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자와 다케시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이데자와 다케시.PNG|썸네일|300픽셀|'''이데자와 다케시'''(出澤剛) [[라인㈜]] 대표이사]]
 
[[파일:이데자와 다케시.PNG|썸네일|300픽셀|'''이데자와 다케시'''(出澤剛) [[라인㈜]] 대표이사]]
[[파일:라인㈜ 글자.png|썸네일|300픽셀|'''[[라인㈜]]'''(LINE株式会社)]]
+
[[파일:라인㈜ 로고.png|썸네일|200픽셀|'''라인㈜'''(LINE株式会社) 로고]]
  
'''이데자와 다케시'''<!--이대자와 다케시, 이대자와 다캐시, 이대자와-->(出澤剛)는 [[네이버㈜]]의 일본 내 계열사인 [[라인㈜]](LINE) 주식회사와 17개 언어로 서비스되는 모바일 메신저 [[라인]](LINE)을 2019년 4월 1일부터 [[신중호]] 대표와 공동대표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라인은 라인㈜가 출시한 모바일 메신저이다.
+
'''이데자와 다케시'''(出澤剛)는 [[네이버㈜]]의 일본 내 계열사인 [[라인㈜]](LINE) 주식회사와 17개 언어로 서비스되는 모바일 메신저 [[라인]](LINE)을 2019년 4월 1일부터 [[신중호]] 대표와 공동대표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라인은 라인㈜가 출시한 모바일 메신저이다.
  
 
== 생애 ==
 
== 생애 ==
20번째 줄: 20번째 줄:
 
* 2018년 01월 : 라인 금융(LINE Financial) 대표이사 취임
 
* 2018년 01월 : 라인 금융(LINE Financial) 대표이사 취임
  
== 주요 활동 ==
+
== 주요활동 ==
=== 라인㈜ ===
+
=== 라인 ===
이데자와 다케시 라인 대표이사는 2017년 일본 도쿄 신주쿠에 있는 [[라인㈜]] 본사에서 한 언론사와 인터뷰를 통해 "라인 고객들이 자연스럽게 라인페이로 옮겨가고 있다. 앞으로 3~4년 안에 아시아 4개국 모바일결제시장에서 1위를 차지하겠다."라고 말했다. 그의 목표는 라인을 모바일 결제시장에서도 1위로 만드는 것이다. 네이버 자회사 라인이 운영하는 모바일 메신저 라인은 일본, 인도네시아, 태국, 대만 1위 모바일 메신저이다. 2013년부터 2016년까지 4년 연속 세계 모바일 앱 매출 1위를 차지했다. 금융사업이 네이버의 강력한 새 성장동력으로 떠오르면서 이데자와 대표가 주목받고 있다. 라인은 2018년 1분기 연결기준으로 네이버 전체 매출의 약 40% 가까이에 이를 만큼 네이버의 실적에도 절대적 영향을 끼쳤다. 이데자와 다케시 대표는 컬처라이즈(Culture+Localize)라는 철저한 현지화를 통해 라인페이를 동남아시아 나라들에 뿌리내리겠다는 전략을 세우고 있다. 이데자와 다케시 대표는 2017년 1월 스페인 바로셀로나에서 열린 세계 최대 모바일 전시회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2017의 기조연설에서 "일본에서는 라인으로 택시를 부르지만 인도네시아에서는 라인으로 오토바이를 부르며, 현지 문화에 녹아드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라인의 경쟁력"이라고 말했다.
+
이데자와 다케시 라인 대표이사는 2017년 일본 도쿄 신주쿠에 있는 라인 본사에서 한 언론사와 인터뷰를 통해 "라인 고객들이 자연스럽게 라인페이로 옮겨가고 있다. 앞으로 3~4년 안에 아시아 4개국 모바일결제시장에서 1위를 차지하겠다."라고 말했다. 그의 목표는 라인을 모바일 결제시장에서도 1위로 만드는 것이다. 네이버 자회사 라인이 운영하는 모바일 메신저 라인은 일본, 인도네시아, 태국, 대만 1위 모바일 메신저이다. 2013년부터 2016년까지 4년 연속 세계 모바일 앱 매출 1위를 차지했다. 금융사업이 네이버의 강력한 새 성장동력으로 떠오르면서 이데자와 대표가 주목받고 있다. 라인은 2018년 1분기 연결기준으로 네이버 전체 매출의 약 40% 가까이에 이를 만큼 네이버의 실적에도 절대적 영향을 끼쳤다. 이데자와 다케시 대표는 컬처라이즈(Culture+Localize)라는 철저한 현지화를 통해 라인페이를 동남아시아 나라들에 뿌리내리겠다는 전략을 세우고 있다. 이데자와 다케시 대표는 2017년 1월 스페인 바로셀로나에서 열린 세계 최대 모바일 전시회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2017의 기조연설에서 "일본에서는 라인으로 택시를 부르지만 인도네시아에서는 라인으로 오토바이를 부르며, 현지 문화에 녹아드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라인의 경쟁력"이라고 말했다.
  
