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성훈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장성훈.jpg|썸네일|300픽셀|'''장성훈'''(Jang Seong Hoon)]]
+
[[파일:장성훈.png|썸네일|200픽셀|'''[[장성훈]]''' 대표]]
[[파일:비트베리 글자.png|썸네일|300픽셀|'''[[비트베리]]'''(BitBerry)]]
+
[[파일:비트베리 로고.png|썸네일|200픽셀|'''비트베리'''(BitBerry) 로고]]
[[파일:㈜루트원소프트 글자.png|썸네일|300픽셀|'''[[㈜루트원소프트]]''']]
+
[[파일:비트베리 글자.png|썸네일|300픽셀|'''비트베리'''(BitBerry) 로고와 글자]]
  
'''장성훈'''(Jang Seong Hoon)은 암호화폐 지갑인 '''[[비트베리]]'''(Bitberry)를 개발한 [[㈜루트원소프트]]의 공동창업자겸 대표이사(CEO)이다.
+
'''장성훈'''(Jang Seong Hoon)은 암호화폐 [[비트베리]]를 개발한 [[㈜루트원소프트]]의 공동창업자겸 최고경영자이다.
  
 
==약력==
 
==약력==
* 2002년 ~ 2005년 : [[카이스트]](KAIST) 컴퓨터과학
+
* 2002년 ~ 2005년 : 카이스트(KAIST) 컴퓨터 과학
* 2005년 ~ 2007년 : 카이스트(KAIST) 컴퓨터 소프트웨어 공학 석사
+
* 2005년 ~ 2007년 : 카이스트(KAIST) 석사학위/컴퓨터 소프트웨어 공학
* 2007년 08월 ~ 2009년 12월 : [[티맥스소프트]](Tmax Soft)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
* 2007년 8월 ~ 2009년 12월 : 티맥스소프트(Tmax Soft)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 2010년 01월 ~ 2011년 06월 : [[엘지전자]](LG Electronics)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
* 2010년 1월 ~ 2011년 6월 : 엘지전자(LG Electronics)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 2011년 ~ 2011년 11월 : [[로티플]](Lotiple) 최고기술책임자 공동창업자
+
* 2011년 ~ 2011년 11월 : 로티플(Lotiple) 최고기술책임자 & 공동창업자
* 2011년 11월 ~ 2016년 03월 : [[카카오]](Kakao)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
* 2011년 11월 ~ 2016년 3월 : 카카오(Kakao)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 2016년 06월 ~ 현재 : [[㈜루트원소프트]](RootOne Soft) 최고경영자 공동창업자
+
* 2016년 6월 ~ 현재 : 루트원(RootOne) 최고경영자 & 공동창업자
  
 
==주요활동==
 
==주요활동==
18번째 줄: 18번째 줄:
 
[[비트베리]](Bitberry)는 [[업비트]] 거래소를 운영하고 있는 [[두나무㈜]]<!--두나무-->의 자회사인 [[㈜루트원소프트]]<!--루트원소프트, 루트원 소프트-->가 만든 암호화폐 지갑이다. 비트베리는 카카오/구글 계정으로 로그인하고, 전화번호 기반으로 송금할 수 있는 멀티 [[암호화폐 지갑]]이다. 다른 암호화폐 지갑들과 비트베리의 가장 큰 차이점은 비트베리가 모회사인 [[업비트]](Upbit) 수준의 강력한 보안 시스템으로 직접 키를 관리한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종종 발생하는 프라이빗 키 분실 혹은 해킹 문제에서 벗어나 안전하게 자산을 관리할 수 있으며, 60자리 되는 [[퍼블릭 키]]를 일일이 입력할 필요없이 전화번호 기반으로 쉽게 송입금이 가능하다. 심지어 [[수수료]]도 무료이다. 이처럼 블록체인을 모르는 일반인도 사용할 수 있는 [[UX]]가 비트베리의 큰 장점이다. 2019년 6월 기준으로, 비트베리는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메인넷을 지원하고 있으며 향후 [[테라]], [[클레이튼]], [[리플]], [[이오스]], [[아이콘]] 등의 메인넷 지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안드로이드]], [[아이오에스]](iOS) 모바일 앱을 모두 지원하고 있다.
 
[[비트베리]](Bitberry)는 [[업비트]] 거래소를 운영하고 있는 [[두나무㈜]]<!--두나무-->의 자회사인 [[㈜루트원소프트]]<!--루트원소프트, 루트원 소프트-->가 만든 암호화폐 지갑이다. 비트베리는 카카오/구글 계정으로 로그인하고, 전화번호 기반으로 송금할 수 있는 멀티 [[암호화폐 지갑]]이다. 다른 암호화폐 지갑들과 비트베리의 가장 큰 차이점은 비트베리가 모회사인 [[업비트]](Upbit) 수준의 강력한 보안 시스템으로 직접 키를 관리한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종종 발생하는 프라이빗 키 분실 혹은 해킹 문제에서 벗어나 안전하게 자산을 관리할 수 있으며, 60자리 되는 [[퍼블릭 키]]를 일일이 입력할 필요없이 전화번호 기반으로 쉽게 송입금이 가능하다. 심지어 [[수수료]]도 무료이다. 이처럼 블록체인을 모르는 일반인도 사용할 수 있는 [[UX]]가 비트베리의 큰 장점이다. 2019년 6월 기준으로, 비트베리는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메인넷을 지원하고 있으며 향후 [[테라]], [[클레이튼]], [[리플]], [[이오스]], [[아이콘]] 등의 메인넷 지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안드로이드]], [[아이오에스]](iOS) 모바일 앱을 모두 지원하고 있다.
  
비트베리는 지갑 서비스 이외에도 블록체인 비즈니스 회사들을 위한 기업용 [[API]] 솔루션도 제공하고 있다. 이를 통해 비즈니스 회사들은 지갑 개발의 어려움 없이 비트베리 솔루션을 통해 지갑을 구현하고, 암호화폐 결제, 실시간 보상 시스템 등을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다. 2019년 2월 말 출시 이후로, 비트베리 솔루션을 사용하고 있는 기업 및 파트너사들은 6월 기준, [[콘텐츠프로토콜]], [[뤼이드]], [[아하]], [[모스랜드]] 등 20군데 이상이다. 향후 법인용 계좌와 유사한 시스템을 지닌 기업 전용 지갑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자세히|비트베리}}
+
비트베리는 지갑 서비스 이외에도 블록체인 비즈니스 회사들을 위한 기업용 [[API]] 솔루션도 제공하고 있다. 이를 통해 비즈니스 회사들은 지갑 개발의 어려움 없이 비트베리 솔루션을 통해 지갑을 구현하고, 암호화폐 결제, 실시간 보상 시스템 등을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다. 2019년 2월 말 출시 이후로, 비트베리 솔루션을 사용하고 있는 기업 및 파트너사들은 6월 기준, [[콘텐츠프로토콜]], [[뤼이드]], [[아하]], [[모스랜드]] 등 20군데 이상이다. 향후 법인용 계좌와 유사한 시스템을 지닌 기업 전용 지갑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
 
  
 
==참고자료==
 
==참고자료==
 
* 장성훈 링크드인 - https://www.linkedin.com/in/ross-seonghun-jang-34727a24
 
* 장성훈 링크드인 - https://www.linkedin.com/in/ross-seonghun-jang-34727a24
 
==같이 보기==
 
* [[비트베리]]
 
* [[㈜루트원소프트]]
 
 
{{블록체인 개발업체 경영자|토막글}}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