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간자 공격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중간자 공격'''(man in the middle attack, MITM)은 [[네트워크]] 통신을 조작하여 통신 내용을 도청하거나 조작하는 공격 기법이다. 중간자 공격은 통신을 연결하는 두 사람 사이에 중간자가 침입하여, 두 사람은 상대방에게 연결했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두 사람은 중간자에 연결되어 있으며 중간자가 한쪽에서 전달된 정보를 도청 및 조작한 후 다른 쪽으로 전달한다.
+
'''중간자 공격'''(man-in-the-middle-attack, MITM)은 [[네트워크]] 통신을 조작하여 통신 내용을 도청하거나 조작하는 공격 기법이다. 중간자 공격은 통신을 연결하는 두 사람 사이에 중간자가 침입하여, 두 사람은 상대방에게 연결했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두 사람은 중간자에 연결되어 있으며 중간자가 한쪽에서 전달된 정보를 도청 및 조작한 후 다른 쪽으로 전달한다.
  
 
== 개요 ==
 
== 개요 ==
 
중간자 공격은 오래된 사이버 공격의 한 형태로서 컴퓨터 공학자들은 1980년대 초부터 통신에 간섭하거나 도청하는 위협 활동을 방지하는 방법을 연구해 왔다. 중간자 공격은 두 당사자 사이에서 [[트래픽]]을 관찰하거나 조작하는 것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정상적인 [[네트워크]]에 간섭을 일으키거나 공격자가 통제하는 가짜 네트워크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해커는 [[해킹]]된 트래픽의 [[암호화]]를 제거해 트래픽을 훔치거나 변경하며 공격자가 원하는 목적지로 전달한다. 공격자는 가로챈 트래픽을 기록 및 수정한 후 조용히 관찰하거나 재암호화하여 공격을 찾아내기 어렵게 만든다.<ref name="아이티">Dan Swinhoe, 〈[http://www.itworld.co.kr/howto/117021 MitM 공격이란 무엇인가 "MitM 공격의 메커니즘과 예방법"]〉, 《아이티월드》, 2019-02-18</ref>
 
중간자 공격은 오래된 사이버 공격의 한 형태로서 컴퓨터 공학자들은 1980년대 초부터 통신에 간섭하거나 도청하는 위협 활동을 방지하는 방법을 연구해 왔다. 중간자 공격은 두 당사자 사이에서 [[트래픽]]을 관찰하거나 조작하는 것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정상적인 [[네트워크]]에 간섭을 일으키거나 공격자가 통제하는 가짜 네트워크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해커는 [[해킹]]된 트래픽의 [[암호화]]를 제거해 트래픽을 훔치거나 변경하며 공격자가 원하는 목적지로 전달한다. 공격자는 가로챈 트래픽을 기록 및 수정한 후 조용히 관찰하거나 재암호화하여 공격을 찾아내기 어렵게 만든다.<ref name="아이티">Dan Swinhoe, 〈[http://www.itworld.co.kr/howto/117021 MitM 공격이란 무엇인가 "MitM 공격의 메커니즘과 예방법"]〉, 《아이티월드》, 2019-02-18</ref>
  
== 작동원리 ==
+
== 특징 ==
 +
=== 작동원리 ===
 
중간자 공격의 경우 하나의 방식으로만 공격하는 기법이 아니다. 일반적으로 스니핑(Sniffing), 패킷 주입(Packet Injection), 세션 하이재킹(Session Hijacking), 보안 소켓 계층 스트리핑(SSL stripping)의 총 4가지로 구성돼있다.
 
중간자 공격의 경우 하나의 방식으로만 공격하는 기법이 아니다. 일반적으로 스니핑(Sniffing), 패킷 주입(Packet Injection), 세션 하이재킹(Session Hijacking), 보안 소켓 계층 스트리핑(SSL stripping)의 총 4가지로 구성돼있다.
  
