젬스톤필름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65번째 줄: 65번째 줄:
  
 
== 주요 인물 ==
 
== 주요 인물 ==
 +
*'''[[신태순]]''' : 젬스톤필름의 대표 및 총괄 프로듀서이다. [[중앙대학교]] 사회학과, 문화콘텐츠학과를 졸업했다. 또한 중앙대학교 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를 수료했다. 영화, 드라마, 교양, 광고 및 영상 분야에서 프로듀서와 연출 및 편집을 담당했다. [[㈜케이티]](KT) [[시즌]](Seezn) 오리지널 드라마 '이런, 게놈의 로맨스', '룰루낭만', 장윤정 콘서트 오프닝 영상 제작 및 편집 등을 맡았다.
 
*'''[[이홍석]]''' : 젬스톤필름의 대표 프로듀서이다. [[서울예술대학교]] 방송연예과를 졸업했다. 영화, 드라마, 교양, 광고, 뮤직비디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출을 담당했다. 칸 영화제 감독상을 수상한 영화 '활', 베니스 영화제 감독상을 수상한 '빈집', 드라마 '연남동 패밀리', [[대한적십자사]] 헌혈 캠페인 '신데렐라편' 등에 참여했다.
 
*'''[[이홍석]]''' : 젬스톤필름의 대표 프로듀서이다. [[서울예술대학교]] 방송연예과를 졸업했다. 영화, 드라마, 교양, 광고, 뮤직비디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출을 담당했다. 칸 영화제 감독상을 수상한 영화 '활', 베니스 영화제 감독상을 수상한 '빈집', 드라마 '연남동 패밀리', [[대한적십자사]] 헌혈 캠페인 '신데렐라편' 등에 참여했다.
*'''[[신태순]]''' : 젬스톤필름의 대표 및 총괄 프로듀서이다. [[중앙대학교]] 사회학과, 문화콘텐츠학과를 졸업했다. 또한 중앙대학교 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를 수료했다. 영화, 드라마, 교양, 광고 및 영상 분야에서 프로듀서와 연출 및 편집을 담당했다. [[㈜케이티]](KT) [[시즌]](Seezn) 오리지널 드라마 '이런, 게놈의 로맨스', '룰루낭만', 장윤정 콘서트 오프닝 영상 제작 및 편집 등을 맡았다.
 
 
*'''[[홍진출]]''' : 젬스톤필름의 연출 디렉터이다. [[독일]]의 [[뮌스터응용학문대학]](FH Münster) 경영학과를 졸업했으며, [[프랑크푸르트응용과학대학교]](Frankfurt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 독일멀티미디어마케팅 학과를 수료했다. SM엔터테이먼트와 JYP 기획부에서 뮤직비디오를 프로듀싱했으며, 청계천복구사업본부 영상기획 실장을 맡는 등 다양한 미디어 기획 분야에서 활약했다.
 
*'''[[홍진출]]''' : 젬스톤필름의 연출 디렉터이다. [[독일]]의 [[뮌스터응용학문대학]](FH Münster) 경영학과를 졸업했으며, [[프랑크푸르트응용과학대학교]](Frankfurt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 독일멀티미디어마케팅 학과를 수료했다. SM엔터테이먼트와 JYP 기획부에서 뮤직비디오를 프로듀싱했으며, 청계천복구사업본부 영상기획 실장을 맡는 등 다양한 미디어 기획 분야에서 활약했다.
 
*'''[[이정민]]''' : 젬스톤필름의 연출 디렉터이다. 다수의 영화, 드라마, 교양, 광고, 뮤직비디오의 각본과 연출을 맡아 제작했다. 영화 '어벤져스 2'의 한국 파트 로케이션, 드라마 '그 남자의 발라드', 광고 '삼성카메라', '닌텐도' 등의 연출을 맡았다.
 
*'''[[이정민]]''' : 젬스톤필름의 연출 디렉터이다. 다수의 영화, 드라마, 교양, 광고, 뮤직비디오의 각본과 연출을 맡아 제작했다. 영화 '어벤져스 2'의 한국 파트 로케이션, 드라마 '그 남자의 발라드', 광고 '삼성카메라', '닌텐도' 등의 연출을 맡았다.
74번째 줄: 74번째 줄:
 
