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주영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번째 줄: 2번째 줄:
 
[[파일:현대자동차㈜ 글자.png|썸네일|300픽셀|'''[[현대자동차㈜]]'''(Hyundai Motor Company)]]
 
[[파일:현대자동차㈜ 글자.png|썸네일|300픽셀|'''[[현대자동차㈜]]'''(Hyundai Motor Company)]]
 
[[파일:기아자동차㈜ 글자.png|썸네일|300픽셀|'''[[기아자동차㈜]]'''(KIA Motors)]]
 
[[파일:기아자동차㈜ 글자.png|썸네일|300픽셀|'''[[기아자동차㈜]]'''(KIA Motors)]]
 +
'''정주영'''<!--정주영-->(鄭周永, Chung Ju-yung)은 한국의 사업가이고 전직 정치인이다. 현대그룹의 창업주이며 삼성그룹의 이병철 창업주와 함께 한국의 대표적인 1세대 기업인으로 인정받는다. 동생들과 아들들이 모두 회장이고 범현대가 특유의 기업 문화 때문에 왕회장이라는 별칭도 따라다닌다.
  
'''정주영'''<!--정주영-->(鄭周永, Chung Ju-yung)은 한국의 사업가이고 전직 정치인이다. '''[[현대그룹]]'''의 창업주이며 [[삼성그룹]]의 [[이병철]] 창업주와 함께 한국의 대표적인 1세대 기업인으로 인정받는다. 동생들과 아들들이 모두 회장이고 범현대가 특유의 기업 문화 때문에 '왕회장'이라는 별칭도 따라다닌다.
+
소학교 졸업이라는 학력을 가지고 현대그룹이라는 거대 재벌을 일군 역사는 파란만장한 근현대사와 처절한 가난 속에서 한국이 이루어 낸 고도 경제성장과 궤를 같이 하고 있기 때문에 산업화의 상징처럼 기억되는 인물이며 대한민국 최고의 부호가 되었음에도 평생동안 청렴하고 검소한 삶을 살아 많은 국민들의 존경을 받은 기업인 중 하나였다.
  
소학교 졸업이라는 학력을 가지고 [[현대그룹]]이라는 거대 재벌을 일군 역사는 파란만장한 근현대사와 처절한 가난 속에서 한국이 이루어 낸 고도 경제성장과 궤를 같이 하고 있기 때문에 산업화의 상징처럼 기억되는 인물이며 대한민국 최고의 부호가 되었음에도 평생동안 청렴하고 검소한 삶을 살아 많은 국민들의 존경을 받은 기업인 중 하나였다.
+
1998년에 소 떼를 이끌고 방북한 것을 계기로 금강산 관광까지 유치한 대북 사업의 선구자이며 2006년에 미국 타임스지가 평가한 아시아의 영웅들 리스트에 오른 인물이기고 하고 한국갤럽이 2019년에 조사한 한국인이 존경하는 인물 리스트에서 기업인 신분으로는 최고 순위인 전체 6위에 오르기도 했다.
 
 
1998년에 소 떼를 이끌고 방북한 것을 계기로 [[금강산]] 관광까지 유치한 대북 사업의 선구자이며 2006년에 미국 타임스지가 평가한 아시아의 영웅들 리스트에 오른 인물이기고 하고 한국갤럽이 2019년에 조사한 한국인이 존경하는 인물 리스트에서 기업인 신분으로는 최고 순위인 전체 6위에 오르기도 했다.
 
  
 
단순히 경제인을 넘어서 대한민국 건국 이후 대통령(들)을 제외한 다른 인물 중에서는 가장 많은 영향력을 끼쳤다고 인정받는다.
 
단순히 경제인을 넘어서 대한민국 건국 이후 대통령(들)을 제외한 다른 인물 중에서는 가장 많은 영향력을 끼쳤다고 인정받는다.
{{:자동차 배너|현대}}
 
  
 
==생애==
 
==생애==
정주영은 1915년 11월 25일에 [[강원도]] 통천군 송전면 아산리에서 아버지 정봉식과 어머니 한성실의 6남 2녀 자식중의 첫 째와 집안의 장손으로 태어났다.
+
정주영은 1915년 11월 25일에 강원도 통천군 송전면 아산리에서 아버지 정봉식과 어머니 한성실의 6남 2녀 자식중의 첫 째와 집안의 장손으로 태어났다.
  
