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발사체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한국형 발사체 ‘누리호’가 21일 오후 5시 정각에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 2발사대에서 발사되고 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png|썸네일|300픽셀|한국형 발사체 ‘누리호’가 21일 오후 5시 정각에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 2발사대에서 발사되고 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파일:한국형 발사체 ‘누리호’가 21일 오후 5시 정각에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 2발사대에서 발사되고 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png|썸네일|300픽셀|한국형 발사체 ‘누리호’가 21일 오후 5시 정각에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 2발사대에서 발사되고 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우주발사체'''<!--우주 발사체-->(宇宙發射體, launch vehicle, Space Launch Vehicle)는 [[탑재물]]을 [[지구]] 표면으로부터 [[우주]] 공간으로 옮기는 데 사용되는 [[로켓]]을 말한다. '''운반로켓'''<!--운반 로켓-->(carrier rocket)이라고도 한다. '발사 시스템'에는 [[발사체]], [[발사대]]와 기타 [[시설]]들이 포함된다. 보통 [[탑재물]]로서 [[인공위성]]이 [[궤도]]에 놓이지만, 일부 우주 비행은 궤도에 오르지 않거나 우주선으로 지구의 궤도로부터 완전히 벗어나기도 한다. 궤도에 오르지 않는 [[적재물]]을 운반하는 발사체를 '탐사로켓' 또는 '관측로켓'(sounding rocket)이라고도 한다.
+
'''우주발사체'''<!--우주 발사체-->(宇宙發射體, launch vehicle, Space Launch Vehicle)는 탑재물을 [[지구]] 표면으로부터 [[우주]] 공간으로 옮기는 데 사용되는 [[로켓]]을 말한다. '''운반로켓'''<!--운반 로켓-->(carrier rocket)이라고도 한다. '발사 시스템'에는 [[발사체]], [[발사대]]와 기타 [[시설]]들이 포함된다. 보통 [[탑재물]]로서 [[인공위성]]이 [[궤도]]에 놓이지만, 일부 우주 비행은 궤도에 오르지 않거나 우주선으로 지구의 궤도로부터 완전히 벗어나기도 한다. 궤도에 오르지 않는 [[적재물]]을 운반하는 발사체를 '탐사로켓' 또는 '관측로켓'(sounding rocket)이라고도 한다.
  
 
== 개요 ==
 
== 개요 ==
우주발사체는 [[탑재물]]을 싣고 [[지구]]를 벗어나 [[우주궤도]]의 정해진 곳까지 실어 올리는 [[로켓]](rocket)이다. 로켓은 작용과 반작용을 이용한 추진기관 또는 이 로켓기관으로 추진되는 [[비행체]]를 말한다. 앞 머리 부분에 위성을 우주로 실어 올리는 로켓을 우주발사체라고 하는 반면, 앞머리 부분에 위성 대신 폭탄을 실으면 [[미사일]](missile)로 구분한다.
+
우주발사체는 탑재물을 싣고 지구를 벗어나 우주궤도의 정해진 곳까지 실어 올리는 [[로켓]](rocket)이다. 로켓은 작용과 반작용을 이용한 추진기관 또는 이 로켓기관으로 추진되는 [[비행체]]를 말한다. 앞 머리 부분에 위성을 우주로 실어 올리는 로켓을 우주발사체라고 하는 반면, 앞머리 부분에 위성 대신 폭탄을 실으면 [[미사일]](missile)로 구분한다.
  
 
우주발사체는 인공위성ㆍ인공행성(人工行星)·달 탐사선 등 우주비행체를 쏘아 올리는 로켓으로, 지상에서 우주공간까지 화물을 실어 나를 수 있는 [[운송수단]]을 말한다. 우주발사체는 고도 3만 6000㎞의 정지궤도(고궤도)나 고도 500~1500km의 저궤도에 위성을 진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많은 국가들이 자국의 인공위성을 보유하려 하는데, 인공위성을 발사하기 위해서는 초당 7.8㎞의 속도를 낼 수 있는 로켓이 필요하다. 만약 자체 발사체를 개발하지 못하면 엄청난 비용을 주고 외국의 발사체를 사용해야 한다. 우주발사체 개발은 초반에는 러시아와 미국을 필두로 시작되었으나 1990년대 후반부터는 유럽연합(EU), 중국, 일본, 인도 등이 신흥 우주기술 강국으로 등장하면서 다양한 나라가 우주발사체 개발에 주체가 되고 있는 추세다.
 
우주발사체는 인공위성ㆍ인공행성(人工行星)·달 탐사선 등 우주비행체를 쏘아 올리는 로켓으로, 지상에서 우주공간까지 화물을 실어 나를 수 있는 [[운송수단]]을 말한다. 우주발사체는 고도 3만 6000㎞의 정지궤도(고궤도)나 고도 500~1500km의 저궤도에 위성을 진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많은 국가들이 자국의 인공위성을 보유하려 하는데, 인공위성을 발사하기 위해서는 초당 7.8㎞의 속도를 낼 수 있는 로켓이 필요하다. 만약 자체 발사체를 개발하지 못하면 엄청난 비용을 주고 외국의 발사체를 사용해야 한다. 우주발사체 개발은 초반에는 러시아와 미국을 필두로 시작되었으나 1990년대 후반부터는 유럽연합(EU), 중국, 일본, 인도 등이 신흥 우주기술 강국으로 등장하면서 다양한 나라가 우주발사체 개발에 주체가 되고 있는 추세다.

위키원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위키원: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