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마을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3번째 줄: 3번째 줄:
 
[[파일:시라카와고.png|썸네일|300픽셀|시라카와고(白川郷)]]
 
[[파일:시라카와고.png|썸네일|300픽셀|시라카와고(白川郷)]]
 
[[파일:고카야마.png|썸네일|300픽셀|고카야마(五箇山)]]
 
[[파일:고카야마.png|썸네일|300픽셀|고카야마(五箇山)]]
 +
'''전통마을'''은 예로부터 전하여 내려오는 문화의 정신과 양식을 오랫동안 보존해 온 마을을 말한다.
  
'''전통마을'''은 예로부터 전하여 내려오는 [[문화]]의 [[정신]]과 [[양식]]을 오랫동안 [[보존]]해 온 [[마을]]을 뜻한다.
+
한국의 전통마을은 배산임수의 형태를 보인다. 이 말은 마을 뒤에는 산이 있고, 마을 앞에는 넓은 [[]]과 [[하천]]이 위치하고 있다는 것이다. 마을 뒤편의 산은 겨울철 매서운 북서풍을 막아 주는 역할을 하였고, 그곳에서 땔감과 나무들을 구할 수 있었다. 마을 앞쪽의 개울이나 하천에서는 농업이나 생활에 필요한 물을 구할 수 있었다.
  
한국의 전통마을은 [[배산임수]]의 형태를 보인다. 이 말은 마을 뒤에는 [[산]]이 있고, 마을 앞에는 넓은 [[들]]과 [[하천]]이 위치하고 있다는 것이다. 마을 뒤편의 산은 겨울철 매서운 [[북서풍]]을 막아 주는 역할을 하였고, 그곳에서 [[땔감]]과 [[나무]]들을 구할 수 있었다. [[마을]] 앞쪽의 [[개울]]이나 [[하천]]에서는 [[농업]]이나 생활에 필요한 [[물]]을 구할 수 있었다.
+
전통마을은 전국 곳곳에 분포하고 있지만, 대표적인 전통 마을로는 [[봉화군]] 닭실 마을, [[안동시]] 풍천면 [[하회마을]], 경주시 강동면 [[양동마을]], 고성군 죽왕면 [[왕곡마을]], 아산시 송악면 [[외암마을]] 등이 있다. 이러한 마을은 같은 성씨들이 모여 살고 있는 마을로, 아직도 집에 사람들이 살고 있으면서 마을을 잘 보존하고 있다. 각 마을에는 중요한 민속 [[문화재]]가 다수 보존되어 있다.
 
 
전통마을은 전국 곳곳에 분포하고 있지만, 대표적인 전통 마을로는 [[경상북도]] [[봉화군]] [[닭실마을]], [[안동시]] 풍천면 [[하회마을]], 경주시 강동면 [[양동마을]], 고성군 죽왕면 [[왕곡마을]], 아산시 송악면 [[외암마을]] 등이 있다. 이러한 마을은 같은 성씨들이 모여 살고 있는 마을로, 아직도 집에 사람들이 살고 있으면서 마을을 잘 보존하고 있다. 각 마을에는 중요한 민속 [[문화재]]가 다수 보존되어 있다.
 
  
 
== 개요 ==
 
== 개요 ==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