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리어 이더넷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번째 줄: 2번째 줄:
  
 
==개요==
 
==개요==
이더넷은 원래 산업체나 캠퍼스 등 근거리 영역을 사용하는 랜 프로토콜의 하나로 개발되었다. 이더넷을 사용하는 주된 이유로는 플러그 앤 플레이와 같은 단순함과 적은 설치 비용 및 쉬운 운용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근거리의 제한된 영역에서만 적용되던 토큰링(Token Ring), 토큰버스(Token Bus), 이더넷(Ethernet) 등의 다양한 랜 기술은 성능대비 가격 경쟁력이 우수한 이더넷으로 통일되었고 저가화 됨에 따라, 이더넷은 캠퍼스, 기업은 물론 일반 가정의 홈 네트워킹 및 가전제품, 공장 자동화, 멀티미디어 분야에까지 광범위하게 확산되어 사용되고 있다. 유무선 서비스가 [[TPS]] 및 [[QPS]]를 중심으로 발전함에 따라 [[패킷]] [[트래픽]]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통신 사업자는 기존의 [[오버레이]](overlay) 네트워크를 증설하기 보다는 중거리 통신망([[MAN]]) 및 광역통신망([[WAN]]) 영역에도 이더넷을 사용하여 설치 및 운용비용을 줄일 수 있는 캐리어 이더넷 기술을 도입하는 방향으로 확산 전개되고 있는 양상이다. 캐리어 이더넷은 탄력성, 신뢰성, 확장성 및 관리성 등과 같은 특징들을 중요시 하는 캐리어 네트워크 환경에서도 운용이 가능한 확장된 이더넷 기술이다.<ref>메트로 이더넷 포럼(MEF) 공식 홈페이지 - http://www.mef.net/</ref> 서비스 제공자의 관심사항은 캐리어 이더넷을 통해 제공하는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지, 장애 발생시 얼마나 빨리 이를 감지하고 복구할 수 있는지, 서비스별 또는 사용자별로 제공되는 트래픽 양을 어떻게 제한할 수 있는지 등이 있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 측면에서는 이더넷을 단순히 데이터 전송 기술로서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종단간 서비스 관리 차원에서 적용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핵심 요소로 고려하고 있는 것이다.<ref name="강태규">광네트워크연구팀 강태규 선임연구원, 정태식 책임연구원, 유제훈 팀장, 〈[https://ettrends.etri.re.kr/ettrends/117/0905001459/24-3_078_090.pdf 캐리어 이더넷 기술 및 표준화 동향 - Technology and Standardization Trends of Carrier Ethernet]〉,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9-06</ref>
+
이더넷은 원래 산업체나 캠퍼스 등 근거리 영역을 사용하는 랜 프로토콜의 하나로 개발되었다. 이더넷을 사용하는 주된 이유로는 플러그 앤 플레이와 같은 단순함과 적은 설치 비용 및 쉬운 운용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근거리의 제한된 영역에서만 적용되던 토큰링(Token Ring), 토큰버스(Token Bus), 이더넷(Ethernet) 등의 다양한 랜 기술은 성능대비 가격 경쟁력이 우수한 이더넷으로 통일되었고 저가화 됨에 따라, 이더넷은 캠퍼스, 기업은 물론 일반 가정의 홈 네트워킹 및 가전제품, 공장 자동화, 멀티미디어 분야에까지 광범위하게 확산되어 사용되고 있다. 유무선 서비스가 [[TPS]] 및 [[QPS]]를 중심으로 발전함에 따라 [[패킷]] [[트래픽]]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통신 사업자는 기존의 [[오버레이]](overlay) 네트워크를 증설하기 보다는 중거리 통신망([[MAN]]) 및 광역통신망([[WAN]]) 영역에도 이더넷을 사용하여 설치 및 운용비용을 줄일 수 있는 캐리어 이더넷 기술을 도입하는 방향으로 확산 전개되고 있는 양상이다. 캐리어 이더넷은 탄력성, 신뢰성, 확장성 및 관리성 등과 같은 특징들을 중요시 하는 캐리어 네트워크 환경에서도 운용이 가능한 확장된 이더넷 기술이다.<ref>메트로 이더넷 포럼(MEF) 공식 홈페이지 - http://www.mef.net/</ref> 서비스 제공자의 관심사항은 캐리어 이더넷을 통해 제공하는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지, 장애 발생시 얼마나 빨리 이를 감지하고 복구할 수 있는지, 서비스별 또는 사용자별로 제공되는 트래픽 양을 어떻게 제한할 수 있는지 등이 있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 측면에서는 이더넷을 단순히 데이터 전송 기술로서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종단간 서비스 관리 차원에서 적용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핵심 요소로 고려하고 있는 것이다.
  