== 주요 활동 ==
 
== 주요 활동 ==
 
=== 펌핑타임 ===
 
=== 펌핑타임 ===
[[펌핑타임]](Pumping time)은 젬스톤필름이 제작을 맡은 [[암호화폐]] 세계에서 실화를 중심으로 한 소재들을 다양하게 매칭한 드라마이다. 2022년 12월 방영 예정이며, 디지털 자산을 활용한 다양한 사기 행각을 대중들에게 공개해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제작되었다. 또한 국가별 정부가 발행하는 디지털 자산의 긍정적 요인들과 함께 거래소의 사용법과 주의해야 할 부분들에 대한 내용도 전달한다.<ref name="한경티비">〈[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104050181 암호화폐 생태계 실화 담은 드라마 펌핑타임, 티저 촬영 진행]〉, 《한국경제TV》,  2021-04-05</ref> 2018년부터 제작 준비를 해 왔으며, 2021년 1월부터 제작에 들어가 2021년 5월 방영을 목표로 하고 있다. 펌핑타임은 전 세계 200개 이상 국가에 보도가 되었고 1억 명 이상의 암호화폐 투자자들의 기대를 받는 드라마로 꼽히고 있다. 특히 [[중국]]에서는 [[신화통신사]](新华通讯社), [[진르터우탸오]](今日頭條), [[진써차이징]](金色财经) 등 대형 미디어에서도 보도가 되었으며, [[바이두]](Baidu)에도 검색률이 높아지는 등의 이슈를 만들어 내고 있다. 드라마 '올인', '아이리스','주몽' 등을 집필한 탑작가 [[최완규]]가 크리에이터로 참여하며, [[미국연합통신]](Associated Press)에 따르면 한국, 중국, 미국의 대형 탑스타가 출연할 예정이다.
+
[[펌핑타임]](Pumping time)은 젬스톤필름이 제작을 맡은 [[암호화폐]] 세계에서 실화를 중심으로 한 소재들을 다양하게 매칭한 드라마이다. 2021년 5월 방영 예정이며, 디지털 자산을 활용한 다양한 사기 행각을 대중들에게 공개해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제작되었다. 또한 국가별 정부가 발행하는 디지털 자산의 긍정적 요인들과 함께 거래소의 사용법과 주의해야 할 부분들에 대한 내용도 전달한다.<ref name="한경티비">〈[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104050181 암호화폐 생태계 실화 담은 드라마 펌핑타임, 티저 촬영 진행]〉, 《한국경제TV》,  2021-04-05 </ref> 2018년부터 제작 준비를 해 왔으며, 2021년 1월부터 제작에 들어가 2021년 5월 방영을 목표로 하고 있다. 펌핑타임은 전 세계 200개 이상 국가에 보도가 되었고 1억 명 이상의 암호화폐 투자자들의 기대를 받는 드라마로 꼽히고 있다. 특히 [[중국]]에서는 [[신화통신사]](新华通讯社), [[진르터우탸오]](今日頭條), [[진써차이징]](金色财经) 등 대형 미디어에서도 보도가 되었으며, [[바이두]](Baidu)에도 검색률이 높아지는 등의 이슈를 만들어 내고 있다. 펌핑타임의 드라마에 거래의 보조지표로 활용되는 [[코인마켓캡]](CoinMarketCap)과 같은 정보 플랫폼으로 [[코인브링]](coinbring)이 채택되었다. 펌핑타임에서 코인브링의 활용도와 노출 빈도는 상당히 클 것으로 예상되며, 펌핑타임을 본 사람들에게는 브랜드 인지도가 아주 높을 것으로 보인다.<ref name="방제일기자"> 방제일 기자, 〈[http://www.epnc.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3658 드라마 펌핑타임, 전문 정보전달 플랫폼으로 코인브링 채택]〉, 《테크월드》,  2021-01-13 </ref> 드라마 '올인', '아이리스','주몽' 등을 집필한 탑작가 [[최완규]]가 크리에이터로 참여하며, [[미국연합통신]](Associated Press)에 따르면 한국, 중국, 미국의 대형 탑스타가 출연할 예정이다.
  
 
=== 점핑앤덤핑 ===
 
=== 점핑앤덤핑 ===
[[점핑앤덤핑]](Jumping&Dumping)은 2021년 5월 방영 예정인 암호화폐 정보성 예능 버라이어티이다. 케이플레이컨텐츠가 제작하는 암호화폐 교본형 드라마 펌핑타임을 시청하기에 앞서 암호화폐에 대한 지식과 트레이딩 차트를 보는 법 등 다양한 암호화폐 생태계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 제작된다. 점핑앤덤핑은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를 중심으로 글로벌 한류 시장을 위해 제작되며, 퓨전 사극 드라마의 내용 요소로 구성되어 대중들의 흥미를 더할 것으로 기대된다. 주요 출연진으로는 [[임호]], [[김명수]], [[박연수]], [[강예빈]], [[양승원]], [[최요엘]], [[이은지]] 등이 있다.<ref>김동호 기자,〈[https://www.sedaily.com/NewsVIew/22KZPZJC9V 대장금의 왕, 예능 버라이어티 ‘점핑 앤 덤핑’으로 화려한 부활]〉, 《서울경제》,  2021-04-07</ref>
+
[[점핑앤덤핑]](Jumping&Dumping)은 2021년 5월 방영 예정인 암호화폐 정보성 예능 버라이어티이다. 케이플레이컨텐츠가 제작하는 암호화폐 교본형 드라마 펌핑타임을 시청하기에 앞서 암호화폐에 대한 지식과 트레이딩 차트를 보는 법 등 다양한 암호화폐 생태계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 제작된다. 점핑앤덤핑은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를 중심으로 글로벌 한류 시장을 위해 제작되며, 퓨전 사극 드라마의 내용 요소로 구성되어 대중들의 흥미를 더할 것으로 기대된다. 주요 출연진으로는 임호, 김명수, 박연수, 강예빈, 양승원, 최요엘, 이은지, 등이 있다.<ref> 김동호 기자, 〈[https://www.sedaily.com/NewsVIew/22KZPZJC9V 대장금의 왕, 예능 버라이어티 ‘점핑 앤 덤핑’으로 화려한 부활]〉, 《서울경제》,  2021-04-07 </ref>
 
