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르텍스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코르텍스 로고.png|썸네일|200픽셀|'''코르텍스'''(Cortex)]]
+
[[파일:코르텍스 로고.png|썸네일|200픽셀|'''코르텍스'''(Cortex) 로고]]
[[파일:코르텍스 글자.png|썸네일|300픽셀|'''코르텍스'''(Cortex)]]
+
[[파일:코르텍스 글자.png|썸네일|300픽셀|'''코르텍스'''(Cortex) 로고와 글자]]
  
 
'''코르텍스'''(Cortex)는 [[인공지능]](AI) 기반의 [[블록체인]] 서비스를 위한 [[암호화폐]]이다. 코르텍스는 인공지능(AI) 서비스를 [[스마트 계약]]에 포함시켜 블록체인에서 인공지능 추론 합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더리움]] 기반의 [[ERC-20]] 토큰으로 개발되었다. 코르텍스의 화폐 단위는 '''CTXC'''이다. 코르텍스의 창시자 겸 대표이사는 '''[[천즈치]]'''<!--첸즈치, 즈치 천, 즈치 첸-->(陈子祺, Chen Ziqi)이다.  
 
'''코르텍스'''(Cortex)는 [[인공지능]](AI) 기반의 [[블록체인]] 서비스를 위한 [[암호화폐]]이다. 코르텍스는 인공지능(AI) 서비스를 [[스마트 계약]]에 포함시켜 블록체인에서 인공지능 추론 합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더리움]] 기반의 [[ERC-20]] 토큰으로 개발되었다. 코르텍스의 화폐 단위는 '''CTXC'''이다. 코르텍스의 창시자 겸 대표이사는 '''[[천즈치]]'''<!--첸즈치, 즈치 천, 즈치 첸-->(陈子祺, Chen Ziqi)이다.  
  
주요 투자자로 중국의 [[비트메인]], [[후오비캐피탈]], [[노드캐피탈]], [[단화캐피탈]], [[지비아이씨]](GBIC) 등이 있다. 2018년 8월 한국의 [[빗썸]] 거래소에 상장되었고, [[업비트]]에는 [[비티씨마켓]](BTC market)에 상장되어 있다. 코르텍스는 [[후오비]], [[오케이이엑스]], [[비트렉스]], [[비트파이넥스]] 등 전 세계 27개 암호화폐 거래소에 등록되어 있는 글로벌 프로젝트이다. 2019년 5월 기준 [[코인마켓캡]]에서 코르텍스의 시가 총액은 약 318억원으로 160위를 기록하고 있다.
+
주요 투자자로 중국의 [[비트메인]], [[후오비캐피탈]], [[노드캐피탈]], [[단화캐피탈]], [[지비아이씨]](GBIC) 등이 있다. 2018년 8월 한국의 [[빗썸]] 거래소에 상장되었고, [[업비트]]에는 [[비티씨마켓]](BTC market)에 상장되어 있다. 코르텍스는 [[후오비]], [[오케이엑스]], [[비트렉스]], [[비트파이넥스]] 등 전 세계 27개 암호화폐 거래소에 등록되어 있는 글로벌 프로젝트이다. 2019년 5월 기준 [[코인마켓캡]]에서 코르텍스의 시가 총액은 약 318억원으로 160위를 기록하고 있다.
  
 
{|wikitable
 
{|wikitable
24번째 줄: 24번째 줄:
  
 
== 주요 인물 ==
 
== 주요 인물 ==
{{이미지블록250
+
{{이미지블록200
 
|천즈치|(陈子祺, Chen Ziqi)|
 
|천즈치|(陈子祺, Chen Ziqi)|
 
|에이미 첸|(Amy Chen)|
 
|에이미 첸|(Amy Chen)|
38번째 줄: 38번째 줄:
 