캐리어 네트워크는 동기식 광통신망(SONET), 동기식 디지털계위(SDH), 비동기 전송모드(ATM)와 같은 다양한 계층의 전송 프로토콜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들 모두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의 모든 계층에 대한 관리 기능을 제공해야 한다. 그러나 전통적인 이더넷은 이러한 사항을 지원할 수 있는 관리 기능이 없기 때문에 엄격한 서비스 품질을 보장할 수 없었다. 또한 장애 발생에 대한 보호 기능이 매우 미약하여 캐리어급 네트워크에 적용하기에 적당하지 않았기 때문에, 캐리어 이더넷에는 서비스 수준협약(SLA), 관리(OAM) 및 보호절체(Protection) 등과 같은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새로운 기능들이 추가되었다. 전 세계 150여 개의 서비스 사업자들은 이더넷 서비스를 제공중이거나 제공할 계획을 수립하고 있으며, 국제 표준화기구인 IEEE 802, ITU-T 및 민간 포럼인 메트로 이더넷 포럼 등 에서는 관련 산업체들이 주축이 되어 기술 표준화 작업을 계속 진행 중이다.<ref name="강태규"></ref>
+
캐리어 네트워크는 동기식 광통신망(SONET), 동기식 디지털계위(SDH), 비동기 전송모드(ATM)와 같은 다양한 계층의 전송 프로토콜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들 모두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의 모든 계층에 대한 관리 기능을 제공해야 한다. 그러나 전통적인 이더넷은 이러한 사항을 지원할 수 있는 관리 기능이 없기 때문에 엄격한 서비스 품질을 보장할 수 없었다. 또한 장애 발생에 대한 보호 기능이 매우 미약하여 캐리어급 네트워크에 적용하기에 적당하지 않았기 때문에, 캐리어 이더넷에는 서비스 수준협약(SLA), 관리(OAM) 및 보호절체(Protection) 등과 같은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새로운 기능들이 추가되었다. 전 세계 150여 개의 서비스 사업자들은 이더넷 서비스를 제공중이거나 제공할 계획을 수립하고 있으며, 국제 표준화기구인 IEEE 802, ITU-T 및 민간 포럼인 메트로 이더넷 포럼 등 에서는 관련 산업체들이 주축이 되어 기술 표준화 작업을 계속 진행 중이다.
  
 
==역사==
 
==역사==
47번째 줄: 47번째 줄:
  
 
===브리지===
 
===브리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세그먼트가 단일 집선 네트워크에 연결된 경우 브리징이 발생한다. IEEE 802.1d 표준에 따르면, 브리징은 라우팅과 다르다. 즉, 라우팅은 별도로 유지되는 개별 네트워크 간의 트래픽을 연결하고 라우팅하는 반면, 브리징은 하나의 통합된 맥 계층 네트워크를 생성한다. 브리징의 가장 대표적인 예는 이더넷 스위치에서 발생한다. 스위치는 물리적 스위치 포트와 이 포트에 사주하는소스 맥 주소를 학습한 다음 전달하는 테이블에 있는 주소에 따라 트래픽을 전달한다. 스위치가 대상 주소를 인식할 수 없는 경우 데이터는 해당 스위치의 모든 포트로 플러딩된다. 다중 포트 브리징이라는 이 개념이 바로 오늘날 이더넷 네트워크 스위치의 기초이다. 캐리어 이더넷의 가장 중요한 5가지 브리지 개념인 학습, 전달, 필터링, 플러딩 및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은 다음과 같다.
+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세그먼트가 단일 집선 네트워크에 연결된 경우 브리징이 발생한다. IEEE 802.1d 표준에 따르면, 브리징은 라우팅과 다르다. 즉, 라우팅은 별도로 유지되는 개별 네트워크 간의 트래픽을 연결하고 라우팅하는 반면, 브리징은 하나의 통합된 맥 계층 네트워크를 생성한다. 브리징의 가장 대표적인 예는 이더넷 스위치에서 발생한다. 스위치는 물리적 스위치 포트와 이 포트에 사주하는소스 맥 주소를 학습한 다음 전달하는 테이블에 있는 주소에 따라 트래픽을 전달한다. 스위치가 대상 주소를 인식할 수 없는 경우 데이터는 해당 스위치의 모든 포트로 플러딩된다. 다중 포트 브리징이라는 이 개념이 바로 오늘날 이더넷 네트워크 스위치의 기초이다. 이더넷의 가장 중요한 5가지 브리지 개념인 학습, 전달, 필터링, 플러딩 및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은 다음과 같다.
  
