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셰어링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카셰어링'''<!--카 셰어링-->(carsharing, car sharing 또는 car clubs)은 일종의 [[공유경제]] 시스템으로, [[자동차]]를 여러 사람이 [[공유]]하여 여러 [[장소]]에서 필요한 [[시간]]만큼 빌려 사용하는 서비스이다. 일반적인 이용방법은 회원가입 후 차량을 예약하고 자신의 위치와 가까운 무인 거점(차량보관소)에서 차를 빌리며, 사용 후에는 지정된 무인 거점에 [[반납]]하는 방식이다.
+
'''카셰어링'''(carsharing, car sharing 또는 car clubs)은 일종의 [[공유경제]] 시스템으로, [[자동차]]를 여러 사람이 공유하여 여러 지점에서 필요한 시간만큼 빌려 사용하는 제도이다. 일반적인 이용방법은 회원가입 후 차량을 예약하고 자신의 위치와 가까운 무인 거점(차량보관소)에서 차를 빌리며, 사용 후에는 지정된 무인 거점에 반납하는 방식이다.
{{:자동차 배너|월렌트}}
 
  
 
== 개요 ==
 
== 개요 ==
카셰어링이라는 개념은 1948년 [[스위스]] [[취리히]]의 'Sefage(Selbstfahrergemeinschaft)'라는 [[협동조합]]에서 [[비용]]을 [[공동]]으로 [[부담]]하여 공동으로 이용하는 [[자동차]]를 [[구매]]하면서 [[도입]]되었다. 1970~80년대에 [[유럽]]과 [[미국]] 등지에서 활성화되기 시작하였고 1990년대 이후부터 카셰어링 사업을 전문적으로 하는 [[기업]]들이 등장하면서 본격적으로 [[상업화]]되었다. 2000년대에는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과 시장 [[수요]]의 증가로 인해 본격적으로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다.
+
카셰어링이라는 개념은 1948년 스위스 취리히의 'Sefage(Selbstfahrergemeinschaft)'라는 협동조합에서 비용을 공동으로 부담하여 공동으로 이용하는 자동차를 구매하면서 도입되었다. 1970~80년대에 유럽과 미국 등지에서 활성화되기 시작하였고 1990년대 이후부터 카셰어링 사업을 전문적으로 하는 기업들이 등장하면서 본격적으로 상업화되었다. 2000년대에는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과 시장 수요의 증가로 인해 본격적으로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다.
  
 
한국의 경우 2007년 '성미산 자동차 두레', 2008년 '녹색희망 카셰어링' 등 마을 공동체와 지역 사회가 중심이 되어 자생적으로 카셰어링이 추진되었으나, 재정적 어려움과 운영의 어려움으로 서비스가 지속되지 못했다. 2011년 그린카(Greencar)가 최초로 카셰어링 시장을 개척하여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카셰어링 O2O(Online to Offline)서비스를 제공하였다. 대표적인 카셰어링 제공회사로는 쏘카, 그린카, 씨티카 등이 있다.
 
한국의 경우 2007년 '성미산 자동차 두레', 2008년 '녹색희망 카셰어링' 등 마을 공동체와 지역 사회가 중심이 되어 자생적으로 카셰어링이 추진되었으나, 재정적 어려움과 운영의 어려움으로 서비스가 지속되지 못했다. 2011년 그린카(Greencar)가 최초로 카셰어링 시장을 개척하여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카셰어링 O2O(Online to Offline)서비스를 제공하였다. 대표적인 카셰어링 제공회사로는 쏘카, 그린카, 씨티카 등이 있다.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