* '''[[얀샤오]]'''(Yan Xiao) : 코르텍스의 인공지능(AI) 전문가이다. 그는 중국의 전국 정보 올림피아드(National Olympiad in Informatics)에서 우승하여 [[청화대학]](Tsinghua University)에 추천 학생으로 입학하였다. 그는 청화대학 전자공학 학사로 졸업했고, 이후 청화대학에서 5년차 컴퓨터공학 박사 준비 중이다. 그는 박사과정 동안 ACM Siggraph를 비롯한 많은 논문을 발표했다. 그의 연구 영역은 유한 요소 분석, [[텐서]] 분석, 난기류, 딥러닝, 암호학 분야이다. 또한 머신러닝, 블록체인, 트레이딩을 비롯한 여러 분야에서 일했다. 그는 [[양자컴퓨터]] 및 금융 매크로 분석에 관심을 두고 있으며, 채굴 소프트웨어, 분산 컴퓨팅, 합의 알고리즘 분야의 전문가이다.
 
* '''[[얀샤오]]'''(Yan Xiao) : 코르텍스의 인공지능(AI) 전문가이다. 그는 중국의 전국 정보 올림피아드(National Olympiad in Informatics)에서 우승하여 [[청화대학]](Tsinghua University)에 추천 학생으로 입학하였다. 그는 청화대학 전자공학 학사로 졸업했고, 이후 청화대학에서 5년차 컴퓨터공학 박사 준비 중이다. 그는 박사과정 동안 ACM Siggraph를 비롯한 많은 논문을 발표했다. 그의 연구 영역은 유한 요소 분석, [[텐서]] 분석, 난기류, 딥러닝, 암호학 분야이다. 또한 머신러닝, 블록체인, 트레이딩을 비롯한 여러 분야에서 일했다. 그는 [[양자컴퓨터]] 및 금융 매크로 분석에 관심을 두고 있으며, 채굴 소프트웨어, 분산 컴퓨팅, 합의 알고리즘 분야의 전문가이다.
  
* '''[[양양 (코르텍스)|양양]]'''(Yang Yang) : 코르텍스의 블록체인 수석 엔지니어를 맡고 있다. 그는 [[달리안 공과대학]](Dalian University of Technology) 컴퓨터공학을 전공한 후 [[칭화대학]](Tsinghua University)에서 컴퓨터공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그는 [[브리티시 텔레콤]](British Telecom)과 [[IBM]]에서 근무했으며, 다이얼 위자드(Dial Wizard)와 Lan Xin 등 여러 소셜 소프트웨어를 개발했다. 그는 [[자바]] 및 [[C++]]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여 10년 이상 백엔드 소프트웨어 개발을 수행한 IT 블록체인 전문가이다. 그는 [[왓츠앱]](WhatsApp) 및 [[위챗]](WeChat)과 같은 규모의 상업용 소프트웨어의 백엔드 설계 및 [[TCP]] 통신 개발을 담당했다. 동시에 그는 모든 종류의 스마트 계약과 하드포크 코인에 대해 전문 지식을 가지고 있다.
+
* '''[[양양]]'''(Yang Yang) : 코르텍스의 블록체인 수석 엔지니어를 맡고 있다. 그는 [[달리안 공과대학]](Dalian University of Technology) 컴퓨터공학을 전공한 후 [[청화대학]](Tsinghua University)에서 컴퓨터공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그는 [[브리티시 텔레콤]](British Telecom)과 [[IBM]]에서 근무했으며, 다이얼 위자드(Dial Wizard)와 Lan Xin 등 여러 소셜 소프트웨어를 개발했다. 그는 [[자바]] 및 [[C++]]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여 10년 이상 백엔드 소프트웨어 개발을 수행한 IT 블록체인 전문가이다. 그는 [[왓츠앱]](WhatsApp) 및 [[위챗]](WeChat)과 같은 규모의 상업용 소프트웨어의 백엔드 설계 및 [[TCP]] 통신 개발을 담당했다. 동시에 그는 모든 종류의 스마트 계약과 하드포크 코인에 대해 전문 지식을 가지고 있다.
  