 
* '''학습''' : 스위치가 소스 주소 및 각 소스 주소가 발견된 해당 포트 번호를 모니터링할 때 발생한다. 스위치 소프트웨어 내에서 소스 주소/포트 번호 상관 관계가 설정되면 향후 참조를 위해 이 매핑이 전달 테이블(FIB, Forwarding Information Base)에 저장된다. 트래픽이 이 스위치를 통해 이동할 때 특정 주소의 위치가 스위치의 포트 간에 변경되는 경우 스위치는 전달 테이블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한다. 지정된 기간 동안 맥 주소에서 전송되는 패킷이 없는 경우 테이블이 과도하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전달 테이블의 주소 항목이 상실된다.
 
* '''학습''' : 스위치가 소스 주소 및 각 소스 주소가 발견된 해당 포트 번호를 모니터링할 때 발생한다. 스위치 소프트웨어 내에서 소스 주소/포트 번호 상관 관계가 설정되면 향후 참조를 위해 이 매핑이 전달 테이블(FIB, Forwarding Information Base)에 저장된다. 트래픽이 이 스위치를 통해 이동할 때 특정 주소의 위치가 스위치의 포트 간에 변경되는 경우 스위치는 전달 테이블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한다. 지정된 기간 동안 맥 주소에서 전송되는 패킷이 없는 경우 테이블이 과도하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전달 테이블의 주소 항목이 상실된다.
127번째 줄: 127번째 줄:
  
 
==메트로이더넷포럼==
 
==메트로이더넷포럼==
메트로이더넷포럼(MEF, Metro Ethernet Forum)은 주로 기업 랜을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광 기반 대도시 통신 사업자 캐리어 이더넷을 위한 새로운 표준 세트 개발에 대한 네트워킹 산업 공급체들의 요구에 따라 2001년 설립되었다. 메트로이더넷포럼의 활동 범위는 여러 해를 거치면서 초기에 중점에 둔 메트로 네트워크를 넘어 자연적으로 전 세계로 진화했지만 회선 속도가 증가하고 기능이 추가됨에 따라 여전히 캐리어 이더넷 표준을 개발하고 수정하는 데 매우 활발히 참여하고 있다. 또한 메트로이더넷포럼은 표준 준수를 보장하기 위해 캐리어 이더넷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인증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메트로이더넷포럼은 캐리어 이더넷 제품 및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지식과 기술을 확장하려는 네트워킹 전문가들을 위한 인증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메트로이더넷포럼의 사명은 ‘전 세계의 캐리어 등급 이더넷 네트워크 및 서비스 도입을 촉진’하는 것이다. 메트로이더넷포럼은 다음 4개의 상임 위원회에서 감독하는 네 가지 특정 활동 목표를 통해 이러한 사명을 추진한다.
+
메트로이더넷포럼(MEF, Metro Ethernet Forum)은 주로 기업 랜을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광 기반 대도시 통신 사업자 이더넷을 위한 새로운 표준 세트 개발에 대한 네트워킹 산업 공급체들의 요구에 따라 2001년 설립되었다. 메트로이더넷포럼의 활동 범위는 여러 해를 거치면서 초기에 중점에 둔 메트로 네트워크를 넘어 자연적으로 전 세계로 진화했지만 회선 속도가 증가하고 기능이 추가됨에 따라 여전히 이더넷 표준을 개발하고 수정하는 데 매우 활발히 참여하고 있다. 또한 메트로이더넷포럼은 표준 준수를 보장하기 위해 이더넷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인증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메트로이더넷포럼은 이더넷 제품 및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지식과 기술을 확장하려는 네트워킹 전문가들을 위한 인증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메트로이더넷포럼의 사명은 ‘전 세계의 캐리어 등급 이더넷 네트워크 및 서비스 도입을 촉진’하는 것이다. 메트로이더넷포럼은 다음 4개의 상임 위원회에서 감독하는 네 가지 특정 활동 목표를 통해 이러한 사명을 추진한다.
  
