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상화물운송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육상화물운송'''<!--육상 화물 운송, 육상 화물운송-->은 [[육상]] 운송장비로 [[화물]]을 [[운송]]하는 것을 말한다. 육상화물운송의 종류에는 [[도로화물운송]], [[철도화물운송]], [[소화물운송]], [[파이프라인 운송]] 등이 있다.
+
'''육상화물운송'''은 [[육상]] 운송장비로 [[화물]]을 [[운송]]하는 것을 말한다.
  
== 도로화물운송 ==
 
[[화물자동차]]를 이용하여 각종 화물을 운송하거나, 견인․구난 및 특수 목적용 [[자동차]]를 이용하여 각종 화물 등을 운송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그 외 동물 또는 사람이 견인하거나 기타 비동력식 화물 차량을 운영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 화물차 세부기준 ===
 
화물차는 규모에 따라 경형, 소형, 중형, 대형으로 나뉜다. 승용차와 같이 경형을 규모에 따라 초소형과 일반형으로 나누어 분류하고 있다.
 
:{|class=wikitable width=700
 
!align=center rowspan=2 width=30|경형
 
!align=center|초소형
 
|align=center|배기량이 250cc([[전기자동차]]의 경우 최고정격출력이 15킬로와트) 이하이고,<br>길이 3.6미터·너비 1.5미터·높이 2.0미터 이하인 것
 
|-
 
!align=center|일반형
 
|align=center|배기량이 1,000cc 미만이고, 길이 3.6미터·너비 1.6미터·높이 2.0미터 이하인 것
 
|-
 
!align=center colspan=2|소형
 
|align=center|최대 적재량이 1톤 이하인 것으로서 총중량이 3.5톤 이하인 것
 
|-
 
!align=center colspan=2|중형
 
|align=center|최대 적재량이 1톤 초과 5톤 미만이거나 총중량이 3.5톤 초과 10톤 미만인 것
 
|-
 
!align=center colspan=2|대형
 
|align=center|최대 적재량이 5톤 이상이거나 총중량이 10톤 이상인 것
 
|}
 
 
=== 도로 화물 운송업 ===
 
* 일반 화물 자동차 운송업: 대형 화물 자동차(5톤 이상), 견인·구난 및 특수 목적용 대형 특수 자동차(10톤 이상)를 이용하여 각종 화물 등을 운송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용달 화물 자동차 운송업: 경․소형 화물 자동차(1톤 이하) 및 견인·구난 및 특수 목적용 경·소형 특수 자동차(3.5톤 이하)를 1대 이상 이용하여 각종 화물 등을 운송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개별 화물 자동차 운송업: 중형 화물 자동차(1톤 초과 5톤 미만) 및 견인·구난 및 특수 목적용 중형 특수 자동차(3.5톤 초과 10톤 미만) 1대를 이용하여 각종 화물 등을 운송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기타 도로 화물 운송업: 동물 견인 화물 차량, 비동력 화물 차량, 인력 견인 화물 차량 등으로 도로 화물 운송사업을 수행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장단점 ===
 
;장점
 
* 대규모 자본 투자 없이 도심지, 공업단지, 상업 및 업무지역까지 문전 운송을 수월하게 할 수 있는 편리성
 
* 고객의 리드타임 단축이나 납기를 탄력적으로 맞출 수 있음
 
* 근거리 운송 시, 철도나 해운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경제성
 
* 단거리 문전 운송 시 별도의 포장이나 설비 불필요하며 화물파손의 극소화
 
* 전자상거래의 확대, 택배 및 특송시장의 확대로 소량 화물을 다빈도로 신속ㆍ정확한 운송 가능
 
* 화물종류별로 특수설비를 갖춘 차량 운행 증가
 
 
;단점
 
* 대량운송에 적합하지 못함
 
* 장거리 운송 시 운임이 상대적으로 높음
 
* 운송의 안정성 결여
 
* 교통사고 및 공해문제 발생 원인 제공
 
* 교통체증을 유발
 
* 중량 제한으로 운송 규제를 받음
 
 
== 철도화물운송 ==
 
== 철도화물운송 ==
 
[[철도]] 차량을 이용하여 화물을 운송하는 것을 말한다.
 