 
* '''[[티앤원타오]]'''(Tian Wentao) : 코르텍스의 선임 인공지능 및 블록체인 엔지니어다. 그는 [[샤먼대학]](Xiamen University)에서 컴퓨터공학을 전공하고 [[홍콩중문대학]](Th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에서 시스템공학 및 시스템 경영학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그는 홍콩중문대학에서 연구원으로 일한 후 홍콩에 있는 부동산 거래 회사(Prop Trading Firm)에서 트레이더로 근무했었다. 그는 프로그래밍, 머신러닝, 분산 알고리즘에 관심이 많으며, [[C++]]과 [[파이썬]](python)에 대한 프로그래밍 기술을 가지고 있다.
 
* '''[[티앤원타오]]'''(Tian Wentao) : 코르텍스의 선임 인공지능 및 블록체인 엔지니어다. 그는 [[샤먼대학]](Xiamen University)에서 컴퓨터공학을 전공하고 [[홍콩중문대학]](Th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에서 시스템공학 및 시스템 경영학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그는 홍콩중문대학에서 연구원으로 일한 후 홍콩에 있는 부동산 거래 회사(Prop Trading Firm)에서 트레이더로 근무했었다. 그는 프로그래밍, 머신러닝, 분산 알고리즘에 관심이 많으며, [[C++]]과 [[파이썬]](python)에 대한 프로그래밍 기술을 가지고 있다.
  
* '''[[에이미 첸]]'''(Amy Chen) : 코르텍스의 최고운영책임자(COO)이다. 그녀는 캐나다 [[퀸즈 대학교]](Queen's University)에서 경영학과 전기공학을 전공했으며, 미국 뉴욕시에 있는 [[컬럼비아 대학교]](Columbia University)에서 전기공학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그녀는 뉴욕에 본사를 둔 태양열 프로젝트 개발 회사인 [[에이솔라]](aSolar Inc.)의 공동 설립자로 프로젝트 컨설팅, 투자자문, 시스템 설계와 엔지니어링, 자재 조달 및 설치에 대한 업무를 맡았다. 그녀는 저탄소 생태계 촉진을 위해 대만 "에코 모빌리티 세계대회 2017"에서 저탄소 블록체인 포럼을 개최하기도 했다. 이후 그녀는 코르텍스에서 운영팀을 이끌고 있다.
+
* '''[[에이미 첸]]'''(Amy Chen) : 코르텍스의 최고운영책임자(COO)이다. 그녀는 캐나다 [[퀸즈 대학교]](Queen's University)에서 경영학과 전기공학을 전공했으며, 미국 뉴욕시에 있는 [[콜롬비아 대학교]](Columbia University)에서 전기공학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그녀는 뉴욕에 본사를 둔 태양열 프로젝트 개발 회사인 [[에이솔라]](aSolar Inc.)의 공동 설립자로 프로젝트 컨설팅, 투자자문, 시스템 설계와 엔지니어링, 자재 조달 및 설치에 대한 업무를 맡았다. 그녀는 저탄소 생태계 촉진을 위해 대만 "에코 모빌리티 세계대회 2017"에서 저탄소 블록체인 포럼을 개최하기도 했다. 이후 그녀는 코르텍스에서 운영팀을 이끌고 있다.
  
 
* '''[[티앤지아]]'''(Tian Jia) : 코르텍스의 수석 프로그래머이다. 중국 [[칭화대학]]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중국 [[바이두]]와 [[알리바바]] 등에서 소프트웨어 개발자로 근무했다. 미국 블록체인 데이터 파운데이션(Blockchain Data Foundation)의 연구자, 코르텍스 수석 연구자, 포니에이아이(Pony.ai) 소프트웨어 개발자, [[이오스트]] 어드바이저, 람다 어드바이저, 블록클라우드 어드바이저, 오쓰 프로토콜 어드바이저 등 화려한 경력을 가지고 있다.
 