 
  
 +
=== 제작 예정작 ===
 +
*'''[[전설의 고향 리부트]]''' : 2021년 방영 예정인 10부작 드라마이다. 1979년에 방영된 전설의 고향을 바탕으로 제작된다. 전설의 고향은 총 670부작으로 방송된 전설적인 드라마로, 대대 이어져 내려오는 이야기를 바탕으로 하여 한국의 전통과 그들의 삶의 애환을 이야기할 수 있는 가장 한국적인 드라마이다. 원작자 [[임충]] 작가는 2016년 보관문화훈장을 수상하였고, 2017년에 별세했다. 대신 아들 [[임호]] 배우가 슈퍼바이저로 제작에 참여하여 오리지널리티를 살린다. 원작인 전설의 고향에서 각 출연자들이 옴니버스 스타일로 다른 영상미를 보여 주었듯, 전설의 고향 리부트 시즌 1도 영화 감독, 연출가, 뮤직비디오 감독들이 연출하여 에피소드 하나하나가 영화와 같은 퀄리티로 제작될 예정이다.
 
*'''[[나는 초자연인이다]]''' : 2021년 방영 예정인 8부작 웹드라마이다. 김미화 작가가 극본을 맡았으며, 이홍석 감독이 연출을 맡는다. 함양 지역이 가진 각양각색의 매력을 웹드라마에 녹여 소개한다. 방탄소년단, 한류 드라마 등 전 세게가 대한민국의 매력에 주목하고 있으나 코로나19로 인해 관광 산업을 포함한 모든 산업들이 침체되며 비대면이 필수가 된 팬데믹 시대가 도래했다. 이러한 상황을 역이용하자는 역발상으로 비대면이 가능한 통신 매체를 통해 한국의 미를 제대로 알려 보자는 취지로 제작하게 되었다. 곡성, 밀양, 부산 등 타 지역들은 영화나 드라마의 주 배경으로 등장했으나 이 지역들 못지 않게 가지각색 매력을 지닌 함양을 주 배경으로 한 작품이 없다는 사실을 기회로 삼았다. 젬스톤필름은 함양의 미와 매력을 웹드라마 속에 녹이고, 코로나19 비대면 시대에 함양을 알리고자 한다. 그리고 침체된 사회 분위기를 히어로라는 소재와 코믹을 통해 많은 이들에게 재미와 즐거움, 웃음을 선사하고자 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나는 초자연인이다]]''' : 2021년 방영 예정인 8부작 웹드라마이다. 김미화 작가가 극본을 맡았으며, 이홍석 감독이 연출을 맡는다. 함양 지역이 가진 각양각색의 매력을 웹드라마에 녹여 소개한다. 방탄소년단, 한류 드라마 등 전 세게가 대한민국의 매력에 주목하고 있으나 코로나19로 인해 관광 산업을 포함한 모든 산업들이 침체되며 비대면이 필수가 된 팬데믹 시대가 도래했다. 이러한 상황을 역이용하자는 역발상으로 비대면이 가능한 통신 매체를 통해 한국의 미를 제대로 알려 보자는 취지로 제작하게 되었다. 곡성, 밀양, 부산 등 타 지역들은 영화나 드라마의 주 배경으로 등장했으나 이 지역들 못지 않게 가지각색 매력을 지닌 함양을 주 배경으로 한 작품이 없다는 사실을 기회로 삼았다. 젬스톤필름은 함양의 미와 매력을 웹드라마 속에 녹이고, 코로나19 비대면 시대에 함양을 알리고자 한다. 그리고 침체된 사회 분위기를 히어로라는 소재와 코믹을 통해 많은 이들에게 재미와 즐거움, 웃음을 선사하고자 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93번째 줄: 94번째 줄:
 
* [[신태순]]
 
* [[신태순]]
  
{{방송|검토 필요}}
+
{{로고 수정 필요}}
 +
{{블록체인 미디어|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