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55번째 줄: 55번째 줄:
 
한편 세계 인구는 2011년 10월 31일을 기해 70억명을 돌파하였다. 세계 인구가 70억명을 돌파하기 전의 마지막 세계 인구의 날이던 2011년 7월 11일, UN 산하의 국제 연합 인구 기금(UNFPA)은 여성과 젊은이에게 교육 및 가족계획에 더 나은 기회를 주자는 취지에서 '70억 운동'을 전개하기 시작하였다.
 
한편 세계 인구는 2011년 10월 31일을 기해 70억명을 돌파하였다. 세계 인구가 70억명을 돌파하기 전의 마지막 세계 인구의 날이던 2011년 7월 11일, UN 산하의 국제 연합 인구 기금(UNFPA)은 여성과 젊은이에게 교육 및 가족계획에 더 나은 기회를 주자는 취지에서 '70억 운동'을 전개하기 시작하였다.
  
== 주요 국가별 인구분포(2020년 기준) ==
+
== 주요 국가별 인구분포 ==
 
;1위 [[중국]] 약 14억
 
;1위 [[중국]] 약 14억
전 세계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국가 순위 1위는 중국이다. 약 14억 명의 인구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전 세계 인구의 18.47%이다. 중국은 1979년부터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인구수 때문에, 1가정 1자녀 정책을 펼치고 있었다. 하지만 2015년에는 해당 정책이 폐지되었다. 굳이 대대적인 정책을 펼치지 않아도 요즘은 둘째, 셋째 낳기를 꺼리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중국은 세상에서 가장 많은 인구수를 보유하고 있지만, 인구 증가율은 약 0.5%에 불과하다.
+
전 세계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국가 순위 1위는 중국이다. 약 14억의 인구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전 세계 인구의 18.47%이다. 중국은 1979년부터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인구수 때문에, 1가정 1자녀 정책을 펼치고 있었다. 하지만 2015년에는 해당 정책이 폐지되었다. 굳이 대대적인 정책을 펼치지 않아도 요즘은 둘째, 셋째 낳기를 꺼리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중국은 세상에서 가장 많은 인구수를 보유하고 있지만, 인구 증가율은 약 0.5%에 불과하다.
  
;2위 [[인도]] 약 13.9억
+
;2위 [[인도]] 약 13억
전 세계 인구순위 2위는 인도이다. 약 13.9억 명의 인구가 추산되고 있으며, 이는 전 세계 인구의 17.7%이다. 최근 유엔(UN)의 전망에 따르면 인도는 2027년 내로, 세계에서 가장 많은 인구를 보유한 국가가 될 것이라고 한다. 하지만 현재 인도는 여성 교육 수준 상승과 빈곤, 빈부격차가 완화되기 시작하면서 인구 증가율이 둔화하고 있다.
+
전 세계 인구순위 2위는 인도이다. 약 13억의 인구가 추산되고 있으며, 이는 전 세계 인구의 17.7%이다. 최근 유엔(UN)의 전망에 따르면 인도는 2027년 내로, 세계에서 가장 많은 인구를 보유한 국가가 될 것이라고 한다. 하지만 현재 인도는 여성 교육 수준 상승과 빈곤, 빈부격차가 완화되기 시작하면서 인구 증가율이 둔화하고 있다.
  
 
;3위 [[미국]] 약 3.3억
 
;3위 [[미국]] 약 3.3억
109번째 줄: 109번째 줄:
 
이 연구는 2100년 195개 국가 중 185개국이 인구감소를 막을 수 있는 출산율인 2.1명보다 낮은 출산율을 보일 것이라고 예측했다. 한국 등 부유한 국가들이 경제 성장을 이어가려면 아이를 원하는 가정에 지원을 아끼지 않고, 유연한 이민정책을 도입하는 게 최선의 방법이라고 연구는 제안했다.<ref> 정의길 기자, 〈[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953760.html 세계인구 2100년 88억명…한국은 인구 반토막]〉, 《한겨레》,  2020-07-15 </ref>
 
이 연구는 2100년 195개 국가 중 185개국이 인구감소를 막을 수 있는 출산율인 2.1명보다 낮은 출산율을 보일 것이라고 예측했다. 한국 등 부유한 국가들이 경제 성장을 이어가려면 아이를 원하는 가정에 지원을 아끼지 않고, 유연한 이민정책을 도입하는 게 최선의 방법이라고 연구는 제안했다.<ref> 정의길 기자, 〈[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953760.html 세계인구 2100년 88억명…한국은 인구 반토막]〉, 《한겨레》,  2020-07-15 </ref>
  
== 대한민국 현황 ==
+
== 우리나라 현황 ==
[[파일:우리나라 인구 현황 및 추이.png|썸네일|300픽셀|대한민국 인구 현황 및 추이]]
+
[[파일:우리나라 인구 현황 및 추이.png|썸네일|300픽셀|우리나라 인구 현황 및 추이]]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인구동향조사 출생・사망통계 잠정 결과'를 보면 2021년 출생아수는 26만500명으로, 2020년(27만2300명)보다 4.3% 줄었다. 통계가 작성된 1970년 이래 역대 최저다. 출생아 수는 2002년부터 15년간 40만명대를 유지하다 2017년 30만명대로 떨어졌다. 이후 2020년에 20만명대로 진입한 뒤 계속 감소하고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인구동향조사 출생・사망통계 잠정 결과'를 보면 2021년 출생아수는 26만500명으로, 2020년(27만2300명)보다 4.3% 줄었다. 통계가 작성된 1970년 이래 역대 최저다. 출생아 수는 2002년부터 15년간 40만명대를 유지하다 2017년 30만명대로 떨어졌다. 이후 2020년에 20만명대로 진입한 뒤 계속 감소하고 있다.
  
139번째 줄: 139번째 줄:
 
* [[인구지도]]
 
* [[인구지도]]
  
{{인간|검토 필요}}
+
{{운송|검토 필요}}
{{부동산}}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