* '''기술 위원회''' : 캐리어 이더넷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상호 운용성을 보장하는 구조와 캐리어 이더넷 서비스에 대한 기술 사양 및 구현 프로세스를 개발한다. 메트로이더넷포럼 기술 위원회는 캐리어 이더넷 상호 운용성 및 구현과 관련된 50여 가지의 사양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관리한다. 이러한 사양은 대부분 메트로이더넷포럼의 지속적인 캐리어 이더넷 사양 및 표준 개선의 일부로 두 번째 또는 세 번째 되풀이되고 있는 상태이다.
+
* '''기술 위원회''' : 이더넷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상호 운용성을 보장하는 구조와 이더넷 서비스에 대한 기술 사양 및 구현 프로세스를 개발한다. 메트로이더넷포럼 기술 위원회는 이더넷 상호 운용성 및 구현과 관련된 50여 가지의 사양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관리한다. 이러한 사양은 대부분 메트로이더넷포럼의 지속적인 이더넷 사양 및 표준 개선의 일부로 두 번째 또는 세 번째 되풀이되고 있는 상태이다.
  
* '''인증 위원회''' : 캐리어 이더넷 관련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서비스 및 네트워킹 전문가를 위한 인증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메트로이더넷포럼 인증 위원회는 메트로이더넷포럼 기술 위원회에서 개발한 장비 및 서비스 사양에 따라 캐리어 이더넷 테스트를 관리한다.
+
* '''인증 위원회''' : 이더넷 관련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서비스 및 네트워킹 전문가를 위한 인증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메트로이더넷포럼 인증 위원회는 메트로이더넷포럼 기술 위원회에서 개발한 장비 및 서비스 사양에 따라 이더넷 테스트를 관리한다.
  
* '''서비스 운영 위원회''' : 캐리어 이더넷 서비스 구매, 판매, 전달 및 관리에 대한 표준화된 프로세스를 개발한다. 메트로이더넷포럼 서비스 운영 위원회는 이 중요한 업무를 이행하기 위해 2013년에 구성되었다.
+
* '''서비스 운영 위원회''' : 이더넷 서비스 구매, 판매, 전달 및 관리에 대한 표준화된 프로세스를 개발한다. 메트로이더넷포럼 서비스 운영 위원회는 이 중요한 업무를 이행하기 위해 2013년에 구성되었다.
  
* '''마케팅 위원회''' : 캐리어 이더넷 사용 사례 연구, 마케팅 자료, 오디오 및 비디오 클립, 메트로이더넷포럼의 목표를 명확히 전달하는 백서 등의 개발을 통해 이해 관계자들을 교육하고 메트로이더넷포럼의 인지도를 높인다. 메트로이더넷포럼 마케팅 위원회는 캐리어 이더넷 사양과 메트로이더넷포럼의 활동에 대해 이해 관계자들을 교육하는 캐리어 이더넷 온라인 세미나, 동영상 및 회의를 주관한다.
+
* '''마케팅 위원회''' : 이더넷 사용 사례 연구, 마케팅 자료, 오디오 및 비디오 클립, 메트로이더넷포럼의 목표를 명확히 전달하는 백서 등의 개발을 통해 이해 관계자들을 교육하고 메트로이더넷포럼의 인지도를 높인다. 메트로이더넷포럼 마케팅 위원회는 이더넷 사양과 메트로이더넷포럼의 활동에 대해 이해 관계자들을 교육하는 이더넷 온라인 세미나, 동영상 및 회의를 주관한다.
  
메트로이더넷포럼의 중요한 초기 업적 중 하나는 캐리어 이더넷 서비스 및 특성을 설명할 때 사용되는 어휘를 파악하여 공식화하는 것이었다. 예를 들어 ‘캐리어’ 또는 ‘캐리어 등급’ 이더넷이 정확히 무엇인지 또는 서비스 품질, 안정성 등의 측면에서 제공해야 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많은 정의가 있었다. 메트로이더넷포럼이 정의한 캐리어 이더넷의 다섯 가지 특성은 다음과 같다.
+
메트로이더넷포럼의 중요한 초기 업적 중 하나는 이더넷 서비스 및 특성을 설명할 때 사용되는 어휘를 파악하여 공식화하는 것이었다. 예를 들어 ‘캐리어’ 또는 ‘캐리어 등급’ 이더넷이 정확히 무엇인지 또는 서비스 품질, 안정성 등의 측면에서 제공해야 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많은 정의가 있었다. 메트로이더넷포럼이 정의한 이더넷의 다섯 가지 특성은 다음과 같다.
  
