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홀딩스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주홀딩스 로고.png|썸네일|200픽셀|'''주홀딩스'''(ZOO HOLDINGS)]]
+
[[파일:김건우회장.png|썸네일|300픽셀|'''김건우''' 창업자]]
[[파일:주홀딩스 글자.png|썸네일|300픽셀|'''주홀딩스'''(ZOO HOLDINGS)]]
+
[[파일:조우창대표이사.png|썸네일|300픽셀|'''조우창''' 대표이사]]
  
[[파일:김건우회장.png|썸네일|300픽셀|'''[[김건우]]''' 창업자]]
+
'''주홀딩스'''(ZOO HOLDINGS)는 2015년 5월에 창립되었으며 홍콩에 지사를 두고 있다. 창립자는 [[김건우]](Kim Kun Woo, 金健佑, 1976년 9월 18일 ~ )이며 중국을 포함한 대만, 홍콩 등 중화권 지역에서  주커피(ZOO COFFEE), 세븐몽키스(SEVEN MONKEYS), 타이거떡볶이(TIGERTOPOKI)등의 다양한 F&B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대표자는 [[조우창]]이다.
[[파일:조우창대표이사.png|썸네일|300픽셀|'''[[조우창]]''' 대표이사]]
 
  
'''주홀딩스'''(ZOO HOLDINGS)는 2015년 5월에 창립되었으며 홍콩에 지사를 두고 있다. 창립자는 [[김건우]](Kim Kun Woo, 金健佑, 1976년 9월 18일 ~ )이며 중국을 포함한 대만, 홍콩 등 중화권 지역에서  주커피(ZOO COFFEE), 세븐몽키스(SEVEN MONKEYS), 타이거떡볶이(TIGERTOPOKI)등의 다양한 F&B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창업자는 '''[[김건우]]'''이고, 대표이사는 '''[[조우창]]'''이다. 주홀딩스는 글로벌 코인 SNS인 [[바나나톡]]을 개발, 운영하며 바나나톡은 [[삐용]](Biyong)의 글로벌 버전 SNS이다.
+
주홀딩스는 글로벌 코인 SNS인 [[바나나톡]]을 개발, 운영하며 바나나톡은 삐용(Biyong)의 글로벌 버전 SNS이다.
  
 
== 개요 ==
 
== 개요 ==
13번째 줄: 12번째 줄:
  
 
== 주요 인물 ==
 
== 주요 인물 ==
 
+
*  [[김건우]](Kim Kun Woo, 金健佑, 1976년 9월 18일 ~) - 창립자
* '''[[조우창]]''' - 대표이사
+
대한민국 기업인이다. 주커피(ZOO COFFEE), 세븐몽키스(SEVEN MONKEYS), 타이거떡볶이(TIGERTOPOKI)등 의 상표를 내놓았다. 2003년 스피드박스 설립을 시작으로 2015년에 주홀딩스를 설립했다.
 +
* [[조우창]] - 대표
 
휘문고등학교를 나왔으며 주커피 대표이사를 임했으며 현재는 TBB 대표이사 및 주홀딩스의 대표이사이다.
 
휘문고등학교를 나왔으며 주커피 대표이사를 임했으며 현재는 TBB 대표이사 및 주홀딩스의 대표이사이다.
  
26번째 줄: 26번째 줄:
 
#블록체인 포털을 지향하는 BNA미디어를 뽑을 수 있다.<ref name="포스트">주홀딩스,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1659178&memberNo=2735461 이제 홍보하러 중국 갈 필요 없다. 중국 400만 블록체인 유저가 담긴 바나나톡]〉, 《네이버포스트》, 2019-06-26</ref>
 
#블록체인 포털을 지향하는 BNA미디어를 뽑을 수 있다.<ref name="포스트">주홀딩스,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1659178&memberNo=2735461 이제 홍보하러 중국 갈 필요 없다. 중국 400만 블록체인 유저가 담긴 바나나톡]〉, 《네이버포스트》, 2019-06-26</ref>
 
