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거후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윤거후]]'''<!--윤거 후-->(輪距後, Rear Tread)는 좌우 [[뒷바퀴]]의 타이어 접촉면의 중심에서 중심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
 
 
{{:자동차 배너}}
 
{{:자동차 배너}}
  
==특징==
+
==개요==
윤거후는 뒤쪽 [[타이어]]가 지면을 접촉하는 지점에서 좌우 두 개의 타이어 중심선 사이의 거리를 말한다.<ref>〈[https://m.carisyou.com/theme/dic?initialYn=N&initialLang=&searchKeyword=%EC%9C%A4%EA%B1%B0+%ED%9B%84 윤거 후]〉, 《카이즈유》</ref> 보통 [[후륜구동]] 차량의 [[오버스티어]] 현상을 줄이기 위해 윤거후를 늘여 세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뒷바퀴가 코너 바깥 쪽으로 밀려나가는 힘에 대항하기 위해 윤거후를 넓히며, 고출력 후륜차량의 경우 더 넓은 후륜타이어를 써야하는데 차량의 안쪽으로 넓은 타이어를 밀어넣을 수 없으니 자연스레 바깥쪽으로 빼며 윤거후가 넓다는 특징이 있다.<ref>솔솔,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sol7177&logNo=221186306779 전후 윤거의 차이는]〉, 《솔솔》, 2018-01-16</ref> 또한 휴륜구동 모델의 경우 구동륜이 뒷바퀴이기 때문에 뒷바퀴 쪽의 코너링 포스가 약하다. 따라서 코너링 포스가 약한 뒤쪽의 윤거를 넓혀 차량 전체의 코너링 밸런스를 잡고 안정성을 높여야 한다. 하지만 과도한 윤거의 조절은 차량의 직진성과도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을 어렵게 만드는 경향이 있으며 개인의 스타일과 운전 성향에 맞게 조절하는 것이 가장 좋다.<ref>이진원, 〈[https://www.testdrive.or.kr/qna/218027 앞뒤 윤거가 다른이유??]〉, 《팀테스트드라이브》, 2007-11-13</ref>
+
 
 +
==역사==
 +
 
 +
==제품==
 +
 
 +
==근황==
  
 
{{각주}}
 
{{각주}}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 솔솔,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sol7177&logNo=221186306779 전후 윤거의 차이는]〉, 《솔솔》, 2018-01-16
+
 
* 〈[https://m.carisyou.com/theme/dic?initialYn=N&initialLang=&searchKeyword=%EC%9C%A4%EA%B1%B0+%ED%9B%84 윤거 후]〉, 《카이즈유》
 
* 이진원, 〈[https://www.testdrive.or.kr/qna/218027 앞뒤 윤거가 다른이유??]〉, 《팀테스트드라이브》, 2007-11-13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윤거]]
+
{{자동차 부품|토막글}}
* [[윤거전]]
 
 
 
{{자동차 외장|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