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엠비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지엠비 로고.png|썸네일|200픽셀|'''지엠비'''(GMB)]]
+
[[파일:지엠비 로고.png|썸네일|200픽셀|'''지엠비'''(GMB) 로고]]
[[파일:지엠비 글자.png|썸네일|300픽셀|'''지엠비'''(GMB)]]
+
[[파일:지엠비 글자.png|썸네일|300픽셀|'''지엠비'''(GMB) 로고와 글자]]
  
'''지엠비'''(GMB)는 [[마스터코인]]과 [[브랜치코인]]의 이중화 구조를 가진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 플랫폼이다. GMB는 Gold Master & Branch의 약자로 [[마스터코인 (지엠비)|마스터코인]]과 [[브랜치코인]]이라는 이중화 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마스터코인은 지엠비 플랫폼 안에서 기축통화로 사용되고 브랜치 코인은 법정화폐인 각 국가의 현금과 같이 사용되는 [[암호화폐]]이다. 이를 통해 지엠비는 실생활에서도 사용 가능한 암호화폐 개발을 목표로 한다.
+
'''지엠비'''(GMB)는 마스터코인과 브랜치코인의 이중화 구조를 가진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 플랫폼이다. GMB는 Gold Master & Branch의 약자로 [[마스터코인]]과 [[브랜치코인]]이라는 이중화 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마스터코인은 지엠비 플랫폼 안에서 기축통화로 사용되고 브랜치 코인은 법정화폐인 각 국가의 현금과 같이 사용되는 [[암호화폐]]이다. 이를 통해 지엠비는 실생활에서도 사용 가능한 암호화폐 개발을 목표로 한다.
  
 
==개요==
 
==개요==
12번째 줄: 12번째 줄:
 
기존 암호화폐들은 가치의 등락이 너무 심하여 화폐로 사용할 수 없으며 [[트랜잭션]] 처리 속도의 문제로 실시간 사용이 어렵고 온라인이라는 제한적 환경에서만 주로 사용된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등 기존 [[암호화폐]]는 초당 트랜잭션 처리 속도가 높지 않아 이용자 수가 증가하면 증가할수록 트랜잭션에 대한 과부하 문제가 발생한다. 지엠비는 물리적 처리 환경을 근본적으로 개선함으로써 기존 암호화폐의 가장 근본적인 문제인 트랜잭션 처리 속도의 문제를 해결하였다. 현재 지엠비의 [[블록]] 생성 시간은 5초, 트랜잭션 처리 속도는 100만 [[TPS]]를 목표로 하고 있다.<ref>Not Found, 〈[https://blog.naver.com/sidsid96/221371034123 코인 IEO ICO 라토큰 아이닥스에서 GMB를 만나다]〉, 《네이버 블로그》, 2018-10-04</ref>
 
기존 암호화폐들은 가치의 등락이 너무 심하여 화폐로 사용할 수 없으며 [[트랜잭션]] 처리 속도의 문제로 실시간 사용이 어렵고 온라인이라는 제한적 환경에서만 주로 사용된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등 기존 [[암호화폐]]는 초당 트랜잭션 처리 속도가 높지 않아 이용자 수가 증가하면 증가할수록 트랜잭션에 대한 과부하 문제가 발생한다. 지엠비는 물리적 처리 환경을 근본적으로 개선함으로써 기존 암호화폐의 가장 근본적인 문제인 트랜잭션 처리 속도의 문제를 해결하였다. 현재 지엠비의 [[블록]] 생성 시간은 5초, 트랜잭션 처리 속도는 100만 [[TPS]]를 목표로 하고 있다.<ref>Not Found, 〈[https://blog.naver.com/sidsid96/221371034123 코인 IEO ICO 라토큰 아이닥스에서 GMB를 만나다]〉, 《네이버 블로그》, 2018-10-04</ref>
  
