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6번째 줄: 6번째 줄:
 
[[파일:톈진시.jpg|썸네일|300픽셀|톈진시]]
 
[[파일:톈진시.jpg|썸네일|300픽셀|톈진시]]
  
'''중국'''(中國, China)은 [[동아시아]] 지역에 위치한 [[국가]]이다. 정식 국가 이름은 '''중화인민공화국'''(中华人民共和国)이다. 중국의 [[수도]]는 [[베이징]](Beijing, 北京, 북경)이다. 중화인민공화국은 다민족 국가로 총인구의 91.5%가 [[한족]](漢族)이며, 그 밖에 56개의 [[소수민족]]으로 이루어져 있다. 행정구역은 [[베이징]](Beijing, 北京, 북경)을 포함한 4개의 직할시, [[하북성]]을 포함한 23개의 [[성 (행정구역)|성]], [[네이멍구자치구]]를 포함한 5개의 자치구, [[홍콩]]을 포함한 2개의 특별행정구로 구성되어 있다.
+
'''중국'''(中國, China)은 [[동아시아]] 지역에 위치한 [[국가]]이다. 정식 국가 이름은 '''중화인민공화국'''(中华人民共和国)이다. 중국의 [[수도]]는 [[베이징]](Beijing, 北京, 북경)이다. 중화인민공화국은 다민족 국가로 총인구의 91.5%가 [[한족]](漢族)이며, 그 밖에 56개의 [[소수민족]]으로 이루어져 있다. 행정구역은 [[베이징]](Beijing, 北京, 북경)을 포함한 4개의 직할시, [[하북성]]을 포함한 23개의 [[성 (행정구역)|성]], [[내몽골자치구]]를 포함한 5개의 자치구, [[홍콩]]을 포함한 2개의 특별행정구로 구성되어 있다.
  
 
== 개요 ==
 
== 개요 ==
90번째 줄: 90번째 줄:
  
 
남동부 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이 건조한 편인데, 때문에 대부분의 중국인들이 남동부 지역에 몰려 살고 있다. 특히 중국 영토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하는 서부 지역은 불모의 땅이 대부분이며, 남서부 지역은 해발고도 또한 4000m 이상으로 매우 높다. 또한 대륙의 동안에 위치했고 서부지역이 높은 고원과 사막으로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동위도의 타 지역에 비해 한랭한 기후를 나타낸다.
 
남동부 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이 건조한 편인데, 때문에 대부분의 중국인들이 남동부 지역에 몰려 살고 있다. 특히 중국 영토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하는 서부 지역은 불모의 땅이 대부분이며, 남서부 지역은 해발고도 또한 4000m 이상으로 매우 높다. 또한 대륙의 동안에 위치했고 서부지역이 높은 고원과 사막으로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동위도의 타 지역에 비해 한랭한 기후를 나타낸다.
* '''동북 지방'''(허베이, 네이멍구, 랴오닝, 지린, 헤이룽장)
+
* '''동북 지방'''(허베이,내몽골,랴오닝,지린,헤이룽장)
대부분의 지역이 [[냉대기후]]이며, 여름은 무더우며 일부 지역은 높은 [[습도]]로 불쾌하나 내몽골 지역은 일교차가 크며 건조한 경향을 나타낸다. 헤이룽장 지역의 경우 9월이면 겨울이 찾아오고, 8월부터 영하의 기온을 나타내며 눈이 내린다. 헤이룽장 지역과 내몽고 북부의 경우 1월에 혹한이 찾아올 경우 섭씨 -50도 밑으로 떨어지기도 하며 -40도 밑으로 떨어지는 것은 일상이다. 베이징이 위치한 허베이 지역, 만주의 랴오닝 남부의 경우 동북 지역 한정으로 매우 온난하며 이 지역은 개성시, 평양시 등 한반도의 중북부지방(북한)과 유사한 기후를 갖는다.
+
대부분의 지역이 냉대기후이며, 여름은 무더우며 일부 지역은 높은 습도로 불쾌하나 내몽고 지역은 일교차가 크며 건조한 경향을 나타낸다. 헤이룽장 지역의 경우 9월이면 겨울이 찾아오고, 8월부터 영하의 기온을 나타내며 눈이 내린다. 헤이룽장 지역과 내몽고 북부의 경우 1월에 혹한이 찾아올 경우 섭씨 -50도 밑으로 떨어지기도 하며 -40도 밑으로 떨어지는 것은 일상이다. 베이징이 위치한 허베이 지역, 만주의 랴오닝 남부의 경우 동북 지역 한정으로 매우 온난하며 이 지역은 개성시, 평양시 등 한반도의 중북부지방(북한)과 유사한 기후를 갖는다.
 
