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먼섬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1번째 줄: 21번째 줄:
 
제2차 대만해협 위기(영어: Second Taiwan Strait Crisis) 또는 진먼 포격전(영어: 1958 Taiwan Strait Crisis)은 1958년 8월 23일부터 10월 5일까지 진먼섬에 주둔하고 있던 중화민국 국군에 대해 중국 인민해방군이 포격을 가한 전투이다.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진먼포전 (중국어 간체자: 金门砲战), 중화민국에서는 8.23포전 (중국어 정체자: 八二三砲戰)이라고도 부른다. 중국 인민해방군은 8월 23일부터 10월 5일까지 47만발에 달하는 포탄을 퍼부었으나, 중화민국 육군 진먼방위사령부(金門防衛指揮部) 사령관이었던 후리엔(胡璉)은 미국 해군의 해상수송 지원을 받으며 진먼 섬을 사수하고 8인치 유탄포로 샤먼의 중국 인민해방군에 반격을 가했다. 그 후, 공격의 횟수가 점차 줄어들다가 1979년 1월 1일 미·중 국교 정상화 이후 포격전이 멈췄다. 1958년 8월 23일 오후 6시, 중국 인민해방군은 다진먼 섬, 샤오진먼 섬에 대해 맹렬한 포격을 개시했다. 전투개시 2시간 만에 4만 발, 하루 만에 5만 7천 발의 포탄이 사용되었다. 중국 인민해방군은 중화민국 국군의 중앙지휘소, 관측소, 교통기관과 포병진지를 목표로 공격하여 중화민국 측에서는 440여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이때 진먼방위사령부의 부사령 지싱원(吉星文), 자오지아샹(趙家驤), 장지에(章傑)가 전사하였고, 참모장 류밍쿠이(劉明奎)와 진먼 시찰 중이던 국방부장 위다웨이(兪大維)는 부상을 당했다. 미국의 덜레스 국무장관은 중화인민공화국에 '진마 지구를 탈취하는 것은 평화에 대한 위협'이라고 경고하였다. 10월 5일, 중화인민공화국 국방부장 펑더화이(彭德怀)는 '진먼 섬에 대한 포격을 7일간 중지한다'고 발표하였고, 10월 13일에는 다시 2주간의 공격중지를 발표, 적극적인 공격을 멈췄고 포격전은 소강국면으로 전환되었다. 10월 28일, 중화인민공화국 측은 '하루씩 걸러 포격한다'고 발표하였고 포격은 차츰 줄어들어 갔다. 최종적으로 전투가 중지된 것은 1979년 1월 1일 미ㆍ중 국교수립에 의해서였다. 국교수립 당시 중화인민공화국 국방부장 쉬샹첸(徐向前)은 대ㆍ소 진먼도 등의 도서에 대한 포격전 중지 성명(停止砲撃大・小金门等岛屿的声明)을 발표하여 20년에 걸친 포격전은 마침내 멈추게 되었다. 진먼 포격전에는 47만 발이 넘는 포탄이 사용되어, 전사(戰史)상 최고의 착탄밀도(著彈密度)가 기록되었다. 포격에 사용된 포탄의 탄신(彈身)에는 매우 단단한 경금속(硬金屬)이 사용되었고, 진먼섬의 주민들은 포탄을 재활용하여 식칼을 만들게 되어 현재까지도 진먼을 대표하는 특산품이 되어 있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C%A7%84%EB%A8%BC_%ED%8F%AC%EA%B2%A9%EC%A0%84 진먼 포격전]〉, 《위키백과》</ref>
 