* '''표준화된 서비스''' : 매체와 인프라에 독립적인 표준화된 플랫폼을 통해 지역적 또는 전 세계적으로 제공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메트로이더넷포럼에서는 이러한 서비스로 이더넷-라인(E-Line) 서비스, 이더넷-랜(E-LAN) 서비스, 이더넷-트리(E-Tree) 서비스 등 세 가지 유형의 서비스를 정의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고객의 랜 장비 또는 네트워크를 변경하는 경우는 없어야 하고, TDM 트래픽 또는 시그널링과 같은 기존 네트워크를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표준화된 서비스는 음성, 영상, 데이터가 융합된 네트워크에 적용 가능하고, 고객에게 다양하고 세분화된 대역폭 및 서비스 품질을 제공한다.  
+
* '''표준화된 서비스''' : 매체와 인프라에 독립적인 표준화된 플랫폼을 통해 지역적 또는 전 세계적으로 제공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메트로 이더넷 포럼에서는 이러한 서비스로 이더넷-라인(E-Line) 서비스, 이더넷-랜(E-LAN) 서비스, 이더넷-트리(E-Tree) 서비스 등 세 가지 유형의 서비스를 정의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고객의 랜 장비 또는 네트워크를 변경하는 경우는 없어야 하고, TDM 트래픽 또는 시그널링과 같은 기존 네트워크를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표준화된 서비스는 음성, 영상, 데이터가 융합된 네트워크에 적용 가능하고, 고객에게 다양하고 세분화된 대역폭 및 서비스 품질을 제공한다.  
  
 
* '''확장성''' : 수많은 고객들에게 음성, 영상, 데이터를 포함한 광범위한 비즈니스, 정보통신, 엔터테인먼트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구축된 다양한 물리적 인프라를 통해 액세스 및 메트로 구간부터 국가 또는 전 세계까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1Mbps에서 10Gbps 이상까지 세분화된 대역 증감폭으로 대역폭을 지원한다.  
 
* '''확장성''' : 수많은 고객들에게 음성, 영상, 데이터를 포함한 광범위한 비즈니스, 정보통신, 엔터테인먼트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구축된 다양한 물리적 인프라를 통해 액세스 및 메트로 구간부터 국가 또는 전 세계까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1Mbps에서 10Gbps 이상까지 세분화된 대역 증감폭으로 대역폭을 지원한다.  
147번째 줄: 147번째 줄:
 
* '''서비스 품질''' : 다양하고 세분화된 대역폭과 서비스 품질 옵션을 지원하고, 비즈니스 및 레지덴탈 네트워크상에서 음성, 영상, 데이터에 요구되는 종단간 성능을 전달하는 서비스 수준 협약(service level agreement)을 제공한다. 인정 정보 속도(committed information rate), 프레임 손실, 프레임 지연, 프레임 지연 편차 특성을 기반으로 하는 종단간 성능을 제공하는 서비스 수준 협약을 통해 [[프로비저닝]]을 제공한다.  
 
* '''서비스 품질''' : 다양하고 세분화된 대역폭과 서비스 품질 옵션을 지원하고, 비즈니스 및 레지덴탈 네트워크상에서 음성, 영상, 데이터에 요구되는 종단간 성능을 전달하는 서비스 수준 협약(service level agreement)을 제공한다. 인정 정보 속도(committed information rate), 프레임 손실, 프레임 지연, 프레임 지연 편차 특성을 기반으로 하는 종단간 성능을 제공하는 서비스 수준 협약을 통해 [[프로비저닝]]을 제공한다.  
  
* '''서비스 관리''' : 특정 업체와 무관한 표준 기반의 방식으로 네트워크를 감시하고(monitor), 진단하고(diagnose), 관리하는(manage) 기능을 제공한다. 기존 서비스 제공자 모델과 통합될 수 있는 캐리어급의 OAM 성능을 지원하고, 기존 서비스와 비교할 수 있는 빠른 서비스 프로비저닝을 제공한다.<ref name="강태규"></ref>
+
* '''서비스 관리''' : 특정 업체와 무관한 표준 기반의 방식으로 네트워크를 감시하고(monitor), 진단하고(diagnose), 관리하는(manage) 기능을 제공한다. 기존 서비스 제공자 모델과 통합될 수 있는 캐리어급의 OAM 성능을 지원하고, 기존 서비스와 비교할 수 있는 빠른 서비스 프로비저닝을 제공한다.<ref name="강정유">광네트워크연구팀 강태규 선임연구원, 정태식 책임연구원, 유제훈 팀장, 〈[https://ettrends.etri.re.kr/ettrends/117/0905001459/24-3_078_090.pdf 캐리어 이더넷 기술 및 표준화 동향 Technology and Standardization Trends of Carrier Ethernet]〉, 《전자통신동향분석 제24권 제3호》, 2009-06</ref>
  