암호화폐의 가격 변동성은 암호화폐가 가지고 있는 가치 부여 기능이라고 할 수 있지만, 암호화폐가 실제 화폐로 쓰일 수 없다는 단적인 예이기도 하다. 지엠비 코인은 기존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지엠비 플랫폼의 가치 증명으로 거래되는 [[마스터코인 (지엠비)|마스터코인]]과 각국에서 사용되는 가격 고정형 암호화폐인 [[브랜치코인]]을 개발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
암호화폐의 가격 변동성은 암호화폐가 가지고 있는 가치 부여 기능이라고 할 수 있지만, 암호화폐가 실제 화폐로 쓰일 수 없다는 단적인 예이기도 하다. 지엠비 코인은 기존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지엠비 플랫폼의 가치 증명으로 거래되는 [[마스터코인]]과 각국에서 사용되는 가격 고정형 암호화폐인 [[브랜치코인]]을 개발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암호화폐는 여러 가지 대내외적 요인에 의하여 사용이나 발전에 저항을 받고 있다. 이에 대해 브랜치 코인을 활용한 사회공헌 활동과의 연계, 각국 화폐와의 연계, 저개발국에 대한 지원, 실생활에서의 편리하고 안전한 암호화폐의 사용 등을 통해 암호화폐에 대한 저항을 줄이고 암호화폐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여 암호화폐 발전에 기여하는 사용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자 한다.
 
암호화폐는 여러 가지 대내외적 요인에 의하여 사용이나 발전에 저항을 받고 있다. 이에 대해 브랜치 코인을 활용한 사회공헌 활동과의 연계, 각국 화폐와의 연계, 저개발국에 대한 지원, 실생활에서의 편리하고 안전한 암호화폐의 사용 등을 통해 암호화폐에 대한 저항을 줄이고 암호화폐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여 암호화폐 발전에 기여하는 사용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자 한다.
  
 
==주요 인물==
 
==주요 인물==
{{이미지|정렬=가운데
+
* 제퍼슨 킴 : [[제퍼슨 킴]](Jefferson Kim)지엠비의 창시자이자 최고경영자이다. 경영학을 전공하였고, 재무, 회계, 세무 전문분야에서 근무했다. 중견 기업에서 임원으로 근무하며 전문경영 경험을 축적하였다. 1997년 대한민국 최초로 인터넷 재직자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노동부로부터 인가받아 E-러닝 서비스, ARS 영어 교육 서비스를 실시하였다. 이후 [[웹서비스]] 개발 및 [[호스팅]], 정보 제공 서비스, 전자 상거래, [[데이터]] 서비스 사업을 추진하였으며 2011년 온라인 회원제 서비스 개발과 운영 사업을 진행하였다. 2013년부터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에 관심을 갖고 연구를 시작하여 [[암호화폐]] 개발, [[거래소]], [[채굴]] 사업 등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였으며 2018년 암호화폐 관련 저서를 공저로 출간하였다. 이비즈니스와 경영, 암호화폐 관련 사업 경험을 바탕으로 2016년 지엠비의 모델을 정립하고 블록체진 사업을 추진하였으며 지엠비의 운영 및 개발팀을 구성하여 현재 지엠비의 대표직을 맡고 있다.<ref name="팀">GMB 공식 홈페이지 - https://gmbplatform.io/</ref>
|김동성.jpg|'''[[김동성]]'''(Jefferson Kim) 대표이사(CEO)
 
<!--|이종한.jpg|'''[[이종한]]''' 공동창업자-->
 
|김성기.jpg|'''[[김성기]]''' 기술이사(CTO)
 
}}
 
* '''[[김동성]]'''(Jefferson Kim) : 지엠비의 창시자이자 최고경영자이다. 경영학을 전공하였고, 재무, 회계, 세무 전문분야에서 근무했다. 중견 기업에서 임원으로 근무하며 전문경영 경험을 축적하였다. 1997년 대한민국 최초로 인터넷 재직자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노동부로부터 인가받아 E-러닝 서비스, ARS 영어 교육 서비스를 실시하였다. 이후 [[웹서비스]] 개발 및 [[호스팅]], 정보 제공 서비스, 전자 상거래, [[데이터]] 서비스 사업을 추진하였으며 2011년 온라인 회원제 서비스 개발과 운영 사업을 진행하였다. 2013년부터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에 관심을 갖고 연구를 시작하여 [[암호화폐]] 개발, [[거래소]], [[채굴]] 사업 등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였으며 2018년 암호화폐 관련 저서를 공저로 출간하였다. 이비즈니스와 경영, 암호화폐 관련 사업 경험을 바탕으로 2016년 지엠비의 모델을 정립하고 블록체진 사업을 추진하였으며 지엠비의 운영 및 개발팀을 구성하여 현재 지엠비의 대표직을 맡고 있다.<ref name="팀">GMB 공식 홈페이지 - https://gmbplatform.io/</ref>
 