==== 바나나톡의 특징 ====
 
==== 바나나톡의 특징 ====
텔레그램 기반이라, 텔레그램의 기능 및 연락처가 그대로 유지, 연동 되며, 거기에 블록체인 관련 편리한 기능들을 부착하였다. 기존 코인의 불편한 점들이었던 주소값 입력 없이 서로 바로 코인을 전송할 수 있고, 그룹 채팅에서의 리얼 에어드랍 기능, 거래소 시세기반의 편리한 결제기능, 전문성 있는 블록체인 미디어들까지 구현되어 있다. 여기에 바나나톡은 암호화폐와 법정화폐 둘 다 결제가 가능한 바나나페이 시스템이 최종적으로 구현될 예정이다.<ref name="내외">박준선 기자, 〈[http://nbntv.co.kr/news/view/375027?idxno=375027 블록체인 기반 SNS&PAY 서비스 바나나코인(BNA)의 조우창 대표를 만나다]〉, 《내외경제TV》, 2019-05-23</ref>
+
텔레그램 기반이라, 텔레그램의 기능 및 연락처가 그대로 유지, 연동 되며, 거기에 블록체인 관련 편리한 기능들을 부착하였다. 기존 코인의 불편한 점들이었던 주소값 입력 없이 서로 바로 코인을 전송할 수 있고, 그룹 채팅에서의 리얼 에어드랍 기능, 거래소 시세기반의 편리한 결제기능, 전문성 있는 블록체인 미디어들까지 구현되어 있다. 여기에 바나나톡은 암호화폐와 법정화폐 둘 다 결제가 가능한 바나나페이 시스템이 최종적으로 구현될 예정이다.<ref name="내외">박준선 기자, 〈http://nbntv.co.kr/news/view/375027?idxno=375027 블록체인 기반 SNS&PAY 서비스 바나나코인(BNA)의 조우창 대표를 만나다]〉, 《내외경제TV》, 2019-05-23</ref>
 
==== 바나나톡 출시 동기 ====
 
==== 바나나톡 출시 동기 ====
 
오프라인분야의 전문가와 IT기술자의 특이한 만남은 사실  3년 전 중국 주커피 매장의 무선 주문 서비스를 위해 만들어 놓은 'Cafeunion' 카페유니온 (스마트오더)에서부터 시작되었다. 당시 주홀딩스는 중국 내 300개가 넘는 직/가맹점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 스마트오더 서비스를 개발하였고 최근 급진전하는 블록체인의 도입을 추진하던 중 중국 내 유명 블록체인 전문 기업 '삐용'을 만나 양사의 장점을 합친 2세대 SNS&PAY '바나나톡'을 공동 개발하게 되었다.  
 
오프라인분야의 전문가와 IT기술자의 특이한 만남은 사실  3년 전 중국 주커피 매장의 무선 주문 서비스를 위해 만들어 놓은 'Cafeunion' 카페유니온 (스마트오더)에서부터 시작되었다. 당시 주홀딩스는 중국 내 300개가 넘는 직/가맹점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 스마트오더 서비스를 개발하였고 최근 급진전하는 블록체인의 도입을 추진하던 중 중국 내 유명 블록체인 전문 기업 '삐용'을 만나 양사의 장점을 합친 2세대 SNS&PAY '바나나톡'을 공동 개발하게 되었다.  
  
또한 주홀딩스그룹은 평상시에도 IT 사업분야에 열정이 많아 썬더맨 (퀵서비스),카페유니온(스마트주문시스템), 슈퍼카트(온라인슈퍼마켓), 럭스워터(프리미엄워터서플라잉) 등의 IT사업을 꾸준히 실현시키며투자를 해왔다. 결국 이러한 배경이 고객과 거리를 좁히며 지속적인 연구를 불러일으켜 바나나톡이라는 시대적 니즈에 적합한 솔루션을 발견하게 해준 동기가 되었다.<ref name="포"></ref>
+
또한 주홀딩스그룹은 평상시에도 IT 사업분야에 열정이 많아 썬더맨 (퀵서비스),카페유니온(스마트주문시스템), 슈퍼카트(온라인슈퍼마켓), 럭스워터(프리미엄워터서플라잉) 등의 IT사업을 꾸준히 실현시키며투자를 해왔다. 결국 이러한 배경이 고객과 거리를 좁히며 지속적인 연구를 불러일으켜 바나나톡이라는 시대적 니즈에 적합한 솔루션을 발견하게 해준 동기가 되었다.<ref name="포"></ref>
 
 
 
