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자동차산업협회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번째 줄: 2번째 줄:
 
[[파일:유럽자동차산업협회 글자.png|썸네일|300픽셀|'''유럽자동차산업협회'''(ACEA)]]
 
[[파일:유럽자동차산업협회 글자.png|썸네일|300픽셀|'''유럽자동차산업협회'''(ACEA)]]
  
'''유럽자동차산업협회'''<!--유럽 자동차 산업 협회-->(ACEA; European Automobile Manufacturers Association)는 [[유럽]]에서 [[자동차]]를 생산하는 업체들의 공통된 이익을 대변하고 현지 차량 판매 집계와 업계 동향 분석 등을 위해 1991년 설립된 [[단체]]이다. '''유럽자동차제조사협회'''<!--유럽 자동차 제조사 협회--> 또는 간략히 '''유럽자동차협회'''<!--유럽 자동차 협회-->라고도 한다. [[비엠더블유]](BMW), [[다임러]](Daimler), [[르노]](Renault), [[토요타]](Toyota), [[포드]](Ford) 등 글로벌 자동차 회사를 회원사로 두고 있으며, 대한민국의 [[현대자동차㈜]]도 2011년부터 유럽자동차산업협회의 회원사가 되어 주요 현안에 적극 협조하고 있다.<ref>정한국 기자,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1/06/11/2011061100042.html 현대車, 유럽 진출 34년만에 ACEA(유럽車공업협회) 가입]〉, 《조선비즈》, 2011-06-11</ref>
+
'''유럽자동차산업협회'''(ACEA; European Automobile Manufacturers Association)는 [[유럽]]에서 [[자동차]]를 생산하는 업체들의 공통된 이익을 대변하고 현지 차량 판매 집계와 업계 동향 분석 등을 위해 1991년 설립된 단체이다. [[비엠더블유]](BMW), [[다임러]](Daimler), [[르노]](Renault), [[토요타]](Toyota), [[포드]](Ford) 등 글로벌 자동차 회사를 회원사로 두고 있으며, 대한민국의 [[현대자동차㈜]]도 2011년부터 유럽자동차산업협회의 회원사가 되어 주요 현안에 적극 협조하고 있다.<ref>정한국 기자,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1/06/11/2011061100042.html 현대車, 유럽 진출 34년만에 ACEA(유럽車공업협회) 가입]〉, 《조선비즈》, 2011-06-11</ref>
  
 
==개요==
 
==개요==
 
유럽자동차산업협회는 불어 ‘Association des Constructeurs Européens d'Automobiles’의 약자인 ACEA로 주로 불리며 [[벨기에]]에 본부를 두고 있다. 유럽자동차산업협회는 [[미국석유협회]](API)와 함께 [[엔진오일]] 규격에 있어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미국석유협회의 규격과 달리 유럽자동차산업협회는 [[디젤엔진]]에 대한 구분이 세부적으로 되어 있는 점이 특징이다. 유럽에서 일찌감치 클린디젤의 가능성을 보고 [[디젤차]]를 개발했기 때문이다. 한국은 전통적으로 미국의 영향으로 인해 미국석유협회의 규격이 많이 사용되었지만, 디젤차의 대중화와 함께 유럽자동차산업협회의 규격도 많이 볼 수 있게 되었다. 오래 전에는 1972년 설립된 유럽자동차산업협회의 전신 제조업체위원회(CCMC; Comité des Constructeurs du Marché Commun)에서 엔진오일의 등급을 [[가솔린]]은 Gx로, 승용 디젤은 PDx로 카테고리를 나눠 관리해왔다. 이후 1996년부터 2003년까지는 [[가솔린차]]를 위한 A 클래스와 승용디젤용 B 클래스로 나뉘었고, 2004년부터는 A/B 클래스와 C 클래스로 나눠진 규격이 사용되고 있다. 가솔린과 디젤 자동차를 따로 구별하지 않고 후처리 장치 DPF(Diesel Particulate Filter) 또는 GPF(Gasoline Particulate Filter)의 유무로만 규격을 구분하며, 후처리 장치가 없으면 A/B 클래스, 후처리 장치가 있으면 C 클래스 규격을 사용하고 있다.<ref name='KIXX'>김보훈 윤활유 박사, 〈[https://kixxman.com/changes-of-acea 2021년 ACEA 신규 규격 분석 - Light Duty Vehicle 부분 업데이트]〉, 《KIXX》, 2021-12-09</ref>
 