[[철도]] 차량을 이용하여 화물을 운송하는 것을 말한다.
131번째 줄: 86번째 줄:
 
* 초기 대규모 자본 수요
 
* 초기 대규모 자본 수요
  
== 소화물운송 ==
+
== 도로화물운송 ==
[[소화물운송]]이란 [[서류]], [[소포]] 및 [[소화물]][[수집]], [[운반]], [[배달]]하는 것을 말한다. 하나 이상의 운송수단을 이용하여 운영할 있으며, 또한 그 운송수단은 자기 소유 운송수단 또는 공공 운송수단일 수 있다. 국영 또는 공영 이외의 우편업 활동도 포함한다.
+
[[화물자동차]]를 이용하여 각종 화물을 운송하거나, 견인․구난 특수 목적용 [[자동차]]를 이용하여 각종 화물 등을 운송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그 외 동물 또는 사람이 견인하거나 기타 비동력식 화물 차량을 운영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
 
 +
=== 화물차 세부기준 ===
 +
화물차는 규모에 따라 경형, 소형, 중형, 대형으로 나뉜다. 승용차와 같이 경형을 규모에 따라 초소형과 일반형으로 나누어 분류하고 있다.
 +
:{|class=wikitable width=700
 +
!align=center rowspan=2 width=30|경형
 +
!align=center|초소형
 +
|align=center|배기량이 250cc([[전기자동차]]의 경우 최고정격출력이 15킬로와트) 이하이고,<br>길이 3.6미터·너비 1.5미터·높이 2.0미터 이하인 것
 +
|-
 +
!align=center|일반형
 +
|align=center|배기량이 1,000cc 미만이고, 길이 3.6미터·너비 1.6미터·높이 2.0미터 이하인 것
 +
|-
 +
!align=center colspan=2|소형
 +
|align=center|최대 적재량이 1톤 이하인 것으로서 총중량이 3.5톤 이하인 것
 +
|-
 +
!align=center colspan=2|중형
 +
|align=center|최대 적재량이 1톤 초과 5톤 미만이거나 총중량이 3.5톤 초과 10톤 미만인 것
 +
|-
 +
!align=center colspan=2|대형
 +
|align=center|최대 적재량이 5톤 이상이거나 총중량이 10톤 이상인 것
 +
|}
 +
 
 +
=== 도로 화물 운송업 ===
 +
* 일반 화물 자동차 운송업: 대형 화물 자동차(5톤 이상), 견인·구난 및 특수 목적용 대형 특수 자동차(10톤 이상)를 이용하여 각종 화물 등을 운송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용달 화물 자동차 운송업: 경․소형 화물 자동차(1톤 이하) 및 견인·구난 및 특수 목적용 경·소형 특수 자동차(3.5톤 이하)를 1대 이상 이용하여 각종 화물 등을 운송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개별 화물 자동차 운송업: 중형 화물 자동차(1톤 초과 5톤 미만) 및 견인·구난 및 특수 목적용 중형 특수 자동차(3.5톤 초과 10톤 미만) 1대를 이용하여 각종 화물 등을 운송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기타 도로 화물 운송업: 동물 견인 화물 차량, 비동력 화물 차량, 인력 견인 화물 차량 등으로 도로 화물 운송사업을 수행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 장단점 ===
 +
;장점
 +
* 대규모 자본 투자 없이 도심지, 공업단지, 상업 및 업무지역까지 문전 운송을 수월하게 할 있는 편리성
 +
* 고객의 리드타임 단축이나 납기를 탄력적으로 맞출 수 있음
 +
* 근거리 운송 시, 철도나 해운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경제성
 +
* 단거리 문전 운송 시 별도의 포장이나 설비 불필요하며 화물파손의 극소화
 +
* 전자상거래의 확대, 택배 및 특송시장의 확대로 소량 화물을 다빈도로 신속ㆍ정확한 운송 가능
 +
* 화물종류별로 특수설비를 갖춘 차량 운행 증가
 +
 
 +
;단점
 +
* 대량운송에 적합하지 못함
 +
* 장거리 운송 시 운임이 상대적으로 높음
 +
* 운송의 안정성 결여
 +
* 교통사고 및 공해문제 발생 원인 제공
 +
* 교통체증을 유발
 +
* 중량 제한으로 운송 규제를 받음
  
 +
== 소화물 전문 운송 ==
 +
서류, 소포 및 소화물을 수집, 운반, 배달하는 것을 말한다. 하나 이상의 운송수단을 이용하여 운영할 수 있으며, 또한 그 운송수단은 자기 소유 운송수단 또는 공공 운송수단일 수 있다. 국영 또는 공영 이외의 우편업 활동도 포함한다.
 
