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대형승합차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중대형승합차'''<!--중대형 승합차-->는 [[중형승합차]]와 [[대형승합차]]를 통틀어 부르는 말이다.  
 
'''중대형승합차'''<!--중대형 승합차-->는 [[중형승합차]]와 [[대형승합차]]를 통틀어 부르는 말이다.  
{{:자동차 배너}}
 
  
 
==차급==
 
==차급==
30번째 줄: 29번째 줄:
 
==구분==
 
==구분==
 
===중형승합차===
 
===중형승합차===
[[중형승합차]]는 승차정원이 16인 이상 35인 이하이거나 길이, 너비, 높이 중 어느 하나라도 [[소형승합차]]를 초과하지만 길이는 9m 미만인 [[승합차]]를 말한다. 35인승 이하 중형승합차는 상위차로를 이용할 수 있는데 25인승 [[카운티]](County)와 [[레스타]](Lestar)만 해도 크기가 3.5t인 [[화물차]]와 비슷한 크기이기 때문에 [[승용차]] 입장에서는 시야를 가리는 것은 똑같다. 또한 가속도는 [[픽업트럭]]보다 떨어지는데도 상위차로 및 [[1차선]]을 이용할 수 있다. 심지어 이 두 차량보다 더 큰 전장인 9m를 넘지 않는 33인승 [[자일대우버스㈜]](Zyle Daewoo Bus Co., Ltd.) BS090 모델도 중형승합차로 분류되어 상위차로 및 1차선에 들어갈 수 있다. 중형승합차에는 대표적으로 자일대우버스㈜의 [[레스타]](Lestar), BS090 등이 있다.<ref name="중대형승합차"> 〈[https://namu.wiki/w/%EC%A7%80%EC%A0%95%EC%B0%A8%EB%A1%9C%EC%A0%9C 지정차로제]〉, 《나무위키》</ref>
+
[[중형승합차]]는 승차정원이 16인 이상 35인 이하이거나 길이, 너비, 높이 중 어느 하나라도 [[소형승합차]]를 초과하지만 길이는 9m 미만인 [[승합차]]를 말한다. 35인승 이하 중형승합차는 상위차로를 이용할 수 있는데 25인승 [[카운티]](County)와 [[레스타]](Lestar)만 해도 크기가 3.5t인 [[화물차]]와 비슷한 크기이기 때문에 [[승용차]] 입장에서는 시야를 가리는 것은 똑같다. 또한 가속도는 [[픽업트럭]]보다 떨어지는데도 상위차로 및 [[1차선]]을 이용할 수 있다. 심지어 이 두 차량보다 더 큰 전장인 9m를 넘지 않는 33인승 [[자일대우버스㈜]](Zyle Daewoo Bus Co., Ltd.) BS090 모델도 중형승합차로 분류되어 상위차로 및 1차선에 들어갈 수 있다. 중형승합차에는 대표적으로 자일대우버스㈜의 [[레스타]](Lestar), BS090 등이 있다..<ref name="중대형승합차"> 〈[https://namu.wiki/w/%EC%A7%80%EC%A0%95%EC%B0%A8%EB%A1%9C%EC%A0%9C 지정차로제]〉, 《나무위키》</ref>
  
 
;레스타
 
;레스타
[[파일:자일대우상용차 레스타.jpg|썸네일|300픽셀|'''레스타'''(Lestar)]]  
+
[[파일:자일대우상용차 레스타.jpg|썸네일|300픽셀|'''레스타'''(Lestar)]]
  