* '''동남 지방'''(산동,허난,장쑤,후난,후베이,저장,푸젠,광둥,구이저우 등)
 
* '''동남 지방'''(산동,허난,장쑤,후난,후베이,저장,푸젠,광둥,구이저우 등)
 
평균적으로 동남 지역의 북부(산동,허난,장쑤)는 한반도의 중남부(남한)와 연평균온도가 비슷하며 여름은 비슷하거나, 더욱 고온다습하다 (난징 등 장쑤 일대).[3] 장마의 영향을 받으며 광둥 등 남부지역에서는 태풍의 피해도 매우 빈번하다. 전반적으로 온난 습윤한 기후를 나타내며, 벼농사의 적지 중 한 곳이다. 상하이, 광저우, 홍콩, 선전시 등 중국의 산업을 이끄는 도시들이 있으며 겨울의 기후는 대부분 지역이 최한월 평균기온 섭씨 -3도 이상으로 온난하다. 참고로 봄부터 여름까지는 서쪽의 티벳고원 700hPa 고도에 열저기압이 자리하므로 그 전면부인 이곳은 지상저기압이 위치한다. 따라서 봄 여름 내내 짓누르는듯한 층운이 자리잡는다. 이후에는 장마, 장마후엔 계절풍성 호우 등 여름 내내 비가 끊이지 않는 지역이다. 가을 이후나 되어야 이곳에서는 맑은 하늘을 볼 수 있으며 따라서 내륙지역임에도 다습한 정글기후가 나타난다. 그렇다고 겨울에 덜춥냐면 그건 아니라.... 이 동네에서는 2~3월부터 반팔을 입고 11~12월까지도 입을 정도.
 
평균적으로 동남 지역의 북부(산동,허난,장쑤)는 한반도의 중남부(남한)와 연평균온도가 비슷하며 여름은 비슷하거나, 더욱 고온다습하다 (난징 등 장쑤 일대).[3] 장마의 영향을 받으며 광둥 등 남부지역에서는 태풍의 피해도 매우 빈번하다. 전반적으로 온난 습윤한 기후를 나타내며, 벼농사의 적지 중 한 곳이다. 상하이, 광저우, 홍콩, 선전시 등 중국의 산업을 이끄는 도시들이 있으며 겨울의 기후는 대부분 지역이 최한월 평균기온 섭씨 -3도 이상으로 온난하다. 참고로 봄부터 여름까지는 서쪽의 티벳고원 700hPa 고도에 열저기압이 자리하므로 그 전면부인 이곳은 지상저기압이 위치한다. 따라서 봄 여름 내내 짓누르는듯한 층운이 자리잡는다. 이후에는 장마, 장마후엔 계절풍성 호우 등 여름 내내 비가 끊이지 않는 지역이다. 가을 이후나 되어야 이곳에서는 맑은 하늘을 볼 수 있으며 따라서 내륙지역임에도 다습한 정글기후가 나타난다. 그렇다고 겨울에 덜춥냐면 그건 아니라.... 이 동네에서는 2~3월부터 반팔을 입고 11~12월까지도 입을 정도.
221번째 줄: 221번째 줄:
 
성과 같은 등급의 행정구역으로 주요 도시들을 직할시로 지정하였다. 과거 중화민국이 대륙을 통치할 당시에는 12개의 직할시가 있었으나 중화인민공화국이 들어선 이래로 계속 격하되어 지금은 '''[[베이징]]'''(北京), '''[[톈진]]'''(天津), '''[[상하이]]'''(上海), '''[[충칭]]'''(重庆) 4개가 남아있다.  유의할 점은 직할시라는 단위는 어디까지나 해당 자치체의 법적 위상을 분류하는 용어일 뿐, 중국의 직할시들의 풀네임은 그냥 '○○시'이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의 광역시 중 하나인 부산의 풀네임은 "부산광역시"지만, 상하이의 풀네임은 그냥 "상하이시"다. 주소를 쓸 때는 물론, 각 행정기관 이름에도 "직할시" 세 글자가 붙는 경우는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상하이시 인민정부(上海市人民政府), 상하이시 공안국(上海市公安局) 등 정부기관명에도 "직할시"가 붙지 않는다.
 