 
이더넷 서비스로 적합한 것을 설명하는 기본 어휘를 넘어 실제 서비스 정의와 해당 특성은 각 서비스의 명칭과 동장 방식을 훨씬 명확하게 정의한다. 처음부터 메트로이더넷포럼은 구체적인 구현 정보의 기술을 피하고 이를 공급업체와 사업자들에게 맡기려고 애써 왔다. 메트로이더넷포럼의 주요 역할은 이더넷 서비스의 동작 방식과 이를 구축, 운용 및 구매/판매하는 데 필요한 특성에 대한 업계의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이었다. 메트로이더넷포럼 인증은 메트로이더넷포럼 서비스 도입의 위험을 줄이고 전체 통신 서비스 스펙트럼에서 균일한 사용을 촉진하기 위한 것이다. 이더넷 도입의 영향 요소에는 기업, 가정 및 무선 트래픽을 결합하여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는 통합 네트워크를 구현함으로써 캐리어 네트워킹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노력이 포함된다. 기업 및 기타 네트워크 사업자도 이더넷이 캐리어 네트워크 통합을 지원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기업 네트워크를 통합하여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이더넷 서비스로 적합한 것을 설명하는 기본 어휘를 넘어 실제 서비스 정의와 해당 특성은 각 서비스의 명칭과 동장 방식을 훨씬 명확하게 정의한다. 처음부터 메트로이더넷포럼은 구체적인 구현 정보의 기술을 피하고 이를 공급업체와 사업자들에게 맡기려고 애써 왔다. 메트로이더넷포럼의 주요 역할은 이더넷 서비스의 동작 방식과 이를 구축, 운용 및 구매/판매하는 데 필요한 특성에 대한 업계의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이었다. 메트로이더넷포럼 인증은 메트로이더넷포럼 서비스 도입의 위험을 줄이고 전체 통신 서비스 스펙트럼에서 균일한 사용을 촉진하기 위한 것이다. 이더넷 도입의 영향 요소에는 기업, 가정 및 무선 트래픽을 결합하여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는 통합 네트워크를 구현함으로써 캐리어 네트워킹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노력이 포함된다. 기업 및 기타 네트워크 사업자도 이더넷이 캐리어 네트워크 통합을 지원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기업 네트워크를 통합하여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표준===
 