* [[스니핑]](Sniffing): 스니핑 또는 패킷 스니핑은 시스템 및 네트워크에서 들어오고 나가는 [[데이터]] 패킷을 캡처하는데 사용되는 기술이다. 네트워크에서 패킷 스니핑은 도청과 비슷한 개념인데, 올바르게 적용되면 합법적이며 보안 목적을 위해 이를 수행할 수 있다.
+
* [[스니핑]](Sniffing) : 스니핑 또는 패킷 스니핑은 시스템 및 네트워크에서 들어오고 나가는 [[데이터]] 패킷을 캡처하는데 사용되는 기술이다. 네트워크에서 패킷 스니핑은 도청과 비슷한 개념인데, 올바르게 적용되면 합법적이며 보안 목적을 위해 이를 수행할 수 있다.
  
* [[패킷 주입]](Packet Injection): 공격자가 일반 데이터와 함께 악의적인 데이터를 주입하는 것이다. 사용자에게는 합법적 통신 스트림 일부로 제공되어 [[파일]] 및 [[멀웨어]] 프로그램을 알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파일은 중간자 공격과 서비스 거부 공격에서 흔히 보인다.
+
* [[패킷 주입]](Packet Injection) : 공격자가 일반 데이터와 함께 악의적인 데이터를 주입하는 것이다. 사용자에게는 합법적 통신 스트림 일부로 제공되어 [[파일]] 및 [[멀웨어]] 프로그램을 알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파일은 중간자 공격과 서비스 거부 공격에서 흔히 보인다.
  
* [[세션 하이재킹]](Session Hijacking): 세션 가로채기라고도 불리며 두 시스템 간 연결이 활성화된 상태를 가로채는 것으로, 세션 만료(Session Expired) 오류를 발생시킨다. 세션이란 [[은행]] 계좌에 로그인하고 로그아웃 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말하는데 이러한 세션이 해커들의 표적이 되고, 대부분의 경우 해커는 자신의 존재를 이 세션에서 확인하고 제어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공격한다.
+
* [[세션 하이재킹]](Session Hijacking) : 세션 가로채기라고도 불리며 두 시스템 간 연결이 활성화된 상태를 가로채는 것으로, 세션 만료(Session Expired) 오류를 발생시킨다. 세션이란 [[은행]] 계좌에 로그인하고 로그아웃 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말하는데 이러한 세션이 해커들의 표적이 되고, 대부분의 경우 해커는 자신의 존재를 이 세션에서 확인하고 제어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공격한다.
  
* [[보안 소켓 계층 스트리핑]](SSL stripping): [[SSL]]/[[TLS]] 인증서는 암호화를 통해 온라인 통신을 안전하게 유지한다. 보안 소켓 계층 스트리핑 공격을 받을 경우 공격자는 SSL/TLS 연결을 차단하여 프로토콜 보안성이 있는 [[HTTPS]]에서 안전하지 않은 [[HTTP]]로 전환시킨다.<ref>유서트,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ucert&logNo=221201640816&categoryNo=37&parentCategoryNo=0 중간자 공격(Man-in-the-middle attack)이란? 그 대처방법은?]〉, 《네이버 블로그》, 2018-02-05</ref>
+
* [[보안 소켓 계층 스트리핑]](SSL stripping) : [[SSL]]/[[TLS]] 인증서는 암호화를 통해 온라인 통신을 안전하게 유지한다. 보안 소켓 계층 스트리핑 공격을 받을 경우 공격자는 SSL/TLS 연결을 차단하여 프로토콜 보안성이 있는 [[HTTPS]]에서 안전하지 않은 [[HTTP]]로 전환시킨다.<ref>유서트,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ucert&logNo=221201640816&categoryNo=37&parentCategoryNo=0 중간자 공격(Man-in-the-middle attack)이란? 그 대처방법은?]〉, 《네이버 블로그》, 2018-02-05</ref>
  