유럽자동차산업협회는 불어 ‘Association des Constructeurs Européens d'Automobiles’의 약자인 ACEA로 주로 불리며 [[벨기에]]에 본부를 두고 있다. 유럽자동차산업협회는 [[미국석유협회]](API)와 함께 [[엔진오일]] 규격에 있어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미국석유협회의 규격과 달리 유럽자동차산업협회는 [[디젤엔진]]에 대한 구분이 세부적으로 되어 있는 점이 특징이다. 유럽에서 일찌감치 클린디젤의 가능성을 보고 [[디젤차]]를 개발했기 때문이다. 한국은 전통적으로 미국의 영향으로 인해 미국석유협회의 규격이 많이 사용되었지만, 디젤차의 대중화와 함께 유럽자동차산업협회의 규격도 많이 볼 수 있게 되었다. 오래 전에는 1972년 설립된 유럽자동차산업협회의 전신 제조업체위원회(CCMC; Comité des Constructeurs du Marché Commun)에서 엔진오일의 등급을 [[가솔린]]은 Gx로, 승용 디젤은 PDx로 카테고리를 나눠 관리해왔다. 이후 1996년부터 2003년까지는 [[가솔린차]]를 위한 A 클래스와 승용디젤용 B 클래스로 나뉘었고, 2004년부터는 A/B 클래스와 C 클래스로 나눠진 규격이 사용되고 있다. 가솔린과 디젤 자동차를 따로 구별하지 않고 후처리 장치 DPF(Diesel Particulate Filter) 또는 GPF(Gasoline Particulate Filter)의 유무로만 규격을 구분하며, 후처리 장치가 없으면 A/B 클래스, 후처리 장치가 있으면 C 클래스 규격을 사용하고 있다.<ref name='KIXX'>김보훈 윤활유 박사, 〈[https://kixxman.com/changes-of-acea 2021년 ACEA 신규 규격 분석 - Light Duty Vehicle 부분 업데이트]〉, 《KIXX》, 2021-12-09</ref>
 
+
==구성원==
 
협회의 구성원은 다음과 같다.
 
* '''[[비엠더블유]]'''(BMW)
 
* [[다프]](DAF)
 
* '''[[다임러]]'''(Daimler AG) : [[메르세데스-벤츠]](Mercedes-Benz), [[메르세데스-AMG]](Mercedes-AMG), [[메르세데스-마이바흐]](Mercedes-Maybach), [[스마트자동차]](Smart Automobile), [[세트라]](Setra), [[다임러 트럭 북아메리카]](Daimler Trucks North America), [[프레이트라이너]](Freightliner), [[디트로이트디젤]](Detroit Diesel), [[토마스빌트버스]](Thomas Built Buses), [[웨스턴스타]](Western Star), [[미쓰비시후소]](Mitsubishi Fuso)
 
* '''[[피아트 크라이슬러]]'''(FCA) : [[피아트 프로페셔널]](Fiat Professional), [[알파로메오]](Alfa Romeo), [[란치아]](Lancia), [[아바스]](Abarth), [[브이엠모토리]](VM Motori), [[닷지]](Dodge), [[지프]](Jeep), [[램 (회사)|램 트럭]](Ram Trucks), [[SRT (자동차)|에스알티]](SRT), [[모파]](Mopar), [[마세라티]](Maserati)
 
* [[포드|포드 유럽]](Ford Europe)
 
* [[페라리]](Ferrari)
 
* [[혼다]](Honda)
 
* [[현대자동차|현대자동차 유럽]](Hyundai Europe)
 
* [[이베코]](Iveco)
 
* [[재규어랜드로버]](Jaguar Land Rover)
 