[[레스타]](Lestar)는 자일대우버스㈜에서 출시한 [[준중형버스]]로 중형승합차에 속한다. 자일대우버스㈜는 2007년부터 [[현대자동차㈜]](Hyundai Motor Company) [[카운티]](County)의 경쟁 모델로 [[소형버스]] 시장 진출을 위한 독자 차종을 개발하였으며, 2012년 부산모터쇼에서 처음 공개한 뒤 출시하였다. 레스타의 출시에 따라 학원, 교회, 음식점, 어린이집, 회사, 학교, 관공서, 개인사업자, 쇼핑센터, [[마을버스]], [[농어촌버스]] 등에서 차종 선택폭이 넓어지게 되었다.<ref> 〈[https://ko.wikipedia.org/wiki/%EC%9E%90%EC%9D%BC%EB%8C%80%EC%9A%B0_%EB%A0%88%EC%8A%A4%ED%83%80 자일대우 레스타]〉, 《위키백과》</ref> 레스타는 전장 길이에 따라 단축, 장축 두 가지 모델로 출시됐다. 차량별 주요 제원으로 단축 모델의 경우 [[전장]] 6,445mm, [[전폭]] 2,040mm, [[전고]] 2,820mm, [[축거]] 3,365mm의 수준을 갖췄다. 장축 모델은 단축 모델과 전폭, 전고가 같지만 전장과 축거는 각각 7,180mm, 4,100mm로 단축 모델보다 735mm씩 연장됐다. 자일대우버스㈜는 레스타를 [[자가용]], 마을버스 등 용도에 따라 장축 5종, 단축 2종 등 총 7종의 좌석별 라인업을 갖췄다. 레스타에는 [[파워트레인]]으로 3.8L [[배기량]]의 [[커민스]](Cummins, NYSE: CMI) ISF 유로6 [[디젤엔진]]과 함께 5단 [[수동변속기]] 또는 엘리슨 6단 [[자동변속기]]가 장착됐다. 이에 따라 최고출력 170마력, 최대토크 67.0kg.m 수준의 구동력을 발휘한다. 레스타는 양호한 승차감과 넓은 운전석 시야 등 강점을 인정받아 관광, 군 수송, 어린이 보육 시설 등 다양한 분야에 공급되고 있다. 또한 레스타는 소형버스를 개조해 만든 [[캠핑카]]로 이루어진 [[대한민국]] 시장에서도 선택지 가운데 하나도 주목받고 있다.<ref> 최동훈 기자, 〈[http://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394247 (상용차 리그) 레스타, 튜닝 활성화로 ‘캠핑카’ 각광]〉, 《이코노믹리뷰》, 2020-04-25 </ref>
+
[[레스타]](Lestar)는 자일대우버스㈜에서 출시한 [[준중형버스]]로 중형승합차에 속한다. 자일대우버스㈜는 2007년부터 [[현대자동차㈜]](Hyundai Motor Company) [[카운티]](County)의 경쟁 모델로 [[소형버스]] 시장 진출을 위한 독자 차종을 개발하였으며, 2012년 부산모터쇼에서 처음 공개한 뒤 출시하였다. 레스타의 출시에 따라 학원, 교회, 음식점, 어린이집, 회사, 학교, 관공서, 개인사업자, 쇼핑센터, [[마을버스]], [[농어촌버스]] 등에서 차종 선택폭이 넓어지게 되었다.<ref> 〈[https://ko.wikipedia.org/wiki/%EC%9E%90%EC%9D%BC%EB%8C%80%EC%9A%B0_%EB%A0%88%EC%8A%A4%ED%83%80 자일대우 레스타]〉, 《위키백과》</ref> 레스타는 전장 길이에 따라 단축, 장축 두 가지 모델로 출시됐다. 차량별 주요 제원으로 단축 모델의 경우 [[전장]] 6,445mm, [[전폭]] 2,040mm, [[전고]] 2,820mm, [[축거]] 3,365mm의 수준을 갖췄다. 장축 모델은 단축 모델과 전폭, 전고가 같은 반면 전장과 축거는 각각 7,180mm, 4,100mm로 단축 모델보다 735mm씩 연장됐다. 자일대우버스㈜는 레스타를 [[자가용]], 마을버스 등 용도에 따라 장축 5종, 단축 2종 등 총 7종의 좌석별 라인업을 갖췄다. 레스타에는 [[파워트레인]]으로 3.8L [[배기량]]의 [[커민스]](Cummins, NYSE: CMI) ISF 유로6 [[디젤엔진]]과 함께 5단 [[수동변속기]] 또는 엘리슨 6단 [[자동변속기]]가 장착됐다. 이에 따라 최고출력 170마력, 최대토크 67.0kg.m 수준의 구동력을 발휘한다. 레스타는 양호한 승차감과 넓은 운전석 시야 등 강점을 인정받아 관광, 군 수송, 어린이 보육시설 등 다양한 분야에 공급되고 있다. 또한 레스타는 소형버스를 개조해 만든 [[캠핑카]]로 이루어진 [[대한민국]] 시장에서도 선택지 가운데 하나도 주목받고 있다.<ref> 최동훈 기자, 〈[http://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394247 (상용차 리그) 레스타, 튜닝 활성화로 ‘캠핑카’ 각광]〉, 《이코노믹리뷰》, 2020-04-25 </ref>
  