  
* '''[[김성기]]''' : 지엠비의 최고기술책임자(CTO)이다. [[시스템]], [[커널]], [[네트워크 프로토콜]], [[시스템 디버거]], [[디바이스 드라이버]] 등 저수준의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기술 분야에 17년의 경력을 갖추고 있다. 한국 최초의 [[리눅스]] 인터넷 뱅킹, 한국 최초의 [[안드로이드]] 내비게이션 BSP 포팅, 임베디드 부팅 로더와 커널을 개발,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버, 네트워크 IM 드라이버, TDI, USB, PCI MINIPORT 드라이버 개발 등의 기술 경력을 갖고 있으며, 탁월한 경험과 기술을 갖추고 있다. 기술과 사업성에 적절한 결합을 통하여 현실적 적응성이 높은 기술 개발을 통한 비즈니스의 가치를 공유하고 협력하기를 원하는 기술자로서 다양하고 초월적인 경험을 통하여 블록체인 비즈니스의 경제성 높은 모형을 개발하고 연구하였고 이를 사업성 있게 팀 주도적 R&D를 해왔다. 현재 지엠비 블록체인의 [[메인넷]]의 핵심 [[알고리즘]]과 [[P2P]] 구조화 프로그래밍을 통하여 현실성이 높은 블록체인과 에코시스템 모델을 구현하고 있다.<ref name="팀"></ref> 김성기는 [[모파스]](MoFAS)의 기술이사(CTO)를 맡기도 하였다.
+
* 이종한 : [[이종한]]지엠비의 공동 창시자이며 [[우리투자증권]] IB팀, [[동방페레그린증권]] M&A 팀 경력을 포함하여 [[서울이동통신]], [[KCL법무법인]], [[현대정보기술]], [[중앙디자인]], [[피앤텔]] 등 유수 코스닥법인에서 임원으로서 회사 경영을 하였다. 강의경력으로는 [[경찰수사연수소]], [[중소기업진흥공단]]있으며 현재는 금융연수원에서 M&A 강의를 하고 있다. 현재 사단법인 한국 M&A 진흥협회 협회장으로서 M&A 및 강의를 진행하고 있다.<ref name="팀"></ref>
  
* '''[[이종한]]''' : 지엠비의 공동 창시자이다. [[우리투자증권]] IB팀, [[동방페레그린증권]] M&A 팀 경력을 포함하여 [[서울이동통신]], [[KCL법무법인]], [[현대정보기술]], [[중앙디자인]], [[피앤텔]] 등 유수 코스닥법인에서 임원으로서 회사 경영을 하였다. 강의경력으로는 [[경찰수사연수소]], [[중소기업진흥공단]]이 있으며 현재는 금융연수원에서 M&A 강의를 하고 있다. 현재 사단법인 한국 M&A 진흥협회 협회장으로서 M&A 및 강의를 진행하고 있다.<ref name="팀"></ref>
+
* 김성기 : [[김성기]]지엠비의 최고기술경영자로서 [[시스템]], [[커널]], [[네트워크 프로토콜]], [[시스템 디버거]], [[디바이스 드라이버]] 등 저수준의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기술 분야에 17년의 경력을 갖추고 있으며 국내 최초의 [[리눅스]] 인터넷 뱅킹, 국내 최초의 [[안드로이드]] 네비게이션 BSP 포팅, 임베디드 부팅 로더와 커널을 개발,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버, 네트워크 IM 드라이버, TDI, USB, PCI MINIPORT 드라이버 개발 등의 기술 경력을 갖고 있으며, 탁월한 경험과 기술을 갖추고 있다. 기술과 사업성에 적절한 결합을 통하여 현실적 적응성이 높은 기술 개발을 통한 비즈니스의 가치를 공유하고 협력하기를 원하는 기술자로서 다양하고 초월적인 경험을 통하여 블록체인 비즈니스의 경제성 높은 모형을 개발하고 연구하였고 이를 사업성 있게 팀 주도적 R&D를 해왔다. 현재 지엠비 블록체인의 [[메인넷]]의 핵심 [[알고리즘]][[P2P]] 구조화 프로그래밍을 통하여 현실성이 높은 블록체인과 에코시스템 모델을 구현하고 있다.<ref name="팀"></ref>
  
 
==특징==
 
==특징==
79번째 줄: 74번째 줄:
 