* [[오펠]](Opel)
 
* '''[[PSA그룹]]'''(PSA Group) : [[푸조]](Peugeot), [[시트로엥]](Citroën), [[디에스오토모빌]](DS Automoblies), [[복스홀]](Vauxhall), [[오펠]](Opel)
 
* [[르노]](Renault)
 
* [[토요타|토요타 유럽]](Toyota Europe)
 
* '''[[폭스바겐그룹]]'''(Volkswagen Group) : [[폭스바겐]](Volkswagen), [[벤틀리]](Bentley), [[부가티]](Bugatti), [[포르쉐]](Porsche), [[스코다]](Škoda Auto), [[폭스바겐상용차]](VWN), [[만 (자동차)|만]](Man), [[스카니아]](Scania), [[아우디]](Audi), [[아우디스포츠]](Audi Sport), [[두카티]](Ducati), [[람보르기니]](Lamborghini), [[이탈디자인 주지아로]](Italdesign Giugiaro), [[세아트]](Seat)
 
* [[볼보]](Volvo)
 
 
 
==주요 인물==
 
[[파일:올리버 집세.jpg|썸네일|200픽셀|'''[[올리버 집세]]'''(Oliver Zipse)]]
 
 
 
* '''[[올리버 집세]]'''(Oliver Zipse) : 2020년 12월 [[비엠더블유]](BMW) 회장인 올리버 집세가 유럽자동차산업협회 회장에 선입되었다.
 
 
 
 
==기준 및 규격==
 
==기준 및 규격==
 
유럽자동차산업협회 규격은 2004년, 2007년, 2008년 업데이트가 되고, 그 후엔 2년마다 주기적으로 업데이트가 되어 왔다. 2014년을 제외하고 2010년, 2012년, 2016년에 각각 업데이트가 있었다. 유럽자동차산업협회의 규격은 A/B, C, E 3개의 클래스 내에서 12개의 카테고리를 유지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2016년에 A/B 클래스 4개(A1/B1, A3/B3, A3/B4, A5/B5), C 클래스 4개(C1, C2, C3, C4)가 규격 업데이트가 이뤄지며 A/B 클래스 3개(A3/B3, A3/B4, A5/B5), C 클래스(C1, C2, C3, C4, C5)로 바뀐 것이 그 예이다. E 클래스는 4개로 유지한다. 다만 앞으로 새로운 클래스, 예를 들어 E 클래스에서 파생된 [[연비]] 개선용 F 클래스가 등장하면 이 규칙은 바뀔 수도 있다. 2016년 업데이트 이후에는 오랜 기간 소식이 없다가 2021년 4월 30일 A/B와 C 클래스에 한해서 업데이트가 이뤄졌다. 유럽자동차산업협회는 새로운 규격이 나오면 명시된 날짜부터 의무적으로 적용해야 하므로, 2021년 5월 1일 부로 새 규격이 적용되며 이전 버전의 유예기간은 2~4년 정도다. 즉, 새로 생산되는 제품에는 2021년 버전이 적용되지만 이미 생산된 제품은 유예기간 안에 사용이 가능하다. 2021년 업데이트 중 가장 큰 변화는 ACEA A3/B3 규격이 사라지고 ACEA A7/B7 이 새로이 들어갔다는 점과, ACEA C1 규격이 사라지고 ACEA C6 규격이 새로이 들어간 점이다. 새로운 추가된 규격들은 기존 마지막 규격, 즉 ACEA A5/B5와 ACEA C5 규격에 [[가솔린엔진]]의 LSPI 해결, 타이밍체인 마모방지, [[터보차저]] [[엔진]]의 마모방지 기능 추가, [[디젤엔진]]의 터보차저 컴프레서 퇴적물(deposit) 방지 기능이 추가된 규격이다. 이전 규격까지는 GDI 엔진의 문제점인 LSPI와 [[포드]](Ford)사 자동차의 고질적인 문제점인 타이밍체인 마모를 방지하는 기능이 없었다. 물론 유럽 각 자동차 제조사들의 규격에는 적용이 되어 있었지만, ACEA의 규격에는 없었는데 2021년에 추가된 것이다. API SP 규격과 ILSAC GF-6와 비슷한 흐름을 반영했다고 볼 수 있다.<ref name='KIXX'/>
 