 
===대형승합차===
 
===대형승합차===
[[대형승합차]]는 승차정원이 36인 이상이거나 길이, 너비, 높이 모두가 소형승합차를 초과하고 길이는 9m 이상인 승합차를 말한다. 2017년 1월부터 출시되는 대형승합차에는 차로이탈경고장치(LDWS) 및 비상 자동 제동장치(AEBS)의 장착이 의무화된다. [[국토교통부]]는 이러한 내용을 골자로 하는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의 성능과 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 개정안을 2016년 3월 30일 입법 예고했다. 개정안에 따르면 차로이탈경고장치, 비상 자동 제동장치 등 [[자율주행]] 장치 관련 국제기준을 대한민국 기준에 반영하고 길이 11m 초과 승합자동차에 장착을 의무화해야 한다.<ref> 최정희 기자, 〈[http://www.autoherald.co.kr/news/articleView.html?idxno=18455 대형 승합ㆍ화물차, 차로이탈경고장치 등 장착 의무화]〉, 《오토헤럴드》, 2016-04-04 </ref> 차로이탈경고장치는 차선 이탈을 [[운전자]]에게 알려 사고를 예방하는 장치이며, 비상 자동제동 장치는 졸음운전 등으로 주행 중 앞차와의 간격이 충돌 직전까지 좁아지면 스스로 [[브레이크]]가 작동해 충돌을 막거나 충돌 시 충격을 줄이는 장치이다.<ref> 더드라이브,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10106499&memberNo=32938868&searchKeyword=%EB%8C%80%ED%98%95%EC%8A%B9%ED%95%A9%EC%B0%A8&searchRank=11 '대형차 졸음사고 예방' 승합차·화물차 AEBS·LDWS 의무 설치]〉, 《네이버 포스트》, 2017-10-19 </ref> 또한 대형승합차는 편도 [[3차선]] 이상 [[고속도로]]에서 1차선 진입이 금지되어있다. 왼쪽 차로 최하위 차로에서 추월이 가능하므로 1차선에 진입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단, 편도 [[2차선]] 고속도로에서는 차종 상관없이 주행은 2차선에서, 추월은 1차선에서 해야 하므로 대형승합차가 1차선으로 진입하더라도 지정차로제 위반이라고 볼 수 없다.<ref name="중대형승합차"></ref>
+
[[대형승합차]]는 승차정원이 36인 이상이거나 길이, 너비, 높이 모두가 소형승합차를 초과하고 길이는 9m 이상인 승합차를 말한다. 2017년 1월부터 출시되는 대형승합차에 차로이탈경고장치(LDWS) 및 비상자동제동장치(AEBS)의 장착이 의무화된다. [[국토교통부]]는 이러한 내용을 골자로 하는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의 성능과 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 개정안을 2016년 3월 30일 입법 예고했다. 개정안에 따르면 차로이탈경고장치, 비상자동제동장치 등 [[자율주행]] 장치 관련 국제기준을 대한민국 기준에 반영하고 길이 11m 초과 승합자동차에 장착을 의무화해야 한다.<ref> 최정희 기자, 〈[http://www.autoherald.co.kr/news/articleView.html?idxno=18455 대형 승합ㆍ화물차, 차로이탈경고장치 등 장착 의무화]〉, 《오토헤럴드》, 2016-04-04 </ref> 차로이탈경고장치는 차선 이탈을 [[운전자]]에게 알려 사고를 예방하는 장치이며, 비상자동제동장치는 졸음운전 등으로 주행 중 앞차와의 간격이 충돌 직전까지 좁아지면 스스로 [[브레이크]]가 작동해 충돌을 막거나 충돌 시 충격을 줄이는 장치이다.<ref> 더드라이브,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10106499&memberNo=32938868&searchKeyword=%EB%8C%80%ED%98%95%EC%8A%B9%ED%95%A9%EC%B0%A8&searchRank=11 '대형차 졸음사고 예방' 승합차·화물차 AEBS·LDWS 의무 설치]〉, 《네이버 포스트》, 2017-10-19 </ref> 또한 대형승합차는 편도 [[3차선]] 이상 [[고속도로]]에서 1차선 진입이 금지 되어있다. 왼쪽차로 최하위차로에서 추월이 가능하므로 1차선에 진입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단, 편도 [[2차선]] 고속도로에서는 차종 상관 없이 주행은 2차선에서, 추월은 1차선에서 해야하므로 대형승합차가 1차선으로 진입하더라도 지정차로제 위반이라고 볼 수 없다.<ref name="중대형승합차"></ref>
  