* '''[[티앤지아]]'''(Tian Jia) : 코르텍스의 수석 프로그래머이다. 중국 [[칭화대학]]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중국 [[바이두]]와 [[알리바바]] 등에서 소프트웨어 개발자로 근무했다. 미국 블록체인 데이터 파운데이션(Blockchain Data Foundation)의 연구자, 코르텍스 수석 연구자, 포니에이아이(Pony.ai) 소프트웨어 개발자, [[이오스트]] 어드바이저, 람다 어드바이저, 블록클라우드 어드바이저, 오쓰 프로토콜 어드바이저 등 화려한 경력을 가지고 있다.
132번째 줄: 132번째 줄:
  
 
뻐꾸기 사이클은 네덜란드의 컴퓨터공학자인 [[존 트롬프]](John Tromp)가 발명한 세계 최초의 작업증명(PoW) 알고리즘이다.<ref>Shen Xi, 〈[http://a.to/19Gi8I1 같은 Cuckoo Cycle알고리즘을 채택하였지만, Cortex와Grin의 방향과 메커니즘은 확실히 다릅니다.]〉, 《미디엄》, 2019-03-04</ref> 코르텍스는 [[중앙처리장치]](CPU)와 [[그래픽처리장치]](GPU)간의 성능 차이를 좁히기 위해 1머신당 1표(one-machine-one-vote)에 더욱 우선권을 준다. 코르텍스 최고운영책임자(COO)인 [[에이미 첸]](Amy Chen)은 코르텍스가 중앙처리장치(CPU)보다는 그래픽처리장치(GPU)에 중점을 두면서 연산 능력을 끌어올렸다고 말했다. 중앙처리장치는 인공지능 알고리즘과 같이 복잡하고 정교한 프로그래밍을 처리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아 가상머신(CVM)부터 시작해 모든 것이 그래픽처리장치에 중점을 두도록 개발했다며, 코르텍스가 상대적으로 연산 능력이 뛰어나다고 설명했다.<ref>변성현 기자,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10293611g (코인터뷰) 코르텍스 "AI가 블록체인 가능성 확장시킨다"]〉, 《한국경제》, 2018-10-29</ref> 또한, 코르텍스는 [[코르텍스 가상머신]](CVM, Cortex Virtual Machine)이라 불리는 자체의 가상머신 시스템을 개발했다. 코르텍스 가상머신 시스템은 [[이더리움 가상머신]](EVM)과 완벽하게 호환되는 추론 명령어도 만들었다. 코르텍스 가상머신은 데이터 모델을 코르텍스의 저장 계층에 업로드가 하여 사용지가 필요한 모델을 사용하여 추론 알고리즘을 이용하고 그 대가로 코인을 지불한다. 누구나 인공지능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것이 코르텍스의 핵심 기술이자 목표이다.<ref name="백서"></ref>
 
뻐꾸기 사이클은 네덜란드의 컴퓨터공학자인 [[존 트롬프]](John Tromp)가 발명한 세계 최초의 작업증명(PoW) 알고리즘이다.<ref>Shen Xi, 〈[http://a.to/19Gi8I1 같은 Cuckoo Cycle알고리즘을 채택하였지만, Cortex와Grin의 방향과 메커니즘은 확실히 다릅니다.]〉, 《미디엄》, 2019-03-04</ref> 코르텍스는 [[중앙처리장치]](CPU)와 [[그래픽처리장치]](GPU)간의 성능 차이를 좁히기 위해 1머신당 1표(one-machine-one-vote)에 더욱 우선권을 준다. 코르텍스 최고운영책임자(COO)인 [[에이미 첸]](Amy Chen)은 코르텍스가 중앙처리장치(CPU)보다는 그래픽처리장치(GPU)에 중점을 두면서 연산 능력을 끌어올렸다고 말했다. 중앙처리장치는 인공지능 알고리즘과 같이 복잡하고 정교한 프로그래밍을 처리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아 가상머신(CVM)부터 시작해 모든 것이 그래픽처리장치에 중점을 두도록 개발했다며, 코르텍스가 상대적으로 연산 능력이 뛰어나다고 설명했다.<ref>변성현 기자,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10293611g (코인터뷰) 코르텍스 "AI가 블록체인 가능성 확장시킨다"]〉, 《한국경제》, 2018-10-29</ref> 또한, 코르텍스는 [[코르텍스 가상머신]](CVM, Cortex Virtual Machine)이라 불리는 자체의 가상머신 시스템을 개발했다. 코르텍스 가상머신 시스템은 [[이더리움 가상머신]](EVM)과 완벽하게 호환되는 추론 명령어도 만들었다. 코르텍스 가상머신은 데이터 모델을 코르텍스의 저장 계층에 업로드가 하여 사용지가 필요한 모델을 사용하여 추론 알고리즘을 이용하고 그 대가로 코인을 지불한다. 누구나 인공지능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것이 코르텍스의 핵심 기술이자 목표이다.<ref name="백서"></ref>
 