지엠비 플랫폼에서 사용하는 데이터는 [[JSON]] 형식을 따르도록 하였는데 이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언어로 작성된 스마트 계약 역시도 지엠비 플랫폼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일반 사용자가 일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쉽고 간단한 스마트 계약은 객체지향 스마트 계약으로 만들어서 수행하고, 복잡하고 전문적인 스마트 계약은 프로그램 언어에 의해 작성된 일반 스마트 계약으로 수행하게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지엠비 플랫폼은 누구나 쉽게 스마트 계약을 만들어서 블록체인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대중성과 보다 많은, 보다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계약 고유의 기능성을 모두 제공하여 지엠비 생태계를 보다 풍성하게 하고자 한다.<ref>유하데이터, 〈[https://blog.naver.com/huds123/221377461949 코인 ICO 블록체인 기술의 실행활을 여는 GMB]〉, 《네이버 블로그》, 2018-10-14</ref>
 
지엠비 플랫폼에서 사용하는 데이터는 [[JSON]] 형식을 따르도록 하였는데 이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언어로 작성된 스마트 계약 역시도 지엠비 플랫폼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일반 사용자가 일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쉽고 간단한 스마트 계약은 객체지향 스마트 계약으로 만들어서 수행하고, 복잡하고 전문적인 스마트 계약은 프로그램 언어에 의해 작성된 일반 스마트 계약으로 수행하게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지엠비 플랫폼은 누구나 쉽게 스마트 계약을 만들어서 블록체인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대중성과 보다 많은, 보다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계약 고유의 기능성을 모두 제공하여 지엠비 생태계를 보다 풍성하게 하고자 한다.<ref>유하데이터, 〈[https://blog.naver.com/huds123/221377461949 코인 ICO 블록체인 기술의 실행활을 여는 GMB]〉, 《네이버 블로그》, 2018-10-14</ref>
  
 +
==코인==
 
===이중화 코인 시스템===
 
===이중화 코인 시스템===
 
지엠비 플랫폼의 최종 목표는 지엠비 생태계 조성에 있다. 지엠비 생태계는 실생활에서 지엠비 코인이 일반 화폐와 동일하게 사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단순히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끝나는 게 아니고, 지엠비 코인이 가지고 있는 [[암호화폐]]에 대한 새로운 개념에 대해 사회적 이해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지엠비 코인이 구상하고 있는 암호화폐에 대한 새로운 개념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ref>애플시드, 〈[https://blog.naver.com/kkkcw/221360674138 블록체인 암호화폐 GMB]〉, 《네이버 블로그》, 2018-09-17</ref>
 
지엠비 플랫폼의 최종 목표는 지엠비 생태계 조성에 있다. 지엠비 생태계는 실생활에서 지엠비 코인이 일반 화폐와 동일하게 사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단순히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끝나는 게 아니고, 지엠비 코인이 가지고 있는 [[암호화폐]]에 대한 새로운 개념에 대해 사회적 이해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지엠비 코인이 구상하고 있는 암호화폐에 대한 새로운 개념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ref>애플시드, 〈[https://blog.naver.com/kkkcw/221360674138 블록체인 암호화폐 GMB]〉, 《네이버 블로그》, 2018-09-17</ref>
96번째 줄: 92번째 줄:
 
지엠비 플랫폼은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초기의 선채굴에 의한 마스터 코인 20억 개를 브랜치코인을 위한 예비금으로 확보하고, 이를 현금화하거나 가치 보전 담보 등으로 활용함으로써 지엠비 생태계의 원활한 작동을 유지하게 한다. 지엠비 플랫폼이 구현하고자 하는 이중화 코인 시스템은 암호화폐를 실생활에 적용하고자 하는 출발점이자 최종 목표이기도 하다.
 
지엠비 플랫폼은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초기의 선채굴에 의한 마스터 코인 20억 개를 브랜치코인을 위한 예비금으로 확보하고, 이를 현금화하거나 가치 보전 담보 등으로 활용함으로써 지엠비 생태계의 원활한 작동을 유지하게 한다. 지엠비 플랫폼이 구현하고자 하는 이중화 코인 시스템은 암호화폐를 실생활에 적용하고자 하는 출발점이자 최종 목표이기도 하다.
  
==발행 및 분배==
+
===발행 및 분배===
===코인 발행===
+
====코인 발행====
 
지엠비 코인은 지엠비 플랫폼에서 [[블록]]이 생성되면서 발행된다. 지엠비 코인의 단위는 GMB로 표시되며 발행 기간은 향후 100년간 지속된다. 지엠비 코인의 총 발행한도는 100억 개이며, 이 중 [[ICO]] 진행을 위해 50억 개는 선채굴되고 나머지 50억 개는 지엠비 플랫폼이 운영되면서 [[채굴]]된다. 모금에 대한 코인 배분을 위한 선채굴과 지엠비 플랫폼 운영에 따른 본채굴, 모두는 각 비율에 따라 블록 당 채굴량이 줄어드는 반감기를 가진다. 선채굴과 본채굴은 최초 블록이 생성되면서 일정 기간 동안 동시에 진행되는데, 선채굴의 경우 적용된 채굴 반감기에 의해 15일 동안만 유효하게 진행되고 이후부터는 본채굴만 진행된다.
 
