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르빈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2번째 줄: 22번째 줄:
 
== 카르빈 용도 ==
 
== 카르빈 용도 ==
 
[[파일:그물 형태의 카르빈 체인에 수소가 흡착되어 있는 모습 ⓒRice univ..jpg|썸네일|300픽셀|그물 형태의 카르빈 체인에 수소가 흡착되어 있는 모습 ⓒRice univ.]]
 
[[파일:그물 형태의 카르빈 체인에 수소가 흡착되어 있는 모습 ⓒRice univ..jpg|썸네일|300픽셀|그물 형태의 카르빈 체인에 수소가 흡착되어 있는 모습 ⓒRice univ.]]
[[탄소]]는 지금까지 세상에서 가장 강한 물질들을 구성해왔다. 대표적인 물질인 [[다이아몬드]]는 오래 전부터 강도가 높다는 점은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 최근에는 다른 탄소 구조체인 [[그래핀]]이 강도 외에도 전자기적 특성으로 주목을 받아 왔다.
+
탄소는 지금까지 세상에서 가장 강한 물질들을 구성해왔다. 대표적인 물질인 다이아몬드는 오래 전부터 강도가 높다는 점은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 최근에는 다른 탄소 구조체인 그래핀이 강도 외에도 전자기적 특성으로 주목을 받아 왔다.
  
그런데 카르빈은 같은 탄소로 이루어진 물질이면서도 다이아몬드나 그래핀과는 다르게 탄소원자가 교차 [[삼중]]과 [[단일결합]] 또는 연속적 [[이중결합]] 형태로 이어지면서 이들 물질보다 훨씬 더 강한 형태의 체인 모양을 이루고 있다.
+
그런데 카르빈은 같은 탄소로 이루어진 물질이면서도 다이아몬드나 그래핀과는 다르게 탄소원자가 교차 [[삼중]]과 [[단일결합]] 또는 연속적 [[이중 결합]] 형태로 이어지면서 이들 물질보다 훨씬 더 강한 형태의 체인 모양을 이루고 있다.
  
미국 [[라이스 대학교]]의 [[보리스 야콥슨]](Boris Yakobson) 교수와 라이스 대학교에서 박사후 과정을 밟고 있는 [[바실리 아르튜크호프]](Vasilii Artyukhov) 박사 등은 이와 같은 카르빈의 구조 및 물성을 기반으로 본격적인 연구를 시작했다.
+
라이스대의 보리스 야콥슨(Boris Yakobson) 교수와 라이스대에서 박사후 과정을 밟고 있는 바실리 아르튜크호프(Vasilii Artyukhov) 박사 등은 이와 같은 카르빈의 구조 및 물성을 기반으로 본격적인 연구를 시작했다.
  
 
연구를 막 시작했던 무렵을 회상한 아르튜크호프 박사는 "당시 연구진의 목표는 카르빈의 독특한 특성을 완벽히 파악하는 것이었다"며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만 놓고 본다면 카르빈의 특성은 적어도 변형에 안정적이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를 막 시작했던 무렵을 회상한 아르튜크호프 박사는 "당시 연구진의 목표는 카르빈의 독특한 특성을 완벽히 파악하는 것이었다"며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만 놓고 본다면 카르빈의 특성은 적어도 변형에 안정적이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42번째 줄: 42번째 줄:
 
실제적으로 카르빈은 [[무공해]] 차량의 [[에너지원]]으로 여겨지고 있는 [[수소]]를 효율적으로 저장하는 물질로 각광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적으로 카르빈은 [[무공해]] 차량의 [[에너지원]]으로 여겨지고 있는 [[수소]]를 효율적으로 저장하는 물질로 각광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소의 경우 지금까지는 [[그래핀]]이나 [[풀러렌]]과 같은 [[분자]]를 이용하여 많은 저장 연구가 진행됐지만, 물리적인 수착(sorption)을 위해서는 극저온이 요구되기 때문에 이를 차량에 적용하기에는 비실용적인 부분이 많았다.
+
수소의 경우 지금까지는 그래핀이나 [[플러렌]]과 같은 분자를 이용하여 많은 저장 연구가 진행됐지만, 물리적인 수착(sorption)을 위해서는 극저온이 요구되기 때문에 이를 차량에 적용하기에는 비실용적인 부분이 많았다.
  
그러나 카르빈의 경우에는 상온에서도 [[수소]] 저장이 가능하다는 장점 때문에, 그물 구조를 염두에 둔다면 이론적으로 차량의 약 50% 무게에 해당하는 수소를 저장할 수 있다는 것이 연구진의 설명이다.<ref name="사이언스"></ref>
+
그러나 카르빈의 경우에는 상온에서도 수소 저장이 가능하다는 장점 때문에, 그물 구조를 염두에 둔다면 이론적으로 차량의 약 50% 무게에 해당하는 수소를 저장할 수 있다는 것이 연구진의 설명이다.<ref name="사이언스"></ref>
  
 
{{각주}}
 
{{각주}}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10773&cid=60227&categoryId=60227 카르빈]〉, 《화학대사전》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10773&cid=60227&categoryId=60227 카르빈]〉, 《화학대사전》
54번째 줄: 53번째 줄: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그래핀]]
+
* [[그패핀]]
 
* [[탄소나노튜브]]
 
* [[탄소나노튜브]]
 
* [[다이아몬드]]
 
* [[다이아몬드]]
 
* [[흑연]]
 
* [[흑연]]
* [[풀러렌]]
+
* [[플러렌]]
 
* [[삼중결합]]
 
* [[삼중결합]]
 
* [[이중결합]]
 
* [[이중결합]]
64번째 줄: 63번째 줄:
 
* [[에너지저장]]
 
* [[에너지저장]]
  
{{화합물|검토 필요}}
+
{{소재|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