 
== 대안 ==
 
== 대안 ==
전송 계층 보안(Transport Layer Security, TLS) 통신은 중간자 공격법을 방어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전송 계층 보안 통신은 클라이언트가 연결을 요청하면 서버에서 자신의 [[공개키]]가 포함된 인증서를 보내고, 클라이언트는 인증서의 내용을 연결 프로그램 또는 [[운영체제]]에 내장된 루트 인증서 정보와 비교하여 [[무결성]]을 검증한다. 이후 인증서에 있는 공개키로 대칭형 암호화 키를 만들 수 있는 난수 정보를 공개키로 암호화해 서버로 보내며,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각각 이 난수에서 암호화 키를 만들어내 암호화 연결이 개시된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루트 인증서를 신뢰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보안성이 충분히 보장되지 않았거나, 내부적으로 악용할 가능성이 있거나 하는 루트 인증서는 허용해서는 안 된다.<ref>〈[https://namu.wiki/w/%EC%A4%91%EA%B0%84%EC%9E%90%20%EA%B3%B5%EA%B2%A9 중간자 공격]〉, 《나무위키》</ref>
+
전송 계층 보안(Transport Layer Security, TLS) 통신은 중간자 공격법을 방어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전송 계층 보안 통신은 클라이언트가 연결을 요청하면 서버에서 자신의 [[공개키]]가 포함된 인증서를 보내고, 클라이언트는 인증서의 내용을 연결 프로그램 또는 [[운영체제]]에 내장된 루트 인증서 정보와 비교하여 [[무결성]]을 검증한다. 이후 인증서에 있는 공개키로 대칭형 암호화 키를 만들 수 있는 난수 정보를 공개키로 암호화해 서버로 보내며,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각각 이 난수에서 암호화 키를 만들어내 암호화 연결이 개시된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루트 인증서를 신뢰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보안성이 충분히 보장되지 않았거나, 내부적으로 악용할 가능성이 있거나 하는 루트 인증서는 허용해서는 안 된다. <ref>나무위키 - https://namu.wiki/w/%EC%A4%91%EA%B0%84%EC%9E%90%20%EA%B3%B5%EA%B2%A9</ref>
  
 
== 전망 ==
 
== 전망 ==
24번째 줄: 25번째 줄: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 〈[https://namu.wiki/w/%EC%A4%91%EA%B0%84%EC%9E%90%20%EA%B3%B5%EA%B2%A9 중간자 공격]〉, 《나무위키》
 
 
* Dan Swinhoe, 〈[http://www.itworld.co.kr/howto/117021 MitM 공격이란 무엇인가 "MitM 공격의 메커니즘과 예방법"]〉, 《아이티월드》, 2019-02-18
 
* Dan Swinhoe, 〈[http://www.itworld.co.kr/howto/117021 MitM 공격이란 무엇인가 "MitM 공격의 메커니즘과 예방법"]〉, 《아이티월드》, 2019-02-18
 
* 유서트,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ucert&logNo=221201640816&categoryNo=37&parentCategoryNo=0 중간자 공격(Man-in-the-middle attack)이란? 그 대처방법은?]〉, 《네이버 블로그》, 2018-02-05
 
* 유서트,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ucert&logNo=221201640816&categoryNo=37&parentCategoryNo=0 중간자 공격(Man-in-the-middle attack)이란? 그 대처방법은?]〉, 《네이버 블로그》, 2018-02-05
 +
* 나무위키 - https://namu.wiki/w/%EC%A4%91%EA%B0%84%EC%9E%90%20%EA%B3%B5%EA%B2%A9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33번째 줄: 34번째 줄:
 
* [[랜섬웨어]]
 
* [[랜섬웨어]]
  
{{보안|검토 필요}}
+
{{블록체인 기술|토막글}}
 +
 
 +
[[분류:프로그램]]
 +
[[분류:정보통신]]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