캡루프페어링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캡루프페어링.jpg|썸네일|250픽셀|'''캡루프페어링'''(cab-roof fairing)]]
+
[[파일:캡루프페어링.jpg|썸네일|300픽셀|'''캡루프페어링'''(cab-roof fairing)]]
 +
'''캡루프페어링'''(cab-roof fairing)은 차량 [[지붕]]에 설치해 차량과 적재함 사이 높낮이 차이를 줄이고 [[공기저항]]을 줄이는 장치다.
  
'''캡루프페어링'''<!--캡 루프 페어링-->(cab-roof fairing)은 차량 [[지붕]]에 설치해 [[차량]][[적재함]] 사이 높낮이 차이를 줄이고 [[공기저항]]줄이는 장치이다.
+
== 개요 ==
{{:자동차 배너|부품}}
+
캡루프페어링은 트럭의 지붕을 봉긋하게 해 외관 디자인을 멋스럽게 보이게 할 뿐만 아니라 트럭이 달릴 때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역할도 하고 있다. 주로 컨테이너와 [[트레일러]] 및 [[탑차]][[윙바디]] 트럭 등에 사용이 되고 있다.  이 지붕이 하는 역할은 [[캐빈룸]] 상단 지붕에 설치되어서 캐빈룸과 적재함 높이와의 [[단차]] 그리고 컨테이너 높이와의 단차를 줄여 공기저항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ref> 카링TV,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7660501&memberNo=11448582&vType=VERTICAL 바람을 가르는 트럭 위의 봉긋한 지붕 뽕~의 정체는?]〉, 《네이버 포스트》, 2020-03-05 </ref>  이 장치의 내부는 보통 연비 절감을 위해 비워두지만, 용도에 따라 공구함과 냉동, 냉장기 등을 설치하는 장소로 활용되기도 한다.<ref> 현대 트럭앤버스,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8693748&memberNo=42666250 트럭에 달려있는 저게뭐야? 화물차 외장부품의 모든 것!]〉, 《네이버 포스트》, 2020-07-03 </ref>
  
== 개요 ==
+
== 배경 및 특징 ==
캡루프페어링은 [[대형트럭]]의 지붕을 봉긋하게 해 외관 디자인을 멋스럽게 보이게 할 뿐만 아니라 트럭이 달릴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역할도 하고 있다. 주로 [[컨테이너]]와 [[트레일러]] 및 [[탑차]]와 [[윙바디]] 트럭 등에 사용이 되고 있다. 지붕이 하는 역할은 [[캐빈룸]] 상단 지붕에 설치되어서 캐빈룸과 적재함 높이와의 [[단차]] 그리고 컨테이너 높이와의 단차를 줄여 공기저항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ref> 카링TV,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7660501&memberNo=11448582&vType=VERTICAL 바람을 가르는 트럭 위의 봉긋한 지붕 뽕~의 정체는?]〉, 《네이버 포스트》, 2020-03-05 </ref> 캡루프페어링의 내부는 보통 연비 절감을 위해 비워두지만, 용도에 따라 공구함과 냉동, 냉장기 등을 설치하는 장소로 활용되기도 한다.<ref> 현대 트럭앤버스,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8693748&memberNo=42666250 트럭에 달려있는 저게뭐야? 화물차 외장부품의 모든 것!]〉, 《네이버 포스트》, 2020-07-03 </ref> 캡루프페어링은 자동차의 [[공기역학]] 기술은 공기 저항을 줄여 [[연비]]를 높이거나 [[저항]]을 활용해 주행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술이다. 때문에 연비를 중시하는 [[친환경 자동차]], [[고속주행]]에 중점을 둔 고성능 [[스포츠카]]에 집약적으로 사용하고 있지만, 일반 [[승용차]], [[상용차]] 등 모든 차종에도 사용되고 있다.<ref> 기노현 기자, 〈[http://www.autotribu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31 트럭도 라인이 중요하다? 트럭의 공기역학 기술 5가지]〉, 《오토트리뷴》, 2019-10-15 </ref> 승용차는 공기저항에 최적화하기 위해 유선형의 형상이지만, [[화물차]]는 적재공간을 최대화하기 위해 직육면체로 제작되었기에 공기저항이 높이 연비 하락은 물론 소음도 증가하는 문제를 일으킨다. 하지만 운송업을 하다 보면 유류비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화물트럭은 유해 물질 배출이 일반 차량에 비해 많아 효율 개선이 중요해졌다. 따라서 연비를 높이고 물류 비용을 줄이는 방법으로 캡루프페어링이 탄생하였다. [[한국교통연구원]]에 따르면, 캡루프페어링은 공기저항 저감 장치 중에서 설치비용 대비 항력 감소 효과가 가장 우수해 최대 20% 정도 항력계수를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장치의 내부는 보통 연비 절감을 위해 비워두지만, 용도에 따라 공구함 등을 보관할 수 있는 [[루프캐리어]]로 제작해 여행용 가방 역할을 하며, 냉동기, 냉장기를 보관하는 장소로 사용된다.<ref> carti카티, 〈[https://blog.naver.com/cartigo/222406033842 화물차 공기 저항 저감 장치]〉, 《네이버 블로그》, 2021-06-22 </ref>
+
자동차 주행 중 공기저항은 차량 [[연비]]에 아주 큰 영향을 미친다. 자동차가 주행할 받는 [[공기저항]]이 낮아지면 가속력과 최고 속도가 높아지면서 차량의 연비도 그만큼 좋아지게 된다. 때문에 연비를 중시하는 친환경 자동차, 고속 주행에 중점을 둔 고성능 [[스포츠카]]에 집약적으로 사용하고 있지만, 일반 승용차, 상용차 등 모든 차종에도 사용되고 있다.<ref> 기노현 기자, 〈[http://www.autotribu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31 트럭도 라인이 중요하다? 트럭의 공기역학 기술 5가지]〉, 《Auto Tribune》, 2019-10-15 </ref> [[승용차]]는 공기저항에 최적화하기 위해 유선형의 형상이지만, [[화물차]]는 적재공간을 최대화하기 위해 직육면체로 제작되었기에 공기저항이 높이 연비 하락은 물론 소음도 증가하는 문제를 초래한다. 하지만 운송업을 하다 보면 유류비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화물트럭은 유해 물질 배출이 일반 차량에 비해 많아 효율 개선이 중요해졌다. 따라서 연비를 높이고 물류비용을 줄이는 방법으로 캡루프페어링이 탄생하었다. [[한국교통연구원]]에 따르면, 캡루프페어링은 공기저항 저감 장치 중에서 설치비용 대비 항력 감소 효과가 가장 우수해 최대 20% 정도 항력계수를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장치의 내부는 보통 연비 절감을 위해 비워두지만, 용도에 따라 공구함 등을 보관할 수 있는 [[루프캐리어]]로 제작해 여행용 가방 역할을 하며, 냉동기, 냉장기를 보관하는 장소로 사용된다.<ref> carti카티, 〈[https://blog.naver.com/cartigo/222406033842 화물차 공기 저항 저감 장치]〉, 《네이버 블로그》, 2021-06-22 </ref>
  