 
;유니버스
 
;유니버스
 
[[파일:유니버스.jpg|썸네일|300픽셀|'''유니버스'''(Universe)]]
 
[[파일:유니버스.jpg|썸네일|300픽셀|'''유니버스'''(Universe)]]
  
[[유니버스]](Universe)는 현대자동차㈜에서 출시한 대형 리어엔진 [[버스]]로 대형승합차에 속한다. 유니버스는 현대자동차㈜가 유일하게 [[일본]]에 수출하는 차종이다. 현대자동차㈜가 승용차 등 소형 부문을 일본에서 철수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유니버스는 [[연료]] 효율과 내구성을 인정받아 일본에서 인기를 얻어 2010년 이후에도 판매되고 있다.<ref> 〈[https://ko.wikipedia.org/wiki/%ED%98%84%EB%8C%80_%EC%9C%A0%EB%8B%88%EB%B2%84%EC%8A%A4 현대 유니버스]〉, 《위키백과》</ref> 현대자동차㈜는 2019년 3월 유니버스의 [[페이스리프트]] 모델을 공개했다. 여기에는 신규 프레임을 적용해 기존 모델보다 [[휠]] 간의 거리를 0.5m 늘여 총 전장 12.5m를 확보했다. 이를 바탕으로 [[시트]] 간의 거리를 기존 854mm에서 910mm로 늘려 장시간 이동해야 하는 승객의 거주성을 개선했으며 화물실을 2개에서 3개로 확장해 대한민국 최대 수준의 수납공간을 확보했다. 아울러 현대자동차㈜는 유니버스 전 모델에 대한민국 최초로 [[엔진룸]] 화재 소화 장치, 운전자 주의 경고 등 안전 기술을 대폭 확대 적용해 안전성을 높였다. 이와 더불어 현대자동차㈜는 사회적으로 쟁점이 되고 있는 전방 주시 태만, 졸음운전, 전방 주행 차량의 급제동 등에 의한 추돌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운전자 주의 경고와 주행 시 전방 차량과 일정 거리를 유지해주는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을 신규 적용했다. 유니버스의 외장 디자인은 수직적 디자인 요소를 활용해 전면과 후면 [[램프]]를 변경하고, 간결하고 일체감 있는 디자인을 적용해 세련되고 웅장한 외관을 완성했다. 전면부는 날렵한 삼각형 헤드램프 부 안에 [[헤드램프]]와 [[방향지시등]]을 수직으로 쌓아 올리고 그 양 옆에 위아래로 곧게 뻗은 [[LED]] [[주간주행등]]과 [[차폭등]]을 위치시켰으며, 세로형의 사이드 [[마커 램프]]를 검은색의 전면부 [[스포일러]] 양 끝단에 주간주행등과 대칭이 되도록 배치해 당당한 디자인을 완성했다. 측면에는 검은색을 적용한 상단부 사이드 스포일러부터 하단부 [[몰딩]]을 없앤 사이드 글라스까지 일체감을 줘 웅장한 느낌을 구현했으며 후면부에는 세로형 LED [[리어램프]]와 마커 램프로 세련된 이미지를 연출했다. 실내는 승객의 시야 방해를 최소화하도록 선반의 디자인을 변경했으며 부드럽고 은은한 빛의 LED 룸램프를 적용했다.<ref> 모토야편집부, 〈[https://www.motoya.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500 현대차, 더 커진 최고급형 유니버스 공개]〉, 《모토야》, 2019-01-22 </ref>
