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축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차축'''(axle)은 [[자동차]]의 [[바퀴]]를 통해 차량의 무게를 지지하고 바퀴에 [[동력]]을 전달하는 장치이다. '''[[액슬]]'''(axle)이라고도 한다. [[베어링]]이나 축받이통으로 고정되어 [[바퀴]]나 [[기어]]가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도와준다. 통상적으로 [[앞차축]], [[뒷차축]]이 있으며 대형 차량의 경우에는 3~4개 장착된다.
+
'''차축'''<!--차축-->(Axle)은 자동차의 바퀴를 통해 차량의 무게를 지지하고 바퀴에 동력을 전달하는 장치이다. 액슬이라고도 한다. 베어링이나 축받이통으로 고정되어 바퀴나 기어가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도와준다. 통상적으로 앞차축, 뒷차축이 있으며 대형 차량의 경우에는 3~4개 장착된다.
  
 
==개요==
 
==개요==
차축은 바퀴를 통해 자동차의 중량을 지지하는 축이며, 구동차축과 유동차축으로 나눈다. 구동차축은 종감속기어에서 전달된 동력을 바퀴로 전달하고 도로면에서 받는 힘을 지지하며 전륜구동 방식의 앞차축, 후륜구동 방식의 뒷차축, 사륜구동 방식의 앞, 뒷차축이 구동차축 등이 구동차축으로 분류된다. 유동차축은 간단한 구조로 자동차의 중량만 지지한다.<ref>63HQ,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rntepdl22&logNo=220288821210#:~:text=%EC%B0%A8%EC%B6%95%EC%9D%80%20%EB%B0%94%ED%80%B4%EB%A5%BC%20%ED%86%B5%ED%95%98%EC%97%AC,%EC%9D%B4%20%EA%B5%AC%EB%8F%99%EC%B0%A8%EC%B6%95%EC%97%90%20%EC%86%8D%ED%95%9C%EB%8B%A4. 자동차 차축]〉, 《네이버 블로그》, 2015-03-03</ref>
+
차축은 바퀴를 통해 자동차의 중량을 지지하는 축이며 구동차축과 유동차축으로 나눈다. 구동차축은 종감속기어에서 전달된 동력을 바퀴로 전달하고 도로면에서 받는 힘을 지지하며 전륜구동 방식의 앞차축, 후륜구동 방식의 뒷차축, 사륜구동 방식의 앞, 뒷차축이 구동차축 등이 구동차축으로 분류된다. 유동차축은 간단한 구조로 자동차의 중량만 지지한다.<ref>63HQ,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rntepdl22&logNo=220288821210#:~:text=%EC%B0%A8%EC%B6%95%EC%9D%80%20%EB%B0%94%ED%80%B4%EB%A5%BC%20%ED%86%B5%ED%95%98%EC%97%AC,%EC%9D%B4%20%EA%B5%AC%EB%8F%99%EC%B0%A8%EC%B6%95%EC%97%90%20%EC%86%8D%ED%95%9C%EB%8B%A4. 자동차 차축]〉, 《네이버 블로그》, 2015-03-03</ref>
  
 
활축 디자인에서 양측의 바퀴는 분리된 반축에 연결되며 현대의 대부분 차들은 대부분 이러한 구조를 가진다. 일부 디자인에서 이는 좌측 또는 우측 바퀴의 독립현가를 허용하며 설사 독립현가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활축은 차동장치를 적용하여 자동차가 선회할 때 좌측바퀴와 우측 바퀴가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하게 한다.  
 
활축 디자인에서 양측의 바퀴는 분리된 반축에 연결되며 현대의 대부분 차들은 대부분 이러한 구조를 가진다. 일부 디자인에서 이는 좌측 또는 우측 바퀴의 독립현가를 허용하며 설사 독립현가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활축은 차동장치를 적용하여 자동차가 선회할 때 좌측바퀴와 우측 바퀴가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하게 한다.  
16번째 줄: 16번째 줄:
  
 
==리프트 액슬==
 
==리프트 액슬==
일부 덤프 트럭과 트레일러에는 리프트 액슬이 적용되어 기계적으로 올리거나 내릴 수 있다. 하중제한을 받는 다리를 통과할 경우에 차축을 내리워 하중 능력을 향상시키고 화물의 중량을 더 많은 바퀴에 배분할 수 있다.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 액슬을 올려 타이어와 액슬의 마모를 줄이고 기타 바퀴들의 견인력을 키울 수 있으며 빡빡한 선회에서 측면 스크러빙(scrubbing)을 완화하여 선회를 순리롭게 할 수 있다.
+
일부 덤프 트럭과 트레일러에는 리프트 액슬이 적용되어 기계적으로 올리거나 내릴 수 있다.  
 
 
일부 자동차 제조사들은 컴퓨터로 제어하는 에어리프트(airlift)를 제공하여 주축이 무게 한도에 도달할 때 자동적으로 고정축을 내리게 한다. 고정축은 필요에 따라 버튼으로 수동 제어를 할 수 있다.
 
 
 
리프트 액슬은 1940년대 초반부터 사용되었으며 기계 장치로 리프트를 추진하다가 얼마 안 지나 유압식으로 기계식을 대체하였다. 리프트가 가능한 탠뎀 구동축은 1957년에 핀란드의 트럭제조사 바나잔 자동차 공장(Vanajan Autotehdas)가 발명하였으며 이 회사의 역사는 Sisu Auto와 같이 이루어진다.
 
 
 
==차축의 종류==
 
;□ 뒷차축
 
[[뒷차축]]은 지지방식에 따라 전부동식(Full-Floating), 반부동식(Semi-Floating), 3/4부동식(Three-Quater Floating) 등 3개 분류로 나뉘며 차축의 하우징에 따라 벤조형, 분할형, 빌드업형으로 나눈다.
 
 
 
;□ 앞차축
 
[[앞차축]]은 차축의 기능에 따라 고정차축과 활축으로 나뉘며 고정차축에는 엘리오트식, 리버스 엘리오트식이 있다.
 
  
 
{{각주}}
 
{{각주}}
37번째 줄: 26번째 줄:
 
* [[앞차축]]
 
* [[앞차축]]
 
* [[뒷차축]]
 
* [[뒷차축]]
 +
* [[액슬]]
  
{{자동차 부품|검토 필요}}
+
{{자동차 부품|토막글}}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