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통형 배터리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원통형 배터리.png|썸네일|300픽셀|오른쪽|삼성SDI 원통형 배터리]]
 
[[파일:원통형 배터리.png|썸네일|300픽셀|오른쪽|삼성SDI 원통형 배터리]]
 +
'''원통형'''은 배터리 소재를 원통으로 패키징하는 형태로 가장 전통적인 방식의 배터리이다. 전기차에는 주로 지름 18mm, 길이 65mm의 18650 규격이 사용된다. 원통형 배터리는 [[각형]] 배터리나 [[파우치형]] 배터리보다 가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에너지 밀도가 낮은 편이고 수명이 짧다는 단점이 있다. 원통형 배터리는 이 중 가장 오래된 기술이다. 흔히 볼 수 있는 AA건전지 형태로 과거 노트북이나 휴대폰 등에 주로 사용됐다. 전자기기의 슬림화와 함께 2010년 이후 성장세가 꺾였지만 미국 전기차 업체 [[테슬라]]가 원통형을 채택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테슬라는 일본 [[파나소닉]], [[LG에너지솔루션]](중국형 모델3·모델Y)으로부터 원통형 배터리를 공급받고 있다. 테슬라는 2020년 9월 '배터리데이'에서 신형 '4680 배터리'를 소개하며 미래 표준으로 원통형 배터리를 채택하겠다고 밝혔다. 원통형 배터리 톱3 업체는 [[파나소닉]], [[삼성SDI]], [[LG화학]]이다.
  
'''원통형 배터리'''<!--원통형배터리-->는 배터리 소재를 [[원통]]으로 [[패키징]]하는 형태로 가장 전통적인 방식의 [[배터리]]이다. 전기차에는 주로 지름 18mm, 길이 65mm의 18650 규격이 사용된다. 원통형 배터리는 [[각형 배터리]]나 [[파우치형 배터리]]보다 가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에너지 밀도]]가 낮은 편이고 수명이 짧다는 단점이 있다. 원통형 배터리는 이 중 가장 오래된 기술이다. 흔히 볼 수 있는 [[AA 건전지]] 형태로 과거 [[노트북]]이나 [[휴대폰]] 등에 주로 사용됐다. 전자기기의 슬림화와 함께 2010년 이후 성장세가 꺾였지만 미국 전기차 업체 [[테슬라]]가 원통형을 채택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테슬라는 일본 [[파나소닉]], [[LG에너지솔루션]](중국형 모델3·모델Y)으로부터 원통형 배터리를 공급받고 있다. 테슬라는 2020년 9월 '배터리데이'에서 신형 '4680 배터리'를 소개하며 미래 표준으로 원통형 배터리를 채택하겠다고 밝혔다. 원통형 배터리 톱3 업체는 [[파나소닉]], [[삼성SDI]], [[LG화학]]이다.
+
원통형 배터리는 IT 시장 중심으로 2011년까지 전성기를 누렸다. 이후 [[각형]], [[파우치형]] 배터리가 대중화되며 성장세가 한풀 꺾였다. 2014년부터 전동공구, 정원공구, 무선청소기와 같은 비(非)IT 중심으로 수요처가 달라졌으나 시장이 예상보다 빠르게 포화되면서 성장 동력 확보가 쉽지 않았다. 전기차, ESS와 함께 e바이크, 전동스쿠터와 같은 경전기이동수단(LEV)으로 적용 분야가 확대되고 있다.
 
 
원통형 배터리는 IT 시장 중심으로 2011년까지 전성기를 누렸다. 이후 [[각형 배터리]], [[파우치형 배터리]]대중화되며 성장세가 한풀 꺾였다. 2014년부터 전동공구, 정원공구, 무선청소기와 같은 비(非)IT 중심으로 수요처가 달라졌으나 시장이 예상보다 빠르게 포화되면서 성장 동력 확보가 쉽지 않았다. 전기차, ESS와 함께 e바이크, 전동스쿠터와 같은 경전기이동수단(LEV)으로 적용 분야가 확대되고 있다.
 
  
 
글로벌 원통형 배터리 시장은 2017년 70기가와트시(GWh)에서 올해 125GWh, 2020년에는 150GWh로 연평균성장률이 33%에 달할 전망이다. 이는 2011년부터 2016년까지 기록한 연평균성장률 19.1%를 크게 상회한 것이다.<ref>이수환 기자, 〈[http://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8016 한때 천덕꾸러기 원통형 배터리, 테슬라 덕분에 부활]〉, 《디일렉》, 2020-10-05</ref>
 
글로벌 원통형 배터리 시장은 2017년 70기가와트시(GWh)에서 올해 125GWh, 2020년에는 150GWh로 연평균성장률이 33%에 달할 전망이다. 이는 2011년부터 2016년까지 기록한 연평균성장률 19.1%를 크게 상회한 것이다.<ref>이수환 기자, 〈[http://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8016 한때 천덕꾸러기 원통형 배터리, 테슬라 덕분에 부활]〉, 《디일렉》, 2020-10-05</ref>
41번째 줄: 40번째 줄:
  