+
[[유니버스]](Universe)는 현대자동차㈜에서 출시한 대형 리어엔진 [[버스]]로 대형승합차에 속한다. 유니버스는 현대자동차㈜가 유일하게 [[일본]]에 수출하는 차종이다. 현대자동차㈜가 승용차 등 소형 부문을 일본에서 철수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유니버스는 [[연료]] 효율과 내구성을 인정받아 일본에서 인기를 얻어 2010년 이후에도 판매되고 있다.<ref> 〈[https://ko.wikipedia.org/wiki/%ED%98%84%EB%8C%80_%EC%9C%A0%EB%8B%88%EB%B2%84%EC%8A%A4 현대 유니버스]〉, 《위키백과》</ref> 현대자동차㈜는 2019년 3월 유니버스의 [[페이스리프트]] 모델을 공개했다. 여기에는 신규 프레임을 적용해 기존 모델보다 [[휠]] 간의 거리를 0.5m 늘려 총 전장 12.5m를 확보했다. 이를 바탕으로 [[시트]] 간의 거리를 기존 854mm에서 910mm로 늘려 장시간 이동해야 하는 승객의 거주성을 개선했으며 화물실을 2개에서 3개로 확장해 대한민국 최대 수준의 수납공간을 확보했다. 아울러 현대자동차㈜는 유니버스 전 모델에 대한민국 최초로 [[엔진룸]] 화재 소화 장치, 운전자 주의 경고 등 안전 기술을 대폭 확대 적용해 안전성을 높였다. 이와 더불어 현대자동차㈜는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전방 주시 태만, 졸음운전, 전방 주행차량의 급제동 등에 의한 추돌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운전자 주의 경고와 주행시 전방 차량과 일정 거리를 유지해주는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을 신규 적용했다. 유니버스의 외장 디자인은 수직적 디자인 요소를 활용해 전면과 후면 [[램프]]를 변경하고, 간결하고 일체감 있는 디자인을 적용해 세련되고 웅장한 외관을 완성했다. 전면부는 날렵한 삼각형 헤드램프부 안에 [[헤드램프]]와 [[방향지시등]]을 수직으로 쌓아 올리고 그 양 옆에 위아래로 곧게 뻗은 [[LED]] [[주간주행등]]과 [[차폭등]]을 위치시켰으며, 세로형의 사이드 [[마커램프]]를 블랙 컬러의 전면부 [[스포일러]] 양 끝단에 주간주행등과 대칭이 되도록 배치해 당당한 디자인을 완성했다. 측면에는 검정색을 적용한 상단부 사이드 스포일러부터 하단부 [[몰딩]]을 없앤 사이드 글라스까지 일체감을 줘 웅장한 느낌을 구현했으며 후면부에는 세로형 LED [[리어램프]]와 마커램프로 세련된 이미지를 연출했다. 실내는 승객의 시야 방해를 최소화 하도록 선반의 디자인을 변경했으며 부드럽고 은은한 빛의 LED 룸램프를 적용했다.<ref> 모토야편집부, 〈[https://www.motoya.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500 현대차, 더 커진 최고급형 유니버스 공개]〉, 《모토야》, 2019-01-22 </ref>
  