===토큰 이코노미===
 
코르텍스는 모델 제공자를 위한 보상으로서 코르텍스 코인(CTXC)를 제공한다. 각각의 패키지 블록에 대한 보상이 채굴자에게 직접 지급되는 전통적인 블록체인과는 대조적으로 개발자가 더 풍부하고 좋은 모델을 제출하도록 동기를 부여하기 위해 계약을 호출하는 엔도르핀은 블록을 전체 노드에 포장하는 데 도움을 주는 채굴자에게 할당될 뿐만 아니라 모델 제공자에게 비용을 지급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청구되는 수수료의 비율은 이더리움 [[가스]](gas) 매커니즘과 비슷한 시장 게임 가격에 따라 결정된다. 최대 엔도르핀 가격이 더 높은 인공지능 스마트 계약은 실행할 우선순위가 더 높다. 계약을 한 번 실행하면 '엔도르핀 한계 x 최대 엔도르핀' 가격의 수수료가 발생한다.
 
 
압도적인 저장 자원을 소비하기 위해 거의 불필요한 모델을 임의로 제출하거나 동일한 모델을 자주 제출하는 등 모델 커미터가 공격을 제출하고 저장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 모델 제출자는 저장 비용을 지급해야 한다. 모델을 사용하라는 호출이 많을수록 제공자가 얻을 수 있는 수익이 많아지고 모델 제공자가 더 좋은 모델을 제출하게 한다. 엔도르핀은 추론 중에 데이터 모델을 계약으로 가져올 때 가상머신 내에서 하드웨어 수준에 소비되는 컴퓨팅 자원의 양에 대한 측정이다. 대체로 엔도르핀의 비용은 모델의 크기에 비례한다. 코르텍스는 또한 최대 약 20억 개의 float32 매개변수에 해당하는 모델의 매개변수 크기에 8GB의 상계를 설정한다.
 
  
 
== 적용 및 향후 작업 ==   
 
== 적용 및 향후 작업 ==   
165번째 줄: 160번째 줄:
 
|-
 
|-
 
! 시뮬레이션 환경  
 
! 시뮬레이션 환경  
| colspan="2" | 강화 학습의 응용은 환경을 통한 모델의 출력을 예측하여 자동 운전, 게임 고(Go), 게임 등 지능형 의사 결정 및 검증 실현함
+
| colspan="2" | 강화 학습의 응용은 환경을 통한 모델의 출력을 예측하여 자동 운전, 게임 고(Go), 게임 등 지능형 의사 결정 및 검증 실현
 
|}
 
|}
  
175번째 줄: 170번째 줄:
  