===표준===
메트로이더넷포럼 이더넷 서비스 모델은 다양한 캐리어 이더넷 서비스를 조합하는 데 사용되는 일련의 구성 요소를 정의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공식적으로 해당 특성(고유 ID, 물리적 계층 유형 등)과 함께 정의된다. 또한 이더넷 가상 연결(EVC, Ethernet Virtual Connection)은 가상랜 태그 유지, 서비스 등급(CoS) 유지 및 여러 가지 성능 특성과 같은 특성으로 정의된다. 이더넷 가상 연결을 통해 두 사용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연결하려면 이더넷 가상 사설 회신 데이터 서비스(E-Line) 서비스 유형이 생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 요소를 사용할 경우 서비스 공급자는 일관성 있고 표준화된 명명법을 사용할 때와 마찬가지로 구매자와 판매자가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캐리어 이더넷 서비스 세트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메트로이더넷포럼 문서에서는 사업자와 서비스 공급자를 구분한다. 사업자는 캐리어 이더넷 네트워크를 관리하지만 다른 사업자에게 서비스를 판매한다. 반면, 서비스 공급자는 최종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판매한다. 경우에 따라 이들을 각각 도매업체와 소매업체라고도 한다. 이더넷 가상 연결과 비교한 운영 가상 연결(OVC, Operator Virtual Connection)의 공식 정의는 외부 네트워크 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ENNI, External Network-to-Network Interface)를 정의하는 MEF 26.1과 OVC를 정의하는 MEF 51에 표현되어 있다. 이러한 추가 구성 요소를 통해 캐리어 이더넷 메뉴에서 창의적이고 유연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
메트로이더넷포럼 이더넷 서비스 모델은 다양한 이더넷 서비스를 조합하는 데 사용되는 일련의 구성 요소를 정의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공식적으로 해당 특성(고유 ID, 물리적 계층 유형 등)과 함께 정의된다. 또한 이더넷 가상 연결(EVC, Ethernet Virtual Connection)은 가상랜 태그 유지, 서비스 등급(CoS) 유지 및 여러 가지 성능 특성과 같은 특성으로 정의된다. 이더넷 가상 연결을 통해 두 사용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연결하려면 이더넷 가상 사설 회신 데이터 서비스(E-Line) 서비스 유형이 생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 요소를 사용할 경우 서비스 공급자는 일관성 있고 표준화된 명명법을 사용할 때와 마찬가지로 구매자와 판매자가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이더넷 서비스 세트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메트로이더넷포럼 문서에서는 사업자와 서비스 공급자를 구분한다. 사업자는 이더넷 네트워크를 관리하지만 다른 사업자에게 서비스를 판매한다. 반면, 서비스 공급자는 최종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판매한다. 경우에 따라 이들을 각각 도매업체와 소매업체라고도 한다. 이더넷 가상 연결과 비교한 운영 가상 연결(OVC, Operator Virtual Connection)의 공식 정의는 외부 네트워크 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ENNI, External Network-to-Network Interface)를 정의하는 MEF 26.1과 OVC를 정의하는 MEF 51에 표현되어 있다. 이러한 추가 구성 요소를 통해 이더넷 메뉴에서 창의적이고 유연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서비스===
메트로이더넷포럼 활동의 궁극적인 장점은 인증 프로그램과 관련이 있다. 캐리어 이더넷 장비와 서비스 모두 수백 가지의 테스트 사례를 사용하는 타사 기술 평가에 따른 다양한 사양을 준수하는 것으로 인증될 수 있다. 공급자는 자사 서비스를 인즈함으로써 표준 준수 서비스 제공에 대한 약속과 이러한 약속을 중립 기관에 검증하겠다는 의지를 보여 주는 등 여러 가지 목표를 성취할 수 있다. 고객이 최종 사용자든 다른 사업자든 상관없이 인증된 서비스를 구매하고 판매하면 복잡한 일대일 계약 협상을 피할 수 있다. 필수는 아니지만 사업자 간의 REF(Requests for Proposal)에 인증이 요청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장기적인 비용 방지 즉, 맞춤형 서비스에서 발생하는 비용 및 시장 출시 시간 면에서 상당한 장점이 있다. 구매자와 판매자는 업계에서 인정된 메트로이더넷포럼 서비스 정의 및 관련 특성을 사용하여 요구 사항을 신속하게 식별함으로써 비즈니스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서비스 수준 인증을 달성하는 방법 중 하나는 서비스 수준에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테스트 절차를 사용하여 장비에 대한 인증을 획득한 시스템 공급자와 협력하는 것이다. 메트로이더넷포럼를 통해 이러한 협업이 쉬워지면서 업계에서 점점 보편화되고 있다.
+
메트로이더넷포럼 활동의 궁극적인 장점은 인증 프로그램과 관련이 있다. 이더넷 장비와 서비스 모두 수백 가지의 테스트 사례를 사용하는 타사 기술 평가에 따른 다양한 사양을 준수하는 것으로 인증될 수 있다. 공급자는 자사 서비스를 인즈함으로써 표준 준수 서비스 제공에 대한 약속과 이러한 약속을 중립 기관에 검증하겠다는 의지를 보여 주는 등 여러 가지 목표를 성취할 수 있다. 고객이 최종 사용자든 다른 사업자든 상관없이 인증된 서비스를 구매하고 판매하면 복잡한 일대일 계약 협상을 피할 수 있다. 필수는 아니지만 사업자 간의 REF(Requests for Proposal)에 인증이 요청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장기적인 비용 방지 즉, 맞춤형 서비스에서 발생하는 비용 및 시장 출시 시간 면에서 상당한 장점이 있다. 구매자와 판매자는 업계에서 인정된 메트로이더넷포럼 서비스 정의 및 관련 특성을 사용하여 요구 사항을 신속하게 식별함으로써 비즈니스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서비스 수준 인증을 달성하는 방법 중 하나는 서비스 수준에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테스트 절차를 사용하여 장비에 대한 인증을 획득한 시스템 공급자와 협력하는 것이다. 메트로이더넷포럼를 통해 이러한 협업이 쉬워지면서 업계에서 점점 보편화되고 있다.
  