=== 택배 ===
 
=== 택배 ===
 
대도시 지역이나 도시 간 소화물 [[택배]]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사업체는 택배 물품 수집 및 배달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형성하며 육상, 수상, 항공 수송 수단이 결합되어 수행될 수 있다. 국영 또는 공영 이외의 우편업 활동도 포함한다.
 
대도시 지역이나 도시 간 소화물 [[택배]]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사업체는 택배 물품 수집 및 배달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형성하며 육상, 수상, 항공 수송 수단이 결합되어 수행될 수 있다. 국영 또는 공영 이외의 우편업 활동도 포함한다.
144번째 줄: 144번째 줄:
  
 
== 파이프라인 운송 ==
 
== 파이프라인 운송 ==
[[파이프라인 운송]]은 [[파이프라인]]을 통하여 [[석유]]나 [[천연가스]], 가루 [[석탄]], 모래 등 공업 관련 제품을 [[운송]]하는 것이다. 이 중 가루 석탄이나 모래 등을 분말 상태로 만들어 물과 섞어 진흙 상태로 파이프라인을 통해 운송하는 방식을 슬러리 수송이라고도 한다. 다른 운송수단과 비교할 때 교통 혼잡이나 환경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장거리, 대량운송이 가능하여 비교적 유지비가 저렴한 특징이 있다.
+
파이프라인을 통하여 [[석유]]나 [[천연가스]], 가루 [[석탄]], 모래 등 공업 관련 제품을 운송하는 방식이다. 이 중 가루 석탄이나 모래 등을 분말 상태로 만들어 물과 섞어 진흙 상태로 파이프라인을 통해 운송하는 방식을 슬러리 수송이라고도 한다. 다른 운송수단과 비교할 때 교통 혼잡이나 환경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장거리, 대량운송이 가능하여 비교적 유지비가 저렴한 특징이 있다.
  
 
=== 장단점 ===
 
=== 장단점 ===
167번째 줄: 167번째 줄: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55036&cid=40942&categoryId=32360 화물자동차 (truck, 貨物自動車)]〉, 《두산백과》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55036&cid=40942&categoryId=32360 화물자동차 (truck, 貨物自動車)]〉, 《두산백과》
 
* 〈[https://easylaw.go.kr/CSP/CnpClsMain.laf?popMenu=ov&csmSeq=1151&ccfNo=1&cciNo=1&cnpClsNo=1 화물자동차 및 운송사업의 개념 및 종류]〉, 《찾기쉬운 생활법령정보》
 
* 〈[https://easylaw.go.kr/CSP/CnpClsMain.laf?popMenu=ov&csmSeq=1151&ccfNo=1&cciNo=1&cnpClsNo=1 화물자동차 및 운송사업의 개념 및 종류]〉, 《찾기쉬운 생활법령정보》
 +
 
* 〈[https://namu.wiki/w/%ED%83%9D%EB%B0%B0 택배]〉, 《나무위키》
 
* 〈[https://namu.wiki/w/%ED%83%9D%EB%B0%B0 택배]〉, 《나무위키》
* 관세청, 〈[https://m.blog.naver.com/k_customs/221580534561 파이프라인 운송, 그것이 궁금하다]〉, 《네이버 블로그》, 2019-07-08
 
 
* 김성현, 〈[https://www.kl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3034 위기의 철도물류, 재도약을 위한 방안은]〉, 《물류신문》,  2021-11-18
 
* 김성현, 〈[https://www.kl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3034 위기의 철도물류, 재도약을 위한 방안은]〉, 《물류신문》,  2021-11-18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육상]]
+
* [[운송]]
 
* [[화물]]
 
* [[화물]]
* [[운송]]
 
* [[화물운송]]
 
 
* [[화물차]]
 
* [[화물차]]
 +
* [[철도운송]]
 
* [[도로운송]]
 
* [[도로운송]]
* [[철도운송]]
 
* [[소화물운송]]
 
 
* [[파이프라인 운송]]
 
* [[파이프라인 운송]]
  
 
{{운송|검토 필요}}
 
{{운송|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