 
{{각주}}
 
{{각주}}
49번째 줄: 48번째 줄:
 
==참고자료==
 
==참고자료==
 
*〈[https://ko.wikipedia.org/wiki/%EC%9E%90%EB%8F%99%EC%B0%A8%EA%B4%80%EB%A6%AC%EB%B2%95 자동차관리법]〉,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C%9E%90%EB%8F%99%EC%B0%A8%EA%B4%80%EB%A6%AC%EB%B2%95 자동차관리법]〉, 《위키백과》
*〈[https://namu.wiki/w/%EC%A7%80%EC%A0%95%EC%B0%A8%EB%A1%9C%EC%A0%9C 지정차로제]〉, 《나무위키》
 
 
*〈[https://ko.wikipedia.org/wiki/%EC%9E%90%EC%9D%BC%EB%8C%80%EC%9A%B0_%EB%A0%88%EC%8A%A4%ED%83%80 자일대우 레스타]〉,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C%9E%90%EC%9D%BC%EB%8C%80%EC%9A%B0_%EB%A0%88%EC%8A%A4%ED%83%80 자일대우 레스타]〉, 《위키백과》
 
*최동훈 기자, 〈[http://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394247 (상용차 리그) 레스타, 튜닝 활성화로 ‘캠핑카’ 각광]〉, 《이코노믹리뷰》, 2020-04-25
 
*최동훈 기자, 〈[http://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394247 (상용차 리그) 레스타, 튜닝 활성화로 ‘캠핑카’ 각광]〉, 《이코노믹리뷰》, 2020-04-25
 
*최정희 기자, 〈[http://www.autoherald.co.kr/news/articleView.html?idxno=18455 대형 승합ㆍ화물차, 차로이탈경고장치 등 장착 의무화]〉, 《오토헤럴드》, 2016-04-04
 
*최정희 기자, 〈[http://www.autoherald.co.kr/news/articleView.html?idxno=18455 대형 승합ㆍ화물차, 차로이탈경고장치 등 장착 의무화]〉, 《오토헤럴드》, 2016-04-04
 
*더드라이브,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10106499&memberNo=32938868&searchKeyword=%EB%8C%80%ED%98%95%EC%8A%B9%ED%95%A9%EC%B0%A8&searchRank=11 '대형차 졸음사고 예방' 승합차·화물차 AEBS·LDWS 의무 설치]〉, 《네이버 포스트》, 2017-10-19
 
*더드라이브,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10106499&memberNo=32938868&searchKeyword=%EB%8C%80%ED%98%95%EC%8A%B9%ED%95%A9%EC%B0%A8&searchRank=11 '대형차 졸음사고 예방' 승합차·화물차 AEBS·LDWS 의무 설치]〉, 《네이버 포스트》, 2017-10-19
 +
*〈[https://namu.wiki/w/%EC%A7%80%EC%A0%95%EC%B0%A8%EB%A1%9C%EC%A0%9C 지정차로제]〉, 《나무위키》
 
*〈[https://ko.wikipedia.org/wiki/%ED%98%84%EB%8C%80_%EC%9C%A0%EB%8B%88%EB%B2%84%EC%8A%A4 현대 유니버스]〉,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D%98%84%EB%8C%80_%EC%9C%A0%EB%8B%88%EB%B2%84%EC%8A%A4 현대 유니버스]〉, 《위키백과》
 
*모토야편집부, 〈[https://www.motoya.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500 현대차, 더 커진 최고급형 유니버스 공개]〉, 《모토야》, 2019-01-22
 
*모토야편집부, 〈[https://www.motoya.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500 현대차, 더 커진 최고급형 유니버스 공개]〉, 《모토야》, 2019-01-22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