 
==제휴==
 
==제휴==
코르텍스는 투자 유치로 [[칭화대학]](Tsinghua University), [[상해교통대학]](Shanghai Jiaotong University), [[캘리포니아 대학교]](University of California) 등 공대로 유명한 대학과의 파트너십 제휴 및 [[비트메인]](Bitmain), [[에프비지캐피탈]], [[단화캐피탈]], [[지비아이씨]](GBIC) 등 여러 회사의 투자를 받았다. 코르텍스의 거래소 상장은 [[후오비]], [[오케이이엑스]], [[비트렉스]], [[비트파이넥스]], [[빗썸]], [[업비트]] 등 전 세계 27개 암호화폐 거래소에 등록되어 있는 글로벌 프로젝트이다. 하지만 아직 [[바이낸스]] 등 일부 대형 거래소에 상장이 되지 않아 상장 호재가 남아 있다.<ref>소셜세이브, 〈[http://a.to/19Hs1qN (코르텍스 코인 (cortex)) 유명 펀드 총 집합, AI를 블록체인에 접목시킨다.]〉, 《네이버 블로그》, 2018-09-22</ref> 또한, 코르텍스는 [[탈중앙화]] [[인공지능]] 협회인 [[DAIA]]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ref> 레오,〈[https://blog.naver.com/lovenrzro/221520987388 코르텍스 Cortex코인 분석, 탈중앙화 인공지능 블록체인]〉, 《네이버 블로그》, 2019-04-24</ref> DAIA는 분산형 인공지능에 주력하는 여러 단체 및 연구소를 연계해 퍼블릭 체인에서의 생태계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ref name="블로그">박스군, 〈[https://blog.naver.com/parksmiley/221496368574 코르텍스(CORTEX) 체인 인공지능 AI 플랫폼 CTXC 소식]〉, 《네이버 블로그》, 2019-03-25</ref>
+
코르텍스는 투자 유치로 [[칭화대학]](Tsinghua University), [[상해교통대학]](Shanghai Jiaotong University), [[캘리포니아 대학교]](University of California) 등 공대로 유명한 대학과의 파트너십 제휴 및 [[비트메인]](Bitmain), [[에프비지캐피탈]], [[단화캐피탈]], [[지비아이씨]](GBIC) 등 여러 회사의 투자를 받았다. 코르텍스의 거래소 상장은 [[후오비]], [[오케이엑스]], [[비트렉스]], [[비트파이넥스]], [[빗썸]], [[업비트]] 등 전 세계 27개 암호화폐 거래소에 등록되어 있는 글로벌 프로젝트이다. 하지만 아직 [[바이낸스]] 등 일부 대형 거래소에 상장이 되지 않아 상장 호재가 남아 있다.<ref>소셜세이브, 〈[http://a.to/19Hs1qN (코르텍스 코인 (cortex)) 유명 펀드 총 집합, AI를 블록체인에 접목시킨다.]〉, 《네이버 블로그》, 2018-09-22</ref> 또한, 코르텍스는 [[탈중앙화]] [[인공지능]] 협회인 [[DAIA]]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ref> 레오,〈[https://blog.naver.com/lovenrzro/221520987388 코르텍스 Cortex코인 분석, 탈중앙화 인공지능 블록체인]〉, 《네이버 블로그》, 2019-04-24</ref> DAIA는 분산형 인공지능에 주력하는 여러 단체 및 연구소를 연계해 퍼블릭 체인에서의 생태계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ref name="블로그">박스군, 〈[https://blog.naver.com/parksmiley/221496368574 코르텍스(CORTEX) 체인 인공지능 AI 플랫폼 CTXC 소식]〉, 《네이버 블로그》, 2019-03-25</ref>
  
 
== 행사 ==
 
== 행사 ==
193번째 줄: 188번째 줄:
 
코르텍스는 활성화된 국내외 커뮤니티를 운영하여 사용자들과 소통하고 있다. 커뮤니티 내 총가입자 수는 10만 명에 달하며 중국어뿐만 아니라 한국어, 일본어, 영어, 베트남어, 스페인어, 러시아어 등 다양한 언어를 지원한다. 코르텍스 개발팀은 국내외 업계 종사자와 투자자들의 이목을 끌기 위해 주요 [[블록체인]], [[인공지능]] 관련 국내외 포럼에 참여해 코르텍스의 모든 개발과정을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있다. 코르텍스의 개발이 예정보다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코르텍스는 이에 만족하지 않고 로드맵에 따라 아직 미완 상태인 인공지능 스마트 계약 생태계 주변 도구 개발과 테스트 최적화에 중점을 두어 개발할 계획이다.<ref>박명기 기자, 〈[http://gametoc.hankyung.com/news/articleView.html?idxno=49482 인공지능+블록체인’ 코르텍스, 마이닝 테스트넷 활짝]〉,  《한경닷컴》, 2018-10-18</ref>
 