유럽자동차산업협회 규격은 2004년, 2007년, 2008년 업데이트가 되고, 그 후엔 2년마다 주기적으로 업데이트가 되어 왔다. 2014년을 제외하고 2010년, 2012년, 2016년에 각각 업데이트가 있었다. 유럽자동차산업협회의 규격은 A/B, C, E 3개의 클래스 내에서 12개의 카테고리를 유지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2016년에 A/B 클래스 4개(A1/B1, A3/B3, A3/B4, A5/B5), C 클래스 4개(C1, C2, C3, C4)가 규격 업데이트가 이뤄지며 A/B 클래스 3개(A3/B3, A3/B4, A5/B5), C 클래스(C1, C2, C3, C4, C5)로 바뀐 것이 그 예이다. E 클래스는 4개로 유지한다. 다만 앞으로 새로운 클래스, 예를 들어 E 클래스에서 파생된 [[연비]] 개선용 F 클래스가 등장하면 이 규칙은 바뀔 수도 있다. 2016년 업데이트 이후에는 오랜 기간 소식이 없다가 2021년 4월 30일 A/B와 C 클래스에 한해서 업데이트가 이뤄졌다. 유럽자동차산업협회는 새로운 규격이 나오면 명시된 날짜부터 의무적으로 적용해야 하므로, 2021년 5월 1일 부로 새 규격이 적용되며 이전 버전의 유예기간은 2~4년 정도다. 즉, 새로 생산되는 제품에는 2021년 버전이 적용되지만 이미 생산된 제품은 유예기간 안에 사용이 가능하다. 2021년 업데이트 중 가장 큰 변화는 ACEA A3/B3 규격이 사라지고 ACEA A7/B7 이 새로이 들어갔다는 점과, ACEA C1 규격이 사라지고 ACEA C6 규격이 새로이 들어간 점이다. 새로운 추가된 규격들은 기존 마지막 규격, 즉 ACEA A5/B5와 ACEA C5 규격에 [[가솔린엔진]]의 LSPI 해결, 타이밍체인 마모방지, [[터보차저]] [[엔진]]의 마모방지 기능 추가, [[디젤엔진]]의 터보차저 컴프레서 퇴적물(deposit) 방지 기능이 추가된 규격이다. 이전 규격까지는 GDI 엔진의 문제점인 LSPI와 [[포드]](Ford)사 자동차의 고질적인 문제점인 타이밍체인 마모를 방지하는 기능이 없었다. 물론 유럽 각 자동차 제조사들의 규격에는 적용이 되어 있었지만, ACEA의 규격에는 없었는데 2021년에 추가된 것이다. API SP 규격과 ILSAC GF-6와 비슷한 흐름을 반영했다고 볼 수 있다.<ref name='KIXX'/>
51번째 줄: 27번째 줄:
  
