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스위치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3번째 줄: 3번째 줄:
  
 
==스위치 종류==
 
==스위치 종류==
===토글 스위치===
+
===토글 스위치(Toggle Switch)===
 
[[파일:Toggle-switch.jpg|200픽셀|가운데]]
 
[[파일:Toggle-switch.jpg|200픽셀|가운데]]
[[토글 스위치]](Toggle Switch)는 스냅스위치라고도 하며 레버의 각도를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전진 또는 후진하는 방식으로 개폐작동을 한다. 주택 전기회로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전등 스위치가 바로 토글 스위치의 사례이다.
+
[[토글 스위치]]는 스냅스위치라고도 하며 레버의 각도를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전진 또는 후진하는 방식으로 개폐작동을 한다. 주택 전기회로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전등 스위치가 바로 토글 스위치의 사례이다.
  
===푸시버튼 스위치===
+
===푸시버튼 스위치(Pushbutton Switch)===
 
[[파일:Pushbutton-switch.jpg|200픽셀|가운데]]
 
[[파일:Pushbutton-switch.jpg|200픽셀|가운데]]
[[푸시버튼 스위치]](Pushbutton Switch)는 2-위치 장치로서 버튼으로 눌렀다 떼는 방식으로 개폐 작동을 한다. 대부분의 푸시버튼 스위치에는 내부 스프링 메커니즘이 구비되어 버튼의 원상복귀를 추진하며 이로서 순간 작동을 할 수 있게 한다.
+
[[푸시버튼 스위치]]는 2-위치 장치로서 버튼으로 눌렀다 떼는 방식으로 개폐 작동을 한다. 대부분의 푸시버튼 스위치에는 내부 스프링 메커니즘이 구비되어 버튼의 원상복귀를 추진하며 이로서 순간 작동을 할 수 있게 한다.
  
 
일부 푸시버튼 스위치는 버튼을 누를 때 마다 번갈아 켜지거나 꺼지며 다른 일부는 버튼이 원 상태로 회복시키기 전에 눌러져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좌기 두 번째 타입의 푸시버튼 스위치는 통상적으로 버섯 모양의 버튼을 가지고 있으며 쉽게 밀고 당기는 조작을 할 수 있다.
 
일부 푸시버튼 스위치는 버튼을 누를 때 마다 번갈아 켜지거나 꺼지며 다른 일부는 버튼이 원 상태로 회복시키기 전에 눌러져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좌기 두 번째 타입의 푸시버튼 스위치는 통상적으로 버섯 모양의 버튼을 가지고 있으며 쉽게 밀고 당기는 조작을 할 수 있다.
  
===셀렉터 스위치===
+
===셀렉터 스위치(Selector Switch)===
 
[[파일:Selector-switch.jpg|200픽셀|가운데]]
 
[[파일:Selector-switch.jpg|200픽셀|가운데]]
[[셀렉터 스위치]](Selector Switch)는 회전 노브 또는 레버가 두 개 이상의 위치 중 하나를 선택하는 동작으로 개폐작동을 한다. 토글 스위치와 유사하게 셀렉터 스위치는 작동 완료 위치를 유지하거나 원상복귀 스프링 메커니즘이 설치되어 순간 작동(momentary operation)을 할 수 있다.
+
[[셀렉터 스위치]]는 회전 노브 또는 레버가 두 개 이상의 위치 중 하나를 선택하는 동작으로 개폐작동을 한다. 토글 스위치와 유사하게 셀렉터 스위치는 작동 완료 위치를 유지하거나 원상복귀 스프링 메커니즘이 설치되어 순간 작동(momentary operation)을 할 수 있다.
  
===조이스틱 스위치===
+
===조이스틱 스위치(Joystick Switches)===
 
[[파일:Joystick-switch.jpg|200픽셀|가운데]]
 
[[파일:Joystick-switch.jpg|200픽셀|가운데]]
[[조이스틱 스위치]](Joystick Switches)는 한 방향 이상으로 자유롭게 작동하는 레버의 동작에 따라 개폐 작동이 이루어진다. 하나 또는 여러 스위치 접점의 메커니즘의 작동은 레버 작동방향과  이동거리에 따른다.
+
[[조이스틱 스위치]]는 한 방향 이상으로 자유롭게 작동하는 레버의 동작에 따라 개폐 작동이 이루어진다. 하나 또는 여러 스위치 접점의 메커니즘의 작동은 레버 작동방향과  이동거리에 따른다.
  