코르텍스는 활성화된 국내외 커뮤니티를 운영하여 사용자들과 소통하고 있다. 커뮤니티 내 총가입자 수는 10만 명에 달하며 중국어뿐만 아니라 한국어, 일본어, 영어, 베트남어, 스페인어, 러시아어 등 다양한 언어를 지원한다. 코르텍스 개발팀은 국내외 업계 종사자와 투자자들의 이목을 끌기 위해 주요 [[블록체인]], [[인공지능]] 관련 국내외 포럼에 참여해 코르텍스의 모든 개발과정을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있다. 코르텍스의 개발이 예정보다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코르텍스는 이에 만족하지 않고 로드맵에 따라 아직 미완 상태인 인공지능 스마트 계약 생태계 주변 도구 개발과 테스트 최적화에 중점을 두어 개발할 계획이다.<ref>박명기 기자, 〈[http://gametoc.hankyung.com/news/articleView.html?idxno=49482 인공지능+블록체인’ 코르텍스, 마이닝 테스트넷 활짝]〉,  《한경닷컴》, 2018-10-18</ref>
  
코르텍스는 가까운 미래에 [[인공지능-디앱]]이 각각 [[풀노드]](full-node)에서 실행되고, [[이더리움]]과 같이 [[블록체인]] 합의를 이룸으로써 여러 향상된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예를 들어 [[탈중앙화]]된 게임에서 보다 생생한 [[NPCs]], [[AIDAO]](AI 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 [[자율주행 자동차]], [[암호화폐]] 대출 시스템 등이 있다. 해당 인공지능-디앱은 모두 수조 달러의 시장성을 보유하고 있으며, 철저한 실행 가능성 조사를 바탕으로 이러한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로드맵의 높은 실현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다.
+
코르텍스는 가까운 미래에 [[인공지능-디앱]]이 각각 [[풀노드]](full-node)에서 실행되고, [[이더리움]]과 같이 [[블록체인]] 합의를 이룸으로써 여러 향상된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예를 들어 [[탈중앙화]]된 게임에서 보다 생생한 [[NPCs]], [[AIDAO]](AI 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 [[자율 주행 자동차]], [[암호화폐]] 대출 시스템 등이 있다. 해당 인공지능-디앱은 모두 수조 달러의 시장성을 보유하고 있으며, 철저한 실행 가능성 조사를 바탕으로 이러한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로드맵의 높은 실현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다.
  
 
== 로드맵 ==  
 
== 로드맵 ==  
 
* '''2018년 1분기''' : ERC20 토큰 발행하여 주요 거래소 상장
 
* '''2018년 1분기''' : ERC20 토큰 발행하여 주요 거래소 상장
* '''2018년 1분기''' : 후오비프로(Huobi Pro) 암호화폐 거래소 상장 및 [[오케이이엑스]](OKEX), [[비트파이넥스]](Bitfinex) 등 18개의 [[암호화폐 거래소]]에 상장
+
* '''2018년 1분기''' : 후오비프로(Huobi Pro) 암호화폐 거래소 상장 및 [[오케이엑스]](OKEX), [[비트파이넥스]](Bitfinex) 등 18개의 [[암호화폐 거래소]]에 상장
 
* '''2018년 3분기''' : 채굴용 테스트넷(Testnet), 마이닝 테스트넷(Mining Testnet)인 버나드(Bernard) 출시
 
* '''2018년 3분기''' : 채굴용 테스트넷(Testnet), 마이닝 테스트넷(Mining Testnet)인 버나드(Bernard) 출시
 
* '''2019년 1분기''' : 인공지능 계약용 테스트넷 도로레스(Dolores)의 출시
 
* '''2019년 1분기''' : 인공지능 계약용 테스트넷 도로레스(Dolores)의 출시
235번째 줄: 230번째 줄:
 
* [[왕웨이양]]
 
* [[왕웨이양]]
 
* [[심진아]]
 
* [[심진아]]
* [[제4회 해시넷 블록체인 밋업]]
 
* [[2019년 해시넷 블록체인 콘퍼런스]]
 
  
 
{{암호화폐 종류|검토 필요}}
 
{{암호화폐 종류|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