지엠비 코인은 지엠비 플랫폼에서 [[블록]]이 생성되면서 발행된다. 지엠비 코인의 단위는 GMB로 표시되며 발행 기간은 향후 100년간 지속된다. 지엠비 코인의 총 발행한도는 100억 개이며, 이 중 [[ICO]] 진행을 위해 50억 개는 선채굴되고 나머지 50억 개는 지엠비 플랫폼이 운영되면서 [[채굴]]된다. 모금에 대한 코인 배분을 위한 선채굴과 지엠비 플랫폼 운영에 따른 본채굴, 모두는 각 비율에 따라 블록 당 채굴량이 줄어드는 반감기를 가진다. 선채굴과 본채굴은 최초 블록이 생성되면서 일정 기간 동안 동시에 진행되는데, 선채굴의 경우 적용된 채굴 반감기에 의해 15일 동안만 유효하게 진행되고 이후부터는 본채굴만 진행된다.
  
 
지엠비 플랫폼에서의 블록 당 코인 발행량은 반감기가 적용된 초당 코인 발행량과 해당 블록이 생성된 시간을 계산하여 결정한다. 이처럼 지엠비 플랫폼에서의 코인 발행량은 일정 시간을 기준으로 항상 같게 유지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시스템이 최적화되어 블록 생성 시간이 빨라져도 최초에 결정된 코인의 발행 기간에 따른 총 코인 발행량은 항상 일정한 값을 유지하게 된다.
 
지엠비 플랫폼에서의 블록 당 코인 발행량은 반감기가 적용된 초당 코인 발행량과 해당 블록이 생성된 시간을 계산하여 결정한다. 이처럼 지엠비 플랫폼에서의 코인 발행량은 일정 시간을 기준으로 항상 같게 유지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시스템이 최적화되어 블록 생성 시간이 빨라져도 최초에 결정된 코인의 발행 기간에 따른 총 코인 발행량은 항상 일정한 값을 유지하게 된다.
  
===코인 배분===
+
====코인 배분====
 
ICO 코인 배분은 선채굴 기간 동안 이루어진 선채굴 코인과 동일 기간에 함께 이루어진 본채굴 코인의 합으로 진행된다. 여기서 선채굴로 얻을 수 있는 정확한 코인의 양은 4,989,945,600개이다. 선채굴은 짧은 기간 동안 많은 양의 코인을 채굴해야 하기 때문에 최초 채굴되는 코인의 양은 많게 하고, 이후 반감기에 따른 발행량 감소 비율을 높게 하여 일정 기간 동안만 채굴하도록 한다.
 
ICO 코인 배분은 선채굴 기간 동안 이루어진 선채굴 코인과 동일 기간에 함께 이루어진 본채굴 코인의 합으로 진행된다. 여기서 선채굴로 얻을 수 있는 정확한 코인의 양은 4,989,945,600개이다. 선채굴은 짧은 기간 동안 많은 양의 코인을 채굴해야 하기 때문에 최초 채굴되는 코인의 양은 많게 하고, 이후 반감기에 따른 발행량 감소 비율을 높게 하여 일정 기간 동안만 채굴하도록 한다.
  
 
선채굴에 있어 최초 시점의 초당 채굴량은 28,880GMB로 하고 이 채굴량은 24시간 동안만 적용되며 이후 채굴량이 줄어드는 반감기에 의해 채굴량은 50%씩 감소된다. 선채굴은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15일 동안 이루어지며 그 이후의 채굴량은 0으로 수렴한다. 선채굴 기간 동안 채굴되는 50억 개의 코인 중 24%인 12억 개는 ICO 참가자들에게 배분되며, 16%인 8억 개는 파운더와 팀, 어드바이저 보상으로 지급되고, 8%인 4억 개는 전략적 파트너사에 배분되며, 12%인 6억개는 예비비로 사용되고, 40%인 20억 개는 브랜치를 위한 예비비로 사용된다.
 
