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탠저블랩스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7번째 줄: 17번째 줄:
 
2018년 4월 인탠저블랩스는 알고리즘 기반의 스테이블 코인 "베이시스(Basis)"를 출시하였다. 기존에는 베이스코인(Basecoin)이라고 부르다가 베이시스로 이름을 변경했다. 이 베이시스는 자체 블록체인 [[프로토콜]] 안에서 [[중앙은행]]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른바 ‘알고리즘 중앙은행’이다. 또 인탠저블랩스는 베이시스 [[토큰]]의 가격을 유지하기 위해서 본드 토큰(Bond Token)과 쉐어 토큰(Share Token)이라는 또 다른 두 개의 토큰을 활용했는데, 먼저 본드 토큰은 베이시스 토큰과 교환될 수 있는 [[채권]]의 역할을 한다. 베이시스 토큰 가격이 목표로 하는 기준 가격 이하로 떨어져 공급량을 줄여야 할 때 프로토콜은 베이시스 토큰을 받고 베이스 본드를 경매 방식으로 매도하는 것이다. 이 과정을 거치면 베이시스 토큰의 공급량이 감소해 스테이블 코인의 가치가 상승하게 된다. 반대로 베이시스 토큰 가격이 상승하면 시중에 풀린 본드 토큰을 베이시스 토큰으로 사들여 가격에 하방 압력을 가한다. 이렇게 알고리즘 기반의 스테이블코인인 베이시스는 수요에 따라 공급량을 계속 조정하는 방식을 통해 가격의 일정한 유지가 가능하다.
 
2018년 4월 인탠저블랩스는 알고리즘 기반의 스테이블 코인 "베이시스(Basis)"를 출시하였다. 기존에는 베이스코인(Basecoin)이라고 부르다가 베이시스로 이름을 변경했다. 이 베이시스는 자체 블록체인 [[프로토콜]] 안에서 [[중앙은행]]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른바 ‘알고리즘 중앙은행’이다. 또 인탠저블랩스는 베이시스 [[토큰]]의 가격을 유지하기 위해서 본드 토큰(Bond Token)과 쉐어 토큰(Share Token)이라는 또 다른 두 개의 토큰을 활용했는데, 먼저 본드 토큰은 베이시스 토큰과 교환될 수 있는 [[채권]]의 역할을 한다. 베이시스 토큰 가격이 목표로 하는 기준 가격 이하로 떨어져 공급량을 줄여야 할 때 프로토콜은 베이시스 토큰을 받고 베이스 본드를 경매 방식으로 매도하는 것이다. 이 과정을 거치면 베이시스 토큰의 공급량이 감소해 스테이블 코인의 가치가 상승하게 된다. 반대로 베이시스 토큰 가격이 상승하면 시중에 풀린 본드 토큰을 베이시스 토큰으로 사들여 가격에 하방 압력을 가한다. 이렇게 알고리즘 기반의 스테이블코인인 베이시스는 수요에 따라 공급량을 계속 조정하는 방식을 통해 가격의 일정한 유지가 가능하다.
  
또한 베이시스는 통화를 위해 자산을 담보하거나, 담보를 받을 필요가 없어 규모 제약이 없다. 하지만 담보가 없는 대신 시스템에 대한 신뢰가 있어야 하는데, 이때 베이시스는 네트워크의 소프트웨어를 관장하는 알고리즘이 신뢰의 대상이 된다. 그리고 달러 법정화폐 담보 및 [[이더리움]] 같은 일반적인 암호화폐 담보 스테이블 코인과 달리, 베이시스는 아무 담보 없이 순수 알고리즘 기반으로 코인의 가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 큰 특징이다.<ref> Nader Al-Naji,"[https://www.basis.io/basis_whitepaper_en.pdf Basis Whitepaper]", ''Basis'', 2017-06-20</ref>
+
또한 베이시스는 통화를 위해 자산을 담보하거나, 담보를 받을 필요가 없어 규모 제약이 없다. 하지만 담보가 없는 대신 시스템에 대한 신뢰가 있어야 하는데, 이때 베이시스는 네트워크의 소프트웨어를 관장하는 알고리즘이 신뢰의 대상이 된다. 그리고 달러 법정화폐 담보 및 [[이더리움]] 같은 일반적인 암호화폐 담보 스테이블 코인과 달리, 베이시스는 아무 담보 없이 순수 알고리즘 기반으로 코인의 가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 큰 특징이다.  
  
 
== 논란 ==
 
== 논란 ==
31번째 줄: 31번째 줄:
 
* 나데르 알-나지 링크드인 - https://www.linkedin.com/in/nader-al-naji-86b14a3a/
 
* 나데르 알-나지 링크드인 - https://www.linkedin.com/in/nader-al-naji-86b14a3a/
 
* 로렌스 디아오 링크드인 - https://www.linkedin.com/in/ldiao/
 
* 로렌스 디아오 링크드인 - https://www.linkedin.com/in/ldiao/
* Nader Al-Naji,"[https://www.basis.io/basis_whitepaper_en.pdf Basis Whitepaper]", ''Basis'', 2017-06-20
 
 
* 김정한 기자, 〈[https://www.news1.kr/articles/?3294261 인텐저블 랩스, 암호화폐 프로젝트 1.33억불 투자 유치]〉, 《뉴스원》, 2018-04-19
 
* 김정한 기자, 〈[https://www.news1.kr/articles/?3294261 인텐저블 랩스, 암호화폐 프로젝트 1.33억불 투자 유치]〉, 《뉴스원》, 2018-04-19
 
* 오진석 기자, 〈[http://blockchainnews.co.kr/skin/news/basic/view_pop.php?v_idx=3292 '무담보 스테이블코인' 베이시스, 증권법 규제로 개발 전면 중단]〉, 《블록체인 뉴스》, 2018-12-14
 
* 오진석 기자, 〈[http://blockchainnews.co.kr/skin/news/basic/view_pop.php?v_idx=3292 '무담보 스테이블코인' 베이시스, 증권법 규제로 개발 전면 중단]〉, 《블록체인 뉴스》, 2018-12-14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