 있다. 그리고 국제 공익 120만 [[TPS]]에 달생한 블록체인 메인넷이며 전세계 최초 슈퍼컴퓨터 [[아키텍체]] 기반 고성능 기법을 적용하였다. [[마스터 노드 클러스터링]]으로 서버 성능을 극대화 하는등 고성능 기술을 갖고 있다. 또한 [[핫스왑]] 코드 업데이트, 쉬운 설정과 특성 설정, [[key]] 분실시 재등록 체계 도한 private/public을 동시 지원하는 등 유연성도 갖추었다.<ref name="에듀해시홈페이지"></ref>
 
 
 
{{자세히|xDLT}}
 
 
 
==== DXC 테크놀로지 ====
 
[[에듀해시]]는 '''[[DXC 테크놀로지]]'''와 계약을 한 상태이다. [[DXC 테크놀로지]]는 한국에서는 유명하지 않지만, 휴렛팩커드엔터프라이즈(HPE)와 CSC가 합병해 탄생한 IT 서비스 회사이다. 전세계 70여국에 6000여개의 고객사를 보유하고 있다. <ref name="에듀해시블로그"></ref>
 
 
 
{{자세히|DXC 테크놀로지}}
 
 
 
== 향후 계획 ==
 
 
 
에듀해시의 목표는 기존 교육산업을 올바른 방향으로 리딩하는 동시에 실제 산업에서 블록체인을 활용해 성공적으로 서비스를 론칭하는 것이다.<ref name="에듀해시블로그"></ref>
 
 
 
{{각주}}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 에듀해시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eduhash.io/
 
* 에듀해시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eduhash.io/
 
* 김봉구 기자,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08101953g (코인터뷰) 블록체인 플랫폼에 AI 큐레이션 "교육업계 넷플릭스 되겠다"]〉, 《한국경제》, 2018-08-14
 
* 김봉구 기자,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08101953g (코인터뷰) 블록체인 플랫폼에 AI 큐레이션 "교육업계 넷플릭스 되겠다"]〉, 《한국경제》, 2018-08-14
* '홍티' , 〈[http://hongt.kr/221387653695 에듀해시 "교육만큼 블록체인이 '꼭'맞는 곳이 있을까요"]〉, 《네이버 블로그》, 2018-10-30
 
*김봉구 기자,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08101953g 코인터뷰] 블록체인 플랫폼에 AI 큐레이션 "교육업계 넷플릭스 되겠다"]〉, 《한국경제》, 2018-08-14
 
*'에듀해시' , 〈[https://blog.naver.com/eduhash-2018?Redirect=Log&logNo=221438816536 에듀해시(EduHash)의 xDLT, 블록체인 상용화를 위한 기술[출처] 에듀해시(EduHash)의 xDLT, 블록체인 상용화를 위한 기술]〉, 《네이버 블로그》, 2019-01-10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49번째 줄: 12번째 줄:
 
* [[전중훤]]
 
* [[전중훤]]
  
{{블록체인 개발업체 경영자|검토 필요}}
+
{{블록체인 개발업체 경영자|토막글}}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