선채굴에 있어 최초 시점의 초당 채굴량은 28,880GMB로 하고 이 채굴량은 24시간 동안만 적용되며 이후 채굴량이 줄어드는 반감기에 의해 채굴량은 50%씩 감소된다. 선채굴은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15일 동안 이루어지며 그 이후의 채굴량은 0으로 수렴한다. 선채굴 기간 동안 채굴되는 50억 개의 코인 중 24%인 12억 개는 ICO 참가자들에게 배분되며, 16%인 8억 개는 파운더와 팀, 어드바이저 보상으로 지급되고, 8%인 4억 개는 전략적 파트너사에 배분되며, 12%인 6억개는 예비비로 사용되고, 40%인 20억 개는 브랜치를 위한 예비비로 사용된다.
  
===채굴 보상===
+
====채굴 보상====
 
지엠비 플랫폼은 시스템을 운영하면서 향후 100년 간 50억 개의 코인을 채굴한다. 이 코인은 [[PoPS]]에 의해 블록이 생성되면서 채굴된다. 본채굴에서의 최초 초당 채굴량은 8GMB이며 반감기는 1년, 반감기에 따른 감소율은 5%로 한다. 이렇게 채굴된 코인은 블록 생성자와 지분 참여자의 보상으로 사용되며 나머지는 지엠비의 미래를 위한 운영 자금으로 배분된다.
 
지엠비 플랫폼은 시스템을 운영하면서 향후 100년 간 50억 개의 코인을 채굴한다. 이 코인은 [[PoPS]]에 의해 블록이 생성되면서 채굴된다. 본채굴에서의 최초 초당 채굴량은 8GMB이며 반감기는 1년, 반감기에 따른 감소율은 5%로 한다. 이렇게 채굴된 코인은 블록 생성자와 지분 참여자의 보상으로 사용되며 나머지는 지엠비의 미래를 위한 운영 자금으로 배분된다.
  
===모금액 사용===
+
====모금액 사용====
 
지엠비 플랫폼 개발을 위한 모금액은 더 발전된 블록체인 기술 개발을 위한 인력 충원과 장비 구입에 사용되며, 이용자에게 더 좋은 서비스와 더 많은 혜택을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ref>영보스, 〈[https://blog.naver.com/jruits/221372222819 GMB코인에 대해 알아보자]〉, 《네이버 블로그》, 2018-10-06</ref> 모금액은 기술 및 비즈니스 서비스 개발, 시스템 운영, 더 많은 사용자 확보를 위한 마케팅 비용, 그리고 약간의 에비비로 사용된다.
 
지엠비 플랫폼 개발을 위한 모금액은 더 발전된 블록체인 기술 개발을 위한 인력 충원과 장비 구입에 사용되며, 이용자에게 더 좋은 서비스와 더 많은 혜택을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ref>영보스, 〈[https://blog.naver.com/jruits/221372222819 GMB코인에 대해 알아보자]〉, 《네이버 블로그》, 2018-10-06</ref> 모금액은 기술 및 비즈니스 서비스 개발, 시스템 운영, 더 많은 사용자 확보를 위한 마케팅 비용, 그리고 약간의 에비비로 사용된다.
  
119번째 줄: 115번째 줄:
 
* 탈중앙화 된 여행 서비스 : 트래블스페이스는 여행에 특화되어 다양한 양질의 콘텐츠를 제공하고 공유함으로써 전 세계 어디라도 편하고 안전하게 여행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자 한다.
 
* 탈중앙화 된 여행 서비스 : 트래블스페이스는 여행에 특화되어 다양한 양질의 콘텐츠를 제공하고 공유함으로써 전 세계 어디라도 편하고 안전하게 여행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자 한다.
 
* 수익창출 여행 서비스 : 자신의 여행가, 사진, 그림, 만화, 뉴스 등 여행에 대한 다양한 기록을 등록하고 이를 통해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ref>인디고차일드, 〈[https://blog.naver.com/twilight525/221350877134 GMB코인 ICO, 여행 비서? 외국 갈 때 환전 필요 없다고?]〉, 《네이버 블로그》, 2018-09-02</ref> 특정 여행 지역을 먼저 경험한 여행자의 콘텐츠는 그 지역을 여행하고자 하는 다른 사람에게 매우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그 자체로 충분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ref>장준영기자, 〈[http://leaders.asiae.co.kr/news/articleView.html?idxno=76424 골든블로코의 GMB 코인, 대형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아이닥스(IDAX) 에 신규 상장 확정]〉, 《일간리더스경제신문》, 2018-10-04</ref> 때문에 이러한 콘텐츠는 평가를 통패 보상을 해주어야 하며, 이러한 보상 제도를 통해 더 좋은, 더 많은 콘텐츠가 등록되도록 하여 점점 더 다양하고 질 좋은 여행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콘텐츠 공유는 단지 수익 창출이라는 요소만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여행을 통한 색다른 재미와 자신의 여행 기록을 남길 수 있다는 또 다른 의미를 갖게 된다.
 