=== 바나나코인 ===
 
=== 바나나코인 ===
 
바나나코인(BNA)은 바나나톡 내의 바나나페이 결제에 사용되며 채굴을 수반한다. 바나나페이의 바나나코인(BNA)사용은 고객과 업주를 바로 연결해 중간에 놓인 은행과 카드사의 수수료를 생략하게 된다. 커피 한잔에는 바나나코인(BNA)한개라는 흥미로운 채굴공식이 따르는데 이는 주홀딩스가 과거 세븐몽키스커피매장에 실제 적용했던 서비스로, 일요일 방문고객에게 무료 바나나를 나눠주던 당시 큰 호응이 있었던 상징적 서비스가 현재까지 반영되어진 결과이다.<ref name="내외"></ref>
 
바나나코인(BNA)은 바나나톡 내의 바나나페이 결제에 사용되며 채굴을 수반한다. 바나나페이의 바나나코인(BNA)사용은 고객과 업주를 바로 연결해 중간에 놓인 은행과 카드사의 수수료를 생략하게 된다. 커피 한잔에는 바나나코인(BNA)한개라는 흥미로운 채굴공식이 따르는데 이는 주홀딩스가 과거 세븐몽키스커피매장에 실제 적용했던 서비스로, 일요일 방문고객에게 무료 바나나를 나눠주던 당시 큰 호응이 있었던 상징적 서비스가 현재까지 반영되어진 결과이다.<ref name="내외"></ref>
47번째 줄: 46번째 줄:
  
 
이어 조 대표는 “최종 단계인 바나나톡페이에서는 해당 거래소 간의 연동을 통해 세계 어디서든 크립토만으로 살아갈 수 있는 바나나톡이 꿈꾸는 크립토피아(Cryptopia)를 실현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ref name="포스트"></ref>
 
이어 조 대표는 “최종 단계인 바나나톡페이에서는 해당 거래소 간의 연동을 통해 세계 어디서든 크립토만으로 살아갈 수 있는 바나나톡이 꿈꾸는 크립토피아(Cryptopia)를 실현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ref name="포스트"></ref>
 
== 행사 ==
 
{{:2020년 해시넷 블록체인 콘퍼런스 배너|주홀딩스가 2020년 해시넷 블록체인 콘퍼런스에 참가했습니다.}}
 
  
 
{{각주}}
 
{{각주}}
58번째 줄: 54번째 줄:
 
* 주홀딩스,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1659178&memberNo=2735461 이제 홍보하러 중국 갈 필요 없다. 중국 400만 블록체인 유저가 담긴 바나나톡]〉, 《네이버포스트》, 2019-06-26
 
* 주홀딩스,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1659178&memberNo=2735461 이제 홍보하러 중국 갈 필요 없다. 중국 400만 블록체인 유저가 담긴 바나나톡]〉, 《네이버포스트》, 2019-06-26
 
* 주홀딩스,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0349019&memberNo=2735461 주홀딩스 바나나톡 오프라인 전문가들이 개발한 BNA프로토콜 BNA코인]〉, 《네이버 포스트》, 2019-05-22
 
* 주홀딩스,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0349019&memberNo=2735461 주홀딩스 바나나톡 오프라인 전문가들이 개발한 BNA프로토콜 BNA코인]〉, 《네이버 포스트》, 2019-05-22
* 박준선 기자, 〈[https://www.nbntv.co.kr/news/articleView.html?idxno=375027 블록체인 기반 SNS&PAY 서비스 바나나코인(BNA)의 조우창 대표를 만나다]〉, 《내외경제TV》, 2019-05-23
+
* 박준선 기자, 〈http://nbntv.co.kr/news/view/375027?idxno=375027 블록체인 기반 SNS&PAY 서비스 바나나코인(BNA)의 조우창 대표를 만나다]〉, 《내외경제TV》, 2019-05-23
* 이선영 기자, 〈[http://www.coinreaders.com/7126 바나나톡, 중화권 최대 블록체인 SNS '삐용' 인수 공식 발표…업계 '파란']〉, 《코인리더스》, 2020-04-16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삐용]]
 
* [[삐용]]
 +
* [[김건우]]
 
* [[조우창]]
 
* [[조우창]]
  
 +
{{로고 필요}}
 
{{블록체인 개발업체|검토 필요}} 
 
{{블록체인 개발업체|검토 필요}} 

위키원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위키원: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