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동기어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7번째 줄: 17번째 줄:
 
차동기어의 단점은 양쪽 [[바퀴]]의 마찰력의 차이가 극단적일 경우 운행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눈길이나 늪지대같이 접지력이 상시로 변하는 험로를 간다거나 험로를 운행하다가 차량의 한쪽 바퀴만이 웅덩이나 빙판에 빠졌을 경우, 빠지지 않은 쪽의 바퀴는 가만히 있고 웅덩이나 빙판에 빠진 쪽의 바퀴만 열심히 헛바퀴를 돌면서 차량이 출발하지 못하는 것을 보았을 것이다. 웅덩이나 빙판에 빠진 쪽의 바퀴의 마찰력이 작아서 그쪽으로만 [[엔진]]의 구동력이 전달되고 반대쪽의 바퀴에는 구동력이 전혀 전달되지 않아서 험로에서 탈출할 수 없는 것이다. 그리고 구조적인 문제점도 있는데, 엔진과 바퀴 높이의 상관관계이다. 동력원과 바퀴를 베벨기어로 연결하게 되면, 엔진 축과 바퀴의 축이 일직선 위에 놓이게 되어 전고가 높아지게 되며 이로 인해 안정성에 문제가 생긴다. 또한 후륜 자동차의 경우 동력 축이 내부를 가로지르며 불편함을 겪는다.<ref name = "나무">〈[https://namu.wiki/w/%EC%B0%A8%EB%8F%99%20%EA%B8%B0%EC%96%B4 차동 기어]〉, 《나무위키》</ref><ref name = "wbmj">wbmj2020, 〈[https://mj-mechanic-design.tistory.com/2 차동 기어(Differential Gear)]〉, 《티스토리》, 2020-03-07</ref>
 
차동기어의 단점은 양쪽 [[바퀴]]의 마찰력의 차이가 극단적일 경우 운행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눈길이나 늪지대같이 접지력이 상시로 변하는 험로를 간다거나 험로를 운행하다가 차량의 한쪽 바퀴만이 웅덩이나 빙판에 빠졌을 경우, 빠지지 않은 쪽의 바퀴는 가만히 있고 웅덩이나 빙판에 빠진 쪽의 바퀴만 열심히 헛바퀴를 돌면서 차량이 출발하지 못하는 것을 보았을 것이다. 웅덩이나 빙판에 빠진 쪽의 바퀴의 마찰력이 작아서 그쪽으로만 [[엔진]]의 구동력이 전달되고 반대쪽의 바퀴에는 구동력이 전혀 전달되지 않아서 험로에서 탈출할 수 없는 것이다. 그리고 구조적인 문제점도 있는데, 엔진과 바퀴 높이의 상관관계이다. 동력원과 바퀴를 베벨기어로 연결하게 되면, 엔진 축과 바퀴의 축이 일직선 위에 놓이게 되어 전고가 높아지게 되며 이로 인해 안정성에 문제가 생긴다. 또한 후륜 자동차의 경우 동력 축이 내부를 가로지르며 불편함을 겪는다.<ref name = "나무">〈[https://namu.wiki/w/%EC%B0%A8%EB%8F%99%20%EA%B8%B0%EC%96%B4 차동 기어]〉, 《나무위키》</ref><ref name = "wbmj">wbmj2020, 〈[https://mj-mechanic-design.tistory.com/2 차동 기어(Differential Gear)]〉, 《티스토리》, 2020-03-07</ref>
  
== 단점 보완 ==
+
== 문제 해결 ==
=== 트랙션컨트롤시스템 ===
+
=== 구동력제어시스템 ===
[[트랙션컨트롤시스템]](TCS, Traction Control System)은 가속 상황에서 미끄러지는 상황을 인식해 인위적인 마찰력을 가해 주는 시스템이다. 특히 미끄러운 노면에서 발진 또는 가속, 등반할 때 바퀴가 헛도는 것을 방지하여, 자동차가 길이 방향 축 선상에서 안정을 유지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코너링 안전성이 유지되며, 자동차의 구동축 차륜들이 옆으로 미끄러져 차선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ref>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981812&cid=42331&categoryId=42335 TCS]〉, 《네이버 지식백과》</ref>
+
[[구동력제어시스템]](TCS, Traction Control System)은 가속 상황에서 미끄러지는 상황을 인식해 인위적인 마찰력을 가해 주는 시스템이다. 특히 미끄러운 노면에서 발진 또는 가속, 등반할 때 바퀴가 헛도는 것을 방지하여, 자동차가 길이 방향 축 선상에서 안정을 유지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코너링 안전성이 유지되며, 자동차의 구동축 차륜들이 옆으로 미끄러져 차선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ref>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981812&cid=42331&categoryId=42335 TCS]〉, 《네이버 지식백과》</ref>
  
 
=== 차체 자세 제어장치 ===
 
=== 차체 자세 제어장치 ===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