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나단 얀티스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조나단 얀티스.jpg|썸네일|300픽셀|'''조나단 얀티스'''(Jonathan Yantis)]]
 
[[파일:조나단 얀티스.jpg|썸네일|300픽셀|'''조나단 얀티스'''(Jonathan Yantis)]]
[[파일:왁스토큰 글자.png|썸네일|300픽셀|'''[[왁스토큰]]'''(WAX Token)]]
+
[[파일:왁스 글자.png|썸네일|300픽셀|'''[[왁스]]'''(Wax)]]
  
'''조나단 얀티스'''<!--조나단얀티스-->(Jonathan Yantis)는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아이템 거래용 암호화폐인 '''[[왁스토큰]]'''(WAX Token)의 최고운영책임자(COO)이다.
+
'''조나단 얀티스'''(Jonathan Yantis)는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아이템 거래용 암호화폐인 '''[[왁스]]'''(WAX)의 최고운영책임자(COO)이다.
  
 
==개요==
 
==개요==
 
조나단 안티스는 Ultima Online, EverQuest 및 World of Warcraft 창립이래로 1997년에 가상 아이템 거래를 창안했다. 그 후 세게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디지털 아이템 시장의 창립자로서 당시 업계 거물인 인터넷 게임 엔터테인먼트 Data Gaming Entertainment와 합병을 감독했다. 초기 [[비트코인]] 채굴자이자 [[블록체인]] 투자자 였던 조나단 얀티스는 최초의 [[ICO]]인 [[마스터코인]](MasterCoin)의 이사였으며, 비트코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며 암호화폐의 기둥 역할을 했다.
 
조나단 안티스는 Ultima Online, EverQuest 및 World of Warcraft 창립이래로 1997년에 가상 아이템 거래를 창안했다. 그 후 세게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디지털 아이템 시장의 창립자로서 당시 업계 거물인 인터넷 게임 엔터테인먼트 Data Gaming Entertainment와 합병을 감독했다. 초기 [[비트코인]] 채굴자이자 [[블록체인]] 투자자 였던 조나단 얀티스는 최초의 [[ICO]]인 [[마스터코인]](MasterCoin)의 이사였으며, 비트코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며 암호화폐의 기둥 역할을 했다.
이후 이더리움 ICO를 후원해 P2P계약을 지원했다. 현재 왁스토큰 최고 운영책임자(COO)로 자산 거래소(CSI)를 운영하고 있다.
+
이후 이더리움 ICO를 후원해 P2P계약을 지원했다. 현재 왁스([[Wax]]) 최고 운영책임자(COO)로 자산 거래소(CSI)를 운영하고 있다.
  
 
==약력==
 
==약력==
15번째 줄: 15번째 줄:
  
 
==주요활동==
 
==주요활동==
===왁스토큰===
+
===왁스===
현재 조나단 얀티스가 COO로 있는 [[왁스토큰]](WAX Token)[[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게임 아이템 거래용 [[암호화폐]]이다. 왁스토큰은 누구나 디지털 자산을 위해 마켓 플레이스를 만들 수 있는 플랫폼이자 토큰으로 비디오 게임 가상 아이템을 사고 팔 수 있는 시장이다. 보안, 인프라에서 지불 처리에 전혀 투자하지 않고도 완벽하게 작동하는 가상 시장을 운영할 수 있게 해주는 분산형 플래폼이다. 구매자와 판매자가 각각 다른 나라에 있는 경우, 높은 통화 환산 및 국가간 지불 처리 수수료를 지불하는데에 어려움을 겪는다. 이 때 왁스토큰은 [[암호화폐]], 스마트 계약 및 블록체인 기반의 정산을 통해 이런 문제를 해결한다.
+
현재 조나단 얀티스가 COO로 있는 [[왁스]](WAX)[[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게임 아이템 거래용 [[암호화폐]]이다. 왁스는 누구나 디지털 자산을 위해 마켓 플레이스를 만들 수 있는 플랫폼이자 토큰으로 비디오 게임 가상 아이템을 사고 팔 수 있는 시장이다. 보안, 인프라에서 지불 처리에 전혀 투자하지 않고도 완벽하게 작동하는 가상 시장을 운영할 수 있게 해주는 분산형 플래폼이다. 구매자와 판매자가 각각 다른 나라에 있는 경우, 높은 통화 환산 및 국가간 지불 처리 수수료를 지불하는데에 어려움을 겪는다. 이 때 왁스는 [[암호화폐]], 스마트 계약 및 블록체인 기반의 정산을 통해 이런 문제를 해결한다.
왁스 플랫폼은 다른 많은 종류의 디지털 자산이 거래 가능하므로 사실상 토큰화할 수 있는 모든 자산에 왁스토큰이 도움이 된다.
+
왁스 플랫폼은 다른 많은 종류의 디지털 자산이 거래 가능하므로 사실상 토큰화할 수 있는 모든 자산에 왁스가 도움이 된다.
  
 
===IGE===
 
===IGE===
27번째 줄: 27번째 줄:
 
*〈[https://everipedia.org/wiki/lang_en/jonathan-yantis 조나단 얀 티스]〉, 《everipedia》
 
*〈[https://everipedia.org/wiki/lang_en/jonathan-yantis 조나단 얀 티스]〉, 《everipedia》
 
*〈[https://www.linkedin.com/in/yantisj/ Jonathan Yantis]〉, 《LinkedIn》
 
*〈[https://www.linkedin.com/in/yantisj/ Jonathan Yantis]〉, 《LinkedIn》
 +
*〈[http://wiki.hash.kr/index.php/%EC%99%81%EC%8A%A4 왁스]〉, 《해시넷》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왁스토큰]]
+
* [[왁스]]
 
* [[오피스킨]]
 
* [[오피스킨]]
 
* [[윌리엄 퀴글리]]
 
* [[윌리엄 퀴글리]]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