 
이런 문제를 테슬라는 어떻게 해결하려는 것일까? 열을 밖으로 배출시킬 수 없다면 근본적으로 발생하는 열의 양 자체를 줄이겠다는 것이 일론 머스크의 계획이다. 46800 배터리와 함께 배터리 데이에선 '탭리스(Tabless) 배터리'에 대한 생산 계획이 공식적으로 발표되었다. 탭(Tab)이란 배터리 내부의 전자가 외부의 전력 공급장치를 오고 가는 이동 통로를 말한다. 아래 그림 참조 배터리의 기능을 위해선 불가피한 부품이지만 탭의 존재로 인해 내부 저항이 커져 배터리 안에서 더 많은 열이 발생하게 된다. 때문에 이 탭을 제거해 저항을 줄임으로써 열 발생을 줄이겠다는 것이다.<ref name="브런치"></ref>  
 
이런 문제를 테슬라는 어떻게 해결하려는 것일까? 열을 밖으로 배출시킬 수 없다면 근본적으로 발생하는 열의 양 자체를 줄이겠다는 것이 일론 머스크의 계획이다. 46800 배터리와 함께 배터리 데이에선 '탭리스(Tabless) 배터리'에 대한 생산 계획이 공식적으로 발표되었다. 탭(Tab)이란 배터리 내부의 전자가 외부의 전력 공급장치를 오고 가는 이동 통로를 말한다. 아래 그림 참조 배터리의 기능을 위해선 불가피한 부품이지만 탭의 존재로 인해 내부 저항이 커져 배터리 안에서 더 많은 열이 발생하게 된다. 때문에 이 탭을 제거해 저항을 줄임으로써 열 발생을 줄이겠다는 것이다.<ref name="브런치"></ref>  
 
== 점유율 ==
 
[[파일: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유형별 탑재량. (출처 - 2021년 3월 Global EV and Battery Shipment Tracker, SNE리서치).png|썸네일|800픽셀|가운데|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유형별 탑재량. (출처 - 2021년 3월 Global EV and Battery Shipment Tracker, SNE리서치)]]  
 
SNE리서치가 2020년 연간 탑재된 글로벌 전기차의 배터리 유형별 점유율에서 [[파우치형]] 배터리가 2019년 대비 큰 폭으로 상승한 반면, 각형과 [[원통형]] 배터리는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탑재량(사용량)'은 해당 기간 전세계에서 등록된 전기차에 장착된 배터리의 에너지 양을 기준으로 한다. 이번 집계에서 파우치형이 원통형을 제치면서 각형과의 격차도 크게 좁힌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기관은 2020년 전세계 배터리 사용량이 전년 대비 22.0% 증가한 144.0GWh를 기록했으며, 이 가운데 파우치형은 탑재 규모가 2배 넘게 급증한 40.0GWh를 나타내면서 점유율 27.8%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보다 11.8%p나 급증한 것으로 원통형을 4.8%p 차이로 앞선 수치다. 조사기관은 파우치형의 주요 공급사인 LG에너지솔루션과 SK이노베이션을 중심으로 유럽과 북미 지역에서 탑재량이 급증한 것이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원통형 배터리는 전년 대비 3.6% 증가한 33.2GWh에 그쳐 점유율이 4.1%p 내려갔으며, 그에 따라 파우치형에 밀리는 양상이다. 원통형 배터리를 사용하는 테슬라의 전체 판매 물량이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 시장 침체로 JAC와 Xiaopeng Motor 등 현지 완성차 업체들의 공급 물량이 축소된 것이 전체 증가분을 상쇄시켰다는 분석이다.
 
 
2021년 연간 전기차용 배터리 유형별 점유율은 유럽 시장이 성장세를 유지하고 중국과 미국 시장이 회복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세 유형 모두 탑재 규모 자체는 견조하게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조사기관은 점유율 규모가 각형, [[파우치형]], [[원통형]] 순을 그대로 유지할 것이나, 2020년보다는 변동폭이 다소 줄어들 것으로 관측된다고 밝혔다.<ref>이동재 기자, 〈[http://www.hellot.net/new_hellot/magazine/magazine_read.html?code=203&sub=004&idx=57032 작년 전기차 배터리, 파우치형 점유율 급등...LG에너지, SK이노 탑재량 증가가 원인]〉, 《헬로티》, 2021-03-15</ref>
 
 
== 3가지 유형 배터리 비교 ==
 
[[파일:3가지유형 배터리 비교.jpg|썸네일|800픽셀|가운데|각형, 파우치형, 원통형 배터리 비교(출처:매일경제)]] 
 
 
{{각주}}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67번째 줄: 51번째 줄:
 
* 준선우, 〈[https://blog.lgchem.com/2016/07/battery-shape-principle/ 화학개론 전지의 원리와 형태]〉, 《LG화학공식블로그》, 2016-07-27
 
* 준선우, 〈[https://blog.lgchem.com/2016/07/battery-shape-principle/ 화학개론 전지의 원리와 형태]〉, 《LG화학공식블로그》, 2016-07-27
 
* 이수환 기자, 〈[http://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11917 삼성SDI-BMW, 차세대 전기차 배터리 개발 나선다]〉, 《 디일렉》, 2021-04-14
 
* 이수환 기자, 〈[http://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11917 삼성SDI-BMW, 차세대 전기차 배터리 개발 나선다]〉, 《 디일렉》, 2021-04-14
* 이동재 기자, 〈[http://www.hellot.net/new_hellot/magazine/magazine_read.html?code=203&sub=004&idx=57032 작년 전기차 배터리, 파우치형 점유율 급등...LG에너지, SK이노 탑재량 증가가 원인]〉, 《헬로티》, 2021-03-15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각형 배터리]]
+
* [[파우치형]]
* [[파우치형 배터리]]
+
* [[각형]]
 
* [[배터리]]
 
* [[배터리]]
  
 
{{배터리|검토 필요}}
 
{{배터리|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