그는 모든 서비스를 하나로 통일해 제공하는 미국 정보통신 [[IT]] 회사들과 라인의 가장 큰 차별점도 바로 현지화에 있다. 라인은 2014년 일본에 처음으로 모바일결제 서비스 라인페이를 출시했는데, 라인 결제액은 2016년 4분기 약 112억 원에서 2017년 4분기에 약 2조3170억 원으로 1년 만에 20배 가까이 성장했다. 가파른 성장세 뒤에는 철저한 현지화 전략이 녹아 있다. 대표적으로 라인은 지난해 일본인들이 신년에 세뱃돈 주머니를 선물하는 풍습에서 착안해 라인으로 세뱃돈 주머니와 메시지를 보내는 행사를 했는데 석 달 동안 무려 2449만 명이 참가했다. 대만에서는 라인프렌즈 신용카드를 선보여 1년 만에 150만 장 발급이라는 이례없는 성과를 냈다. 대만에서 인기가 높은 캐릭터 라인프렌즈를 앞세운 전략으로 대만전략이 성공했다. 태국에 라인프렌즈 큐알코드라는 참신한 서비스를 선보여 주목받기도 했다. 라인프렌즈 큐알코드는 사용자가 라인페이를 스캔하면, 자동으로 결제되는 서비스이다. 대만의 한 경제지에 라인페이가 소개되기도 했다. 라인은 작게는 가계부부터 전문가의 자산관리 서비스까지 받을 수 있는 자산관리 서비스도 준비하고 있다. 이 밖에도 라인보험, 라인투자, 라인주식, 라인 대출 등 서비스도 개발하고 있다. 모회사 네이버의 성장 속도가 더뎌지고 있다는 점에서 이데자 다케시와 대표의 어깨도 더욱 무거워지고 있다.<ref name="서나"></ref> {{자세히|라인㈜}}
+
그는 모든 서비스를 하나로 통일해 제공하는 미국 정보통신 [[IT]] 회사들과 라인의 가장 큰 차별점도 바로 현지화에 있다. 라인은 2014년 일본에 처음으로 모바일결제 서비스 라인페이를 출시했는데, 라인 결제액은 2016년 4분기 약 112억 원에서 2017년 4분기에 약 2조3170억 원으로 1년 만에 20배 가까이 성장했다. 가파른 성장세 뒤에는 철저한 현지화 전략이 녹아 있다. 대표적으로 라인은 지난해 일본인들이 신년에 세뱃돈 주머니를 선물하는 풍습에서 착안해 라인으로 세뱃돈 주머니와 메시지를 보내는 행사를 했는데 석 달 동안 무려 2449만 명이 참가했다. 대만에서는 라인프렌즈 신용카드를 선보여 1년 만에 150만 장 발급이라는 이례없는 성과를 냈다. 대만에서 인기가 높은 캐릭터 라인프렌즈를 앞세운 전략으로 대만전략이 성공했다. 태국에 라인프렌즈 큐알코드라는 참신한 서비스를 선보여 주목받기도 했다. 라인프렌즈 큐알코드는 사용자가 라인페이를 스캔하면, 자동으로 결제되는 서비스이다. 대만의 한 경제지에 라인페이가 소개되기도 했다. 라인은 작게는 가계부부터 전문가의 자산관리 서비스까지 받을 수 있는 자산관리 서비스도 준비하고 있다. 이 밖에도 라인보험, 라인투자, 라인주식, 라인 대출 등 서비스도 개발하고 있다. 모회사 네이버의 성장 속도가 더뎌지고 있다는 점에서 이데자 다케시와 대표의 어깨도 더욱 무거워지고 있다.<ref name="서나"></ref>
  
 
{{각주}}
 
{{각주}}
37번째 줄: 37번째 줄:
 
* [[신중호]]
 
* [[신중호]]
  
{{인터넷 기업가|검토 필요}}
+
{{블록체인 개발업체 경영자|검토 필요}}
{{블록체인 개발업체 경영자}}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