 
{{각주}}
 
{{각주}}
12번째 줄: 13번째 줄:
 
* 카링TV,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7660501&memberNo=11448582&vType=VERTICAL 바람을 가르는 트럭 위의 봉긋한 지붕 뽕~의 정체는?]〉, 《네이버 포스트》, 2020-03-05
 
* 카링TV,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7660501&memberNo=11448582&vType=VERTICAL 바람을 가르는 트럭 위의 봉긋한 지붕 뽕~의 정체는?]〉, 《네이버 포스트》, 2020-03-05
 
* 현대 트럭앤버스,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8693748&memberNo=42666250 트럭에 달려있는 저게뭐야? 화물차 외장부품의 모든 것!]〉, 《네이버 포스트》, 2020-07-03
 
* 현대 트럭앤버스,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8693748&memberNo=42666250 트럭에 달려있는 저게뭐야? 화물차 외장부품의 모든 것!]〉, 《네이버 포스트》, 2020-07-03
* 기노현 기자, 〈[http://www.autotribu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31 트럭도 라인이 중요하다? 트럭의 공기역학 기술 5가지]〉, 《오토트리뷴》, 2019-10-15
+
* 기노현 기자, 〈[http://www.autotribu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31 트럭도 라인이 중요하다? 트럭의 공기역학 기술 5가지]〉, 《Auto Tribune》, 2019-10-15
 
* carti카티, 〈[https://blog.naver.com/cartigo/222406033842 화물차 공기 저항 저감 장치]〉, 《네이버 블로그》, 2021-06-22
 
* carti카티, 〈[https://blog.naver.com/cartigo/222406033842 화물차 공기 저항 저감 장치]〉, 《네이버 블로그》, 2021-06-22
 
 
==같이 보기==
 
==같이 보기==
 
* [[루프 스포일러]]
 
* [[루프 스포일러]]
 
* [[트럭]]
 
* [[트럭]]
 
* [[사이드스커트]]
 
* [[사이드스커트]]
* [[안전판]]
+
{{자동차 부품|검토 필요}}
 
 
{{자동차 외장|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