* 수익창출 여행 서비스 : 자신의 여행가, 사진, 그림, 만화, 뉴스 등 여행에 대한 다양한 기록을 등록하고 이를 통해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ref>인디고차일드, 〈[https://blog.naver.com/twilight525/221350877134 GMB코인 ICO, 여행 비서? 외국 갈 때 환전 필요 없다고?]〉, 《네이버 블로그》, 2018-09-02</ref> 특정 여행 지역을 먼저 경험한 여행자의 콘텐츠는 그 지역을 여행하고자 하는 다른 사람에게 매우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그 자체로 충분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ref>장준영기자, 〈[http://leaders.asiae.co.kr/news/articleView.html?idxno=76424 골든블로코의 GMB 코인, 대형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아이닥스(IDAX) 에 신규 상장 확정]〉, 《일간리더스경제신문》, 2018-10-04</ref> 때문에 이러한 콘텐츠는 평가를 통패 보상을 해주어야 하며, 이러한 보상 제도를 통해 더 좋은, 더 많은 콘텐츠가 등록되도록 하여 점점 더 다양하고 질 좋은 여행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콘텐츠 공유는 단지 수익 창출이라는 요소만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여행을 통한 색다른 재미와 자신의 여행 기록을 남길 수 있다는 또 다른 의미를 갖게 된다.
* 환전 시스템 : 해외여행 시 필수적으로 하게 되는 환전을 은행이나 환전소를 거치지 않고 지엠비 [[덱스]]를 통해 [[마스터코인 (지엠비)|마스터코인]]에서 [[브랜치코인]]으로 교환하여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ref>아쑈연구, 〈[https://blog.naver.com/rlagksks/221371210516 유망 ICO 상장확정 GMB 코인 플랫폼이 대세!]〉, 《네이버 블로그》, 2018-10-04</ref> 브랜치 코인간의 교환도 가능하며 국가별 브랜치 코인은 해당 지역에서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으므로 편리함뿐만 아니라 여행 시 발생하는 카드 분실, 현금 사용의 위험 등을 줄이는 효과도 있다.<ref>조남욱기자, 〈[http://www.dailygrid.net/news/articleView.html?idxno=98977 골든블로코의 GMB 코인,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라토큰(LATOKEN)에 IEO 및 신규 상장 확정]〉, 《데일리그리드》, 2018-10-08</ref>
+
* 간편하고 빠른 환전 시스템 : 해외여행 시 필수적으로 하게 되는 환전을 은행이나 환전소를 거치지 않고 지엠비 [[덱스]]를 통해 [[마스터코인]]에서 [[브랜치코인]]으로 교환하여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ref>아쑈연구, 〈[https://blog.naver.com/rlagksks/221371210516 유망 ICO 상장확정 GMB 코인 플랫폼이 대세!]〉, 《네이버 블로그》, 2018-10-04</ref> 브랜치 코인간의 교환도 가능하며 국가별 브랜치 코인은 해당 지역에서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으므로 편리함뿐만 아니라 여행 시 발생하는 카드 분실, 현금 사용의 위험 등을 줄이는 효과도 있다.<ref>조남욱기자, 〈[http://www.dailygrid.net/news/articleView.html?idxno=98977 골든블로코의 GMB 코인,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라토큰(LATOKEN)에 IEO 및 신규 상장 확정]〉, 《데일리그리드》, 2018-10-08</ref>
* 숙박 공유 시스템 : 현지인의 주거 공간을 직접 이용할 수 있는 숙박 공유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행에서 현지인의 주거 공간을 이용한다는 것은 비용을 절감한다는 측면도 있지만 현지 문화를 직접 체험한다는 의미에서 매우 훌륭한 아이템이라고 할 수 있다.<ref>GMB, 〈[https://blog.naver.com/gmbplatform/221440949161 GMB 플랫폼이 1월 11일 BW.co, &DigiFinex에 동시 상장이 되었습니다]〉, 《네이버 블로그》, 2018-01-13</ref> 하지만 여행에 있어 불편하고 위험스러운 숙박은 여행의 즐거운 경험을 망칠 수도 있는 민감한 문제이다. 트래블스페이스는 숙박 공유 시스템을 통해 여행자에게 편안하고 안전한 공간을 제공해준다.
+
*숙박 공유 시스템 : 현지인의 주거 공간을 직접 이용할 수 있는 숙박 공유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행에서 현지인의 주거 공간을 이용한다는 것은 비용을 절감한다는 측면도 있지만 현지 문화를 직접 체험한다는 의미에서 매우 훌륭한 아이템이라고 할 수 있다.<ref>GMB, 〈[https://blog.naver.com/gmbplatform/221440949161 GMB 플랫폼이 1월 11일 BW.co, &DigiFinex에 동시 상장이 되었습니다]〉, 《네이버 블로그》, 2018-01-13</ref> 하지만 여행에 있어 불편하고 위험스러운 숙박은 여행의 즐거운 경험을 망칠 수도 있는 민감한 문제이다. 트래블스페이스는 숙박 공유 시스템을 통해 여행자에게 편안하고 안전한 공간을 제공해준다.
* 지엠비 맵 : 지엠비 유저들이 업데이트한 현지의 다양한 지역 정보를 토대로 나만의 여행 스케줄 짜기를 가능하도록 한다.<ref>조남욱기자, 〈[http://www.dailygrid.net/news/articleView.html?idxno=108887 골든블로코의 GMB 코인, 싱가포르 대형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디지피넥스(DigiFinex)에 상장 확정
+
*지엠비 맵 : 지엠비 유저들이 업데이트한 현지의 다양한 지역 정보를 토대로 나만의 여행 스케줄 짜기를 가능하도록 한다.<ref>조남욱기자, 〈[http://www.dailygrid.net/news/articleView.html?idxno=108887 골든블로코의 GMB 코인, 싱가포르 대형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디지파이넥스(DigiFinex)에 상장 확정
 