 
스위치 기호 표시법에서 써클과 점 표기는 조이스틱 레버의 작동 방향에 따라 접점이 작동한다는 것을 표시한다. 조이스틱 핸드 스위치는 크레인과 로봇 제어에 많이 적용된다.
 
스위치 기호 표시법에서 써클과 점 표기는 조이스틱 레버의 작동 방향에 따라 접점이 작동한다는 것을 표시한다. 조이스틱 핸드 스위치는 크레인과 로봇 제어에 많이 적용된다.
25번째 줄: 25번째 줄:
 
일부 스위치는 전문적으로 디자인을 추진하여 사람의 손 보다 기계의 작동 방향에 따라 작동되게 하였다.<ref>"[https://www.allaboutcircuits.com/textbook/digital/chpt-4/switch-types/ Switch Types]", ''ALL ABOUT CIRCUIT''</ref>
 
일부 스위치는 전문적으로 디자인을 추진하여 사람의 손 보다 기계의 작동 방향에 따라 작동되게 하였다.<ref>"[https://www.allaboutcircuits.com/textbook/digital/chpt-4/switch-types/ Switch Types]", ''ALL ABOUT CIRCUIT''</ref>
  
===리밋 스위치===
+
===리밋 스위치(Limit Switches)===
 
[[파일:Lever-actuator-limit-switch.jpg|200픽셀|가운데]]
 
[[파일:Lever-actuator-limit-switch.jpg|200픽셀|가운데]]
[[리밋 스위치]](Limit Switches)는 기계 부품으로 구동되는 레버를 가진 단단한 토글 스위치와 셀렉터 스위치와 유사하다. 통상적으로 레버에는 작은 롤로 베어링이 장착되어 기계 부품과의 반복적인 접촉으로 마모가 되는 상황을 방지한다.  
+
[[리밋 스위치]]는 기계 부품으로 구동되는 레버를 가진 단단한 토글 스위치와 셀렉터 스위치와 유사하다. 통상적으로 레버에는 작은 롤로 베어링이 장착되어 기계 부품과의 반복적인 접촉으로 마모가 되는 상황을 방지한다.  
  
===근접 스위치===
+
===근접 스위치(Proximity Switches)===
 
[[파일:Proximity-switch.jpg|200픽셀|가운데]]  
 
[[파일:Proximity-switch.jpg|200픽셀|가운데]]  
[[근접 스위치]](Proximity Switches)는 기계적으로 온-오프를 하던 리밋 스위치나 마이크로 스위치 대신, 비접촉 동작으로 같은 스위칭 작용을 하게 한 센서이다. 센서의 동작원리에 따라 고주파 발진식, 정전용량식, 자기식, 광전식(방사선도 포함)으로 분류할 수 있다.
+
[[근접 스위치]]는 기계적으로 온-오프를 하던 리밋 스위치나 마이크로 스위치 대신, 비접촉 동작으로 같은 스위칭 작용을 하게 한 센서이다. 센서의 동작원리에 따라 고주파 발진식, 정전용량식, 자기식, 광전식(방사선도 포함)으로 분류할 수 있다.
  
 
(1) 금속체가 접근하면 발진(發振)코일의 자력선(磁力線)을 받아 그 유도에 의하여 금속체 내부에 와전류(渦電流)가 발생하고, 발진 코일의 저항이 커져서 발진이 정지되며 이로써 출력을 얻는 형식의 고주파형 근접 스위치.
 
(1) 금속체가 접근하면 발진(發振)코일의 자력선(磁力線)을 받아 그 유도에 의하여 금속체 내부에 와전류(渦電流)가 발생하고, 발진 코일의 저항이 커져서 발진이 정지되며 이로써 출력을 얻는 형식의 고주파형 근접 스위치.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