 
====NOACK 증발량====
 
====NOACK 증발량====
규격은 [[독일]]의 [[폭스바겐]](Volkswagen)사에 의해서 제창되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윤활유의 점도는 기유(基油)의 선정에 따라 결정된다.<ref>무한질주, 〈[https://blog.naver.com/redsky_no1/80004683571 디젤엔진오일 규격]〉, 《네이버 블로그》, 2004-08-07</ref> 베이스 오일은 점도가 낮을수록 단위시간당 휘발량이 많다. 특히 [[공랭식 엔진]]의 경우에 있어서는 [[수랭식 엔진]]에 비하면 [[윤활유]]가 높은 온도 조건에 노출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윤활유의 휘발량을 일정수준 이하로 규제 하여야만 한다. NOACK은 고온시(250˚C, 1시간)에 윤활유의 휘발량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일본의 경우에는 연료절약형 엔진오일인 저점도의 5W-30와 7.5W-30의 점도 그레이드가 증가되는 추세에 있으나 NOACK의 목표치인 13%이하는 합성유나 혹은 특수하게 처리된 베이스 오일을 사용하지 않고서는 이 규격을 만족시키기 어렵다.<ref>플러스오토, 〈[https://blog.naver.com/plusauto4972/221187688913 엔진오일에 대하여.. (세번째, 그리고 마지막..)]〉, 《네이버 블로그》, 2018-01-18</ref> 일반 광유(鑛油)의 NOACK 휘발도를 측정해보면 100N 베이스 오일(40˚C에서 21.5cSt)은 약 29%, SAE 30은 약 3%정도의 결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유럽의 각 윤활유 회사에서는 저점도의 연료절약형 엔진오일의 규격인 ACEA의 규격을 맞추기 위해서 원료유의 정제공법 향상에 노력을 다하여 왔다. NOACK증발량이 직접적으로 엔진오일의 소모성에 관련이 있는지는 계속 검토가 되어야 할 사항이지만 적어도 운전온도가 높은 엔진내부에 충분한 양의 엔진오일을 확보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알아볼 수 있는 시험이다.<ref name='원스코리아'>〈[https://prokcssmedia.blob.core.windows.net/sys-master-images/h9e/h6d/9415605157918/oncekorea%20company_2.pdf ::::: 유럽 자동차 제작자 협회(ACEA)의 성능분류 - NET]〉, 《원스코리아》</ref>
+
규격은 [[독일]]의 [[폭스바겐]](Volkswagen)사에 의해서 제창되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윤활유의 점도는 기유(基油)의 선정에 따라 결정된다.<ref>무한질주, 〈[https://blog.naver.com/redsky_no1/80004683571 디젤엔진오일 규격]〉, 《네이버 블로그》, 2004-08-07</ref> 베이스 오일은 점도가 낮을수록 단위시간당 휘발량이 많다. 특히 [[공랭식 엔진]]의 경우에 있어서는 [[수냉식 엔진]]에 비하면 [[윤활유]]가 높은 온도 조건에 노출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윤활유의 휘발량을 일정수준 이하로 규제 하여야만 한다. NOACK은 고온시(250˚C, 1시간)에 윤활유의 휘발량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일본의 경우에는 연료절약형 엔진오일인 저점도의 5W-30와 7.5W-30의 점도 그레이드가 증가되는 추세에 있으나 NOACK의 목표치인 13%이하는 합성유나 혹은 특수하게 처리된 베이스 오일을 사용하지 않고서는 이 규격을 만족시키기 어렵다.<ref>플러스오토, 〈[https://blog.naver.com/plusauto4972/221187688913 엔진오일에 대하여.. (세번째, 그리고 마지막..)]〉, 《네이버 블로그》, 2018-01-18</ref> 일반 광유(鑛油)의 NOACK 휘발도를 측정해보면 100N 베이스 오일(40˚C에서 21.5cSt)은 약 29%, SAE 30은 약 3%정도의 결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유럽의 각 윤활유 회사에서는 저점도의 연료절약형 엔진오일의 규격인 ACEA의 규격을 맞추기 위해서 원료유의 정제공법 향상에 노력을 다하여 왔다. NOACK증발량이 직접적으로 엔진오일의 소모성에 관련이 있는지는 계속 검토가 되어야 할 사항이지만 적어도 운전온도가 높은 엔진내부에 충분한 양의 엔진오일을 확보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알아볼 수 있는 시험이다.<ref name='원스코리아'>〈[https://prokcssmedia.blob.core.windows.net/sys-master-images/h9e/h6d/9415605157918/oncekorea%20company_2.pdf ::::: 유럽 자동차 제작자 협회(ACEA)의 성능분류 - NET]〉, 《원스코리아》</ref>
  
 
====전단 안정성====
 
====전단 안정성====
77번째 줄: 53번째 줄:
 
* [[엔진오일]]
 
* [[엔진오일]]
  
 +
{{로고 수정 필요}}
 
{{자동차 회사|검토 필요}}
 
{{자동차 회사|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