제2차 대만해협 위기(영어: Second Taiwan Strait Crisis) 또는 진먼 포격전(영어: 1958 Taiwan Strait Crisis)은 1958년 8월 23일부터 10월 5일까지 진먼섬에 주둔하고 있던 중화민국 국군에 대해 중국 인민해방군이 포격을 가한 전투이다.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진먼포전 (중국어 간체자: 金门砲战), 중화민국에서는 8.23포전 (중국어 정체자: 八二三砲戰)이라고도 부른다. 중국 인민해방군은 8월 23일부터 10월 5일까지 47만발에 달하는 포탄을 퍼부었으나, 중화민국 육군 진먼방위사령부(金門防衛指揮部) 사령관이었던 후리엔(胡璉)은 미국 해군의 해상수송 지원을 받으며 진먼 섬을 사수하고 8인치 유탄포로 샤먼의 중국 인민해방군에 반격을 가했다. 그 후, 공격의 횟수가 점차 줄어들다가 1979년 1월 1일 미·중 국교 정상화 이후 포격전이 멈췄다. 1958년 8월 23일 오후 6시, 중국 인민해방군은 다진먼 섬, 샤오진먼 섬에 대해 맹렬한 포격을 개시했다. 전투개시 2시간 만에 4만 발, 하루 만에 5만 7천 발의 포탄이 사용되었다. 중국 인민해방군은 중화민국 국군의 중앙지휘소, 관측소, 교통기관과 포병진지를 목표로 공격하여 중화민국 측에서는 440여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이때 진먼방위사령부의 부사령 지싱원(吉星文), 자오지아샹(趙家驤), 장지에(章傑)가 전사하였고, 참모장 류밍쿠이(劉明奎)와 진먼 시찰 중이던 국방부장 위다웨이(兪大維)는 부상을 당했다. 미국의 덜레스 국무장관은 중화인민공화국에 '진마 지구를 탈취하는 것은 평화에 대한 위협'이라고 경고하였다. 10월 5일, 중화인민공화국 국방부장 펑더화이(彭德怀)는 '진먼 섬에 대한 포격을 7일간 중지한다'고 발표하였고, 10월 13일에는 다시 2주간의 공격중지를 발표, 적극적인 공격을 멈췄고 포격전은 소강국면으로 전환되었다. 10월 28일, 중화인민공화국 측은 '하루씩 걸러 포격한다'고 발표하였고 포격은 차츰 줄어들어 갔다. 최종적으로 전투가 중지된 것은 1979년 1월 1일 미ㆍ중 국교수립에 의해서였다. 국교수립 당시 중화인민공화국 국방부장 쉬샹첸(徐向前)은 대ㆍ소 진먼도 등의 도서에 대한 포격전 중지 성명(停止砲撃大・小金门等岛屿的声明)을 발표하여 20년에 걸친 포격전은 마침내 멈추게 되었다. 진먼 포격전에는 47만 발이 넘는 포탄이 사용되어, 전사(戰史)상 최고의 착탄밀도(著彈密度)가 기록되었다. 포격에 사용된 포탄의 탄신(彈身)에는 매우 단단한 경금속(硬金屬)이 사용되었고, 진먼섬의 주민들은 포탄을 재활용하여 식칼을 만들게 되어 현재까지도 진먼을 대표하는 특산품이 되어 있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C%A7%84%EB%A8%BC_%ED%8F%AC%EA%B2%A9%EC%A0%84 진먼 포격전]〉, 《위키백과》</ref>
  
== 지도 ==
+
==지도==
{{진먼섬 행정 지도|800}}
 
{{지도|진먼섬}}
 
 
{{다단2
 
{{다단2
|{{샤먼만 국가 지도}}
+
|{{대만 행정 지도}}
 
|{{대만해협 국가 지도}}
 
|{{대만해협 국가 지도}}
 
}}
 
}}
 
{{다단2
 
{{다단2
|{{대만 행정 지도}}
+
|{{중국 행정 지도}}
 
|{{남중국해 국가 지도}}
 
|{{남중국해 국가 지도}}
 
}}
 
}}
 +
{{지도|진먼섬}}
  
 
==동영상==
 
==동영상==

위키원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위키원: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