 
1930년에 통천 송립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아버지를 도와 농사도 지었으며 가난한 생활에서 탈피하고자 4번 가출을 하였으며 1933년에 했던 마지막 가출 때 인인천항만 공사장과 풍전엿공장(동양제과), 보성전문학교(고려대학교) 건물 공사장에서 막노동으로 지내다가 경성으로 상경하여 이듬해에 복흥상회(福興商會)라는 쌀가게 배달원으로 취직하였다. 3년 뒤인 1938년에 복흥상회를 인수하고 쌀가게 경일상회를 개업하였으며 1939년에 변중석 여사와 결혼하였다. 경일상회는 개업해서 2년이 되는 1940년에 중일전쟁의 연고로 일본점령군 정부에서 식량배급제를 실시하면서 폐업하였다.  
 
1930년에 통천 송립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아버지를 도와 농사도 지었으며 가난한 생활에서 탈피하고자 4번 가출을 하였으며 1933년에 했던 마지막 가출 때 인인천항만 공사장과 풍전엿공장(동양제과), 보성전문학교(고려대학교) 건물 공사장에서 막노동으로 지내다가 경성으로 상경하여 이듬해에 복흥상회(福興商會)라는 쌀가게 배달원으로 취직하였다. 3년 뒤인 1938년에 복흥상회를 인수하고 쌀가게 경일상회를 개업하였으며 1939년에 변중석 여사와 결혼하였다. 경일상회는 개업해서 2년이 되는 1940년에 중일전쟁의 연고로 일본점령군 정부에서 식량배급제를 실시하면서 폐업하였다.  
68번째 줄: 66번째 줄:
  
 
□ 2000년 200억 원 수준의 퇴직금 - 정주영은 2000년 현대그룹 24개 계열사 대표이사직에서 물러나는 대가로 200억 원 수준의 퇴직금을 수령해 구설수에 오른 적이 있다. 당시 현대그룹이 정부에서 융자받은 돈만 5천억 원에 이를 만큼 경영상태가 나쁜데 그룹 총수가 막대한 금액을 퇴직금으로 받아가는 것이 과연 옳으냐를 놓고 설왕설래가 일었다. 이를 놓고 당시 야당은 현대그룹과 여당이 벌이고 있는 대북사업과 관련해 모종의 커넥션이 있는 것이 아니냐며 정주영을 비판하기도 했다.<ref name="서정훈"></ref>
 
□ 2000년 200억 원 수준의 퇴직금 - 정주영은 2000년 현대그룹 24개 계열사 대표이사직에서 물러나는 대가로 200억 원 수준의 퇴직금을 수령해 구설수에 오른 적이 있다. 당시 현대그룹이 정부에서 융자받은 돈만 5천억 원에 이를 만큼 경영상태가 나쁜데 그룹 총수가 막대한 금액을 퇴직금으로 받아가는 것이 과연 옳으냐를 놓고 설왕설래가 일었다. 이를 놓고 당시 야당은 현대그룹과 여당이 벌이고 있는 대북사업과 관련해 모종의 커넥션이 있는 것이 아니냐며 정주영을 비판하기도 했다.<ref name="서정훈"></ref>
 
== 동영상 ==
 
<youtube>dPi-w5Cvz7Q</youtube>
 
<youtube>YfpcfgbgujU</youtube>
 
<youtube>ocXS_JOPkT0</youtube>
 
  
 
{{각주}}
 
{{각주}}
78번째 줄: 71번째 줄:
 
==참고자료==
 
==참고자료==
 
* 〈[https://namu.wiki/w/%EC%A0%95%EC%A3%BC%EC%98%81 정주영]〉, 《나무위키》
 
* 〈[https://namu.wiki/w/%EC%A0%95%EC%A3%BC%EC%98%81 정주영]〉, 《나무위키》
* 강홍구, 〈[http://tago.kr/story/chungjuyung.htm 현대그룹 창업자 정주영]〉, 《타고》, 2021-02-18
 
  
 
==같이 보기==
 
==같이 보기==
* [[현대자동차㈜]]
+
* [[현대자동차]]
 
* [[현대그룹]]
 
* [[현대그룹]]
 
* [[정몽구]]
 
* [[정몽구]]
88번째 줄: 80번째 줄:
  
 
{{자동차 인물|검토 필요}}
 
{{자동차 인물|검토 필요}}
{{기업인}}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