==향후 전망==
+
==주요 요소==
이미 미국 전기전자학회는 데이터 센터, 기업 및 사업자 환경의 요구를 지원하기 위해 미래의 데이터 속도를 연구하고 있다. 이 로드맵에는 끊임없이 증가하는 동영상 기반 및 클라우드 호스팅 애플리케이션 도입을 지원하기 위한 시장 수요에 따른 데이터 속도가 포함된다. 몇 가지 비전통적인 속도가 계획되어 있다. 이는 데이터 센터 및 기업 시나리오 내의 증가하는 사용에 따른 비용 요소 및 특정 시나리오를 대상으로 한다.
+
===캡슐화 전송 기술===
 
 
; 관련 이더넷 개발
 
캐리어 이더넷 개발에 중점을 두었지만 이더넷은 오디오-영상부터 산업용 및 군사용 애플리케이션까지 다양한 영역에 적용되도록 진화해 왔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종종 프로토콜의 변화를 수반하지 않지만 기본 표준에서 제공하는 기본 네트워크 연결성을 능가하는 특정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기업 및 서비스 공급자자의 경우 PTD(Precise Timing Distribution)와 PoE(Power over Ethernet)의 두 가지 이더넷 확장이 특히 유용하다.
 
 
 
* '''PTD'''(Precise Timing Distribution)
 
: 2G에서 3G 모바일 네트워크로 전환되기 시작하면서 캐리어 이더넷은 셀 기지국을 이동 전화 교환국에 연결하는 유망한 접근법이 되었으며 점점 보편화되고 있다. 이전의 백홀 기술은 기지국에 대한 연결성 및 정확한 타이밍 참조를 둘 다 제공했으며, 기지국은 이 정보를 사용하여 기지국 간의 통화 핸드오프 통화 간의 스펙트럼 조정과 같은 주요 기능을 동기화했다. 예를 들어 SONET/SDH는 이전에 널리 사용되던 백홀 기술이었다. 이는 동기화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동기화 목적으로 적절한 타이밍 정보를 셀 기지국에 전달할 수 있었다. 하지만 백홀에서 이더넷(비동기식 패킷 기술)으로의 전환에 따라 몇 가지 다른 방식으로 동기화 정보를 분산해야 한다. 일부 지역에서는 이 목적으로 GPS 장치가 사용되었지만 이는 비용이 많이 드는 옵션이므로 사업자들은 다른 접근법을 추구했다. 동기화 이더넷(SyncE)은 이더넷의 물리적 계층 클로킹을 사용하여 주파수 동기화를 제공하는 ITU-T(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Union-Telecommunication Standards Bureau) 프로토콜이다. 위상 및 하루 중 시간도 필요한 최신 4G 네트워크에서는 PTP 또는 IEEE 1588v2를 사용할 수 있다. 실제로 GPS, 동기화 이더넷 및 1588v2의 조합은 애플리케이션 및 사업자 선호도에 따라 보편적이지 않다.
 
 
 
* '''PoE'''(Power over Ethernet) : 이더넷 케이블을 사용하여 주변 장치(프린터, 스캐너 등)에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은 소비자 환경에서 비롯되었지만 곧 기업 및 캐리어 네트워크에서도 발견되었다. 전력과 데이터가 동일한 케이블에서 전송되므로 카메라, 무선 라디오 및 이와 유사한 장치에 비용이 많이 드는 전용 전원이 필요 없다. IEEE 802.3at는 최대 100미터 거리에서 최대 25 와트의 전력을 공급한다.
 
 
 
;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과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SDN의 등장으로 특히 데이터 센터 맥락에서 네트워크 운영 방식을 다시 생각할 새로운 기회가 마련되었다. 네트워크 사업자는 네트워크를 보다 효율적이고 비용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새로운 중앙화된 제어 메커니즘을 제안했다. 이전에는 STP와 같은 분산된 제어 평면에서 수행되었다. 오픈플로우(OpenFlow)와 같은 프로토콜은 중앙화된 알고리즘에서 최적으로 간주하는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라우터 및 스위치 내의 전달 테이블을 프로그래밍하도록 지원한다. NETCONF 인터페이스 프로토콜과 함께 사용되는 모델링 언어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쉽게 감시 및/또는 제어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엔터티에 대한 개방형 인터페이스 생성을 허용한다. 이는 향후 몇 년 이내에 시장에서 혁명을 일으킬 수 있는 수준으로 네트워크를 혁신한다. 또한 NFV 개념에 따라 이전의 어플라이언스 기반 애플리케이션(예: 라우터, 방화벽 및 부하 분산 장치)을 소프트웨어에 구현하고 데이터 센터에 구축하여 하드웨어, 관련 구축 및 지속적인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제 기업과 통신 사업자 모두 SDN과 NFV를 활용하여 비용을 절감할 뿐만 아니라 가까운 미래에 전례없는 수준으로 혁신할 수 있다.
 
  
 
{{각주}}
 
{{각주}}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