]〉, 《데일리그리드》, 2018-11-26</ref> 잘 알려진 관광명소 외에도 잘 알려지지 않은 숨은 명소를 공유하며 지엠비 맵의 로드를 개척한다. 이렇게 개척된 장소는 보상 시스템을 통해 더 많이 알려질 수 있도록 하여 여행자들에게 더욱 풍부한 정보를 제공한다.<ref>잇쿰, 〈[https://blog.naver.com/jacal64/221397423398 유망 ICO에 대하여]〉, 《네이버 블로그》, 2018-11-13</ref>
 
]〉, 《데일리그리드》, 2018-11-26</ref> 잘 알려진 관광명소 외에도 잘 알려지지 않은 숨은 명소를 공유하며 지엠비 맵의 로드를 개척한다. 이렇게 개척된 장소는 보상 시스템을 통해 더 많이 알려질 수 있도록 하여 여행자들에게 더욱 풍부한 정보를 제공한다.<ref>잇쿰, 〈[https://blog.naver.com/jacal64/221397423398 유망 ICO에 대하여]〉, 《네이버 블로그》, 2018-11-13</ref>
 
* 단순함과 편리함 : 트래블스페이스는 여행자의 즐거움과 재미를 더해주는 것이 제일 큰 목적이기 때문에 더 단순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트래블스페이스는 여행을 함께하는 가이드이고 동반자이며 여행 그 자체가 될 수 있도록 한다.<ref>조남욱기자, 〈[http://www.dailygrid.net/news/articleView.html?idxno=101393 골든블로코의 “GMB”, 전세계 18개국 이상의 현지 여행사들과 전략적 제휴 및 업무협약 체결]〉, 《데일리그리드》, 2018-10-19</ref>
 
* 단순함과 편리함 : 트래블스페이스는 여행자의 즐거움과 재미를 더해주는 것이 제일 큰 목적이기 때문에 더 단순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트래블스페이스는 여행을 함께하는 가이드이고 동반자이며 여행 그 자체가 될 수 있도록 한다.<ref>조남욱기자, 〈[http://www.dailygrid.net/news/articleView.html?idxno=101393 골든블로코의 “GMB”, 전세계 18개국 이상의 현지 여행사들과 전략적 제휴 및 업무협약 체결]〉, 《데일리그리드》, 2018-10-19</ref>
141번째 줄: 137번째 줄: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김동성]]
+
* [[제퍼슨 김]]
 
* [[이종한]]
 
* [[이종한]]
 
* [[김성기]]
 
* [[김성기]]
148번째 줄: 144번째 줄:
 
* [[인디 윤]]
 
* [[인디 윤]]
  
{{암호화폐 종류|검토 필요}}
+
{{암호화폐 종류|토막글}}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