성과 같은 등급의 행정구역으로 주요 도시들을 직할시로 지정하였다. 과거 중화민국이 대륙을 통치할 당시에는 12개의 직할시가 있었으나 중화인민공화국이 들어선 이래로 계속 격하되어 지금은 '''[[베이징]]'''(北京), '''[[톈진]]'''(天津), '''[[상하이]]'''(上海), '''[[충칭]]'''(重庆) 4개가 남아있다.  유의할 점은 직할시라는 단위는 어디까지나 해당 자치체의 법적 위상을 분류하는 용어일 뿐, 중국의 직할시들의 풀네임은 그냥 '○○시'이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의 광역시 중 하나인 부산의 풀네임은 "부산광역시"지만, 상하이의 풀네임은 그냥 "상하이시"다. 주소를 쓸 때는 물론, 각 행정기관 이름에도 "직할시" 세 글자가 붙는 경우는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상하이시 인민정부(上海市人民政府), 상하이시 공안국(上海市公安局) 등 정부기관명에도 "직할시"가 붙지 않는다.
  
성과 같은 등급의 다른 행정구역인 자치구는 소수민족이 모여사는 곳으로 '''[[신장위구르자치구]], [[티베트자치구]], [[닝샤후이족자치구]], [[네이멍구자치구]], [[광시좡족자치구]]''' 5곳이 있다. 이 곳은 제한적인 법령 제정권과 지역 언어 지정 및 사용 권리, 지역 경찰 등의 제한적인 자치 권한 등을 보유하고 있다.
+
성과 같은 등급의 다른 행정구역인 자치구는 소수민족이 모여사는 곳으로 '''신장 위구르 자치구, 티베트 자치구, 닝샤 후이족 자치구, 내몽골 자치구, 광시 좡족 자치구''' 5곳이 있다. 이 곳은 제한적인 법령 제정권과 지역 언어 지정 및 사용 권리, 지역 경찰 등의 제한적인 자치 권한 등을 보유하고 있다.
  
 
또 다른 성급 행정구역인 특별행정구는 [[홍콩]], [[마카오]] 2개가 있는데 이전의 오랜 영국, 포르투갈 식민지배를 고려해 중국에 반환된 이후에도 1국가 2체제에 따라 자본주의 체제를 유지하고 있으며, 외교와 국방을 제외한 모든 면에서 별개의 국가로 취급될 만큼 고도의 자치권을 누린다. 여권/비자, 화폐, 법령, 올림픽 출전 등의 면에서 느낄 수 있다. 또한 중국 본토와 홍콩, 마카오를 각각 오갈 시에도 출입경 심사가 필요하다.
 
또 다른 성급 행정구역인 특별행정구는 [[홍콩]], [[마카오]] 2개가 있는데 이전의 오랜 영국, 포르투갈 식민지배를 고려해 중국에 반환된 이후에도 1국가 2체제에 따라 자본주의 체제를 유지하고 있으며, 외교와 국방을 제외한 모든 면에서 별개의 국가로 취급될 만큼 고도의 자치권을 누린다. 여권/비자, 화폐, 법령, 올림픽 출전 등의 면에서 느낄 수 있다. 또한 중국 본토와 홍콩, 마카오를 각각 오갈 시에도 출입경 심사가 필요하다.
268번째 줄: 268번째 줄:
 
|align=center|[[타이위안시]](太原市)
 
|align=center|[[타이위안시]](太原市)
 
|-
 
|-
|align=center|[[네이멍구자치구]](内蒙古自治区)
+
|align=center|[[내몽골 자치구]](内蒙古自治区)
 
|align=center|內蒙古(Nèiměnggǔ/네이멍구)
 
|align=center|內蒙古(Nèiměnggǔ/네이멍구)
 
|align=center|[[후허하오터시]](呼和浩特市)
 
|align=center|[[후허하오터시]](呼和浩特市)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