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프로토콜토큰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콘텐츠프로토콜토큰 로고.png|썸네일|200픽셀|'''콘텐츠프로토콜토큰'''(ontents Protocol Token)]]
+
'''콘텐츠프로토콜토큰'''<!--콘텐츠 프로토콜 토큰-->(Contents Protocol Token)은 영화, 동영상, 음악, 글 등 콘텐츠에 대한 개인 맞춤형 추천을 제공하는 [[왓챠]]<!--왓차-->(Watcha)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스]](Frograms) 회사가 만든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유통 플랫폼을 위한 [[암호화폐]]이다. 콘텐츠프로토콜토큰의 화폐 단위는 '''CPT'''(씨피티)이다. 주요 인물은 [[박태훈]](Taehoon Park) 공동대표, [[원지현]](Alex Jihyun Won) 공동대표, [[테디 리]](Teddy Lee) 기술이사 등이다.
[[파일:콘텐츠프로토콜토큰 글자.png|썸네일|300픽셀|'''콘텐츠프로토콜토큰'''(ontents Protocol Token)]]
 
[[파일:㈜왓챠 글자.png|썸네일|300픽셀|'''[[㈜왓챠]]'''(Watcha)]]
 
  
[[파일:박태훈.jpg|썸네일|200픽셀|'''[[박태훈]]''' 대표이사(CEO)]]
+
2018년 12월 16일() 서울특별시 광진구 H에비뉴호텔 건대점에서 《왓챠, 콘텐츠 프로토콜을 만나다》라는 제목으로 약 300명이 참석하는 [[밋업]]을 진행하였다.
[[파일:원지현.jpg|썸네일|200픽셀|'''[[원지현]]''' 최고운영책임자(COO)]]
 
 
 
'''콘텐츠프로토콜토큰'''<!--콘텐츠 프로토콜 토큰-->(Contents Protocol Token)은 영화, 동영상, 음악, 글 등 콘텐츠에 대한 개인 맞춤형 추천을 제공하는 [[왓챠]]<!--왓차-->(Watcha) 서비스를 제공하는 [[㈜왓챠]]가 만든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유통 플랫폼을 위한 [[암호화폐]]이다. 콘텐츠프로토콜토큰의 화폐 단위는 '''CPT'''(씨피티)이다. 주요 인물은 [[박태훈]](Park Taehoon) 대표이사(CEO), [[원지현]](Alex Jihyun Won) 최고운영책임자(COO), [[테디 리]](Teddy Lee) 기술이사(CTO) 등이다.
 
 
 
{{:2019년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 배너|콘텐츠프로토콜토큰(CPT)이 2019년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에 참여했습니다.}}
 
  
 
==개요==
 
==개요==
61번째 줄: 54번째 줄:
  
 
* '''콘텐츠 공급자''' : 콘텐츠에 라이선스를 가진 저작권자 및 유통업자를 말한다. 플랫폼에 콘텐츠를 공급하고 사전에 감상 플랫폼과 합의한 방식대로 라이선스 요금을 결제대금으로 정산 받는다. 콘텐츠 공급자는 감상 플랫폼 내에 축적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유통 전략을 짜거나 제작자와 공유하여 새로운 콘텐츠 기획에 활용하고자 하는 니즈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콘텐츠 프로토콜 생태계의 주요 데이터 소비자가 될 것이다.
 
* '''콘텐츠 공급자''' : 콘텐츠에 라이선스를 가진 저작권자 및 유통업자를 말한다. 플랫폼에 콘텐츠를 공급하고 사전에 감상 플랫폼과 합의한 방식대로 라이선스 요금을 결제대금으로 정산 받는다. 콘텐츠 공급자는 감상 플랫폼 내에 축적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유통 전략을 짜거나 제작자와 공유하여 새로운 콘텐츠 기획에 활용하고자 하는 니즈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콘텐츠 프로토콜 생태계의 주요 데이터 소비자가 될 것이다.
 +
[[파일:콘텐츠 유통 플랫폼.PNG|썸네일|오른쪽|800픽셀|'''[[콘텐츠프로토콜토큰]]'''(Contents Protocol Token) 생태계]]
  
[[파일:콘텐츠 유통 플랫폼.PNG|썸네일|오른쪽|800픽셀|'''[[콘텐츠프로토콜토큰]]'''(Contents Protocol Token) 생태계]]
 
  
 
한편 콘텐츠 프로토콜은 생태계에 유통되는 데이터의 소비자를 한정짓지 않는다. 즉, 앞서 설명한 모든 참여자가 목적에 따라 다른 참여자가 공급한 데이터를 소비할 수 있다.
 
한편 콘텐츠 프로토콜은 생태계에 유통되는 데이터의 소비자를 한정짓지 않는다. 즉, 앞서 설명한 모든 참여자가 목적에 따라 다른 참여자가 공급한 데이터를 소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상 플랫폼은 정보 서비스가 제공하는 [[메타데이터]]와 평가 데이터의 소비자가 될 수 있으며, 콘텐츠 공급자는 감상 플랫폼이 제공하는 감상 데이터의 소비자가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대학원 또는 연구기관에 소속된 연구자와 같이 또 다른 종류의 참여자가 콘텐츠 프로토콜을 통해 유통되는 데이터의 소비자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상 플랫폼은 정보 서비스가 제공하는 [[메타데이터]]와 평가 데이터의 소비자가 될 수 있으며, 콘텐츠 공급자는 감상 플랫폼이 제공하는 감상 데이터의 소비자가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대학원 또는 연구기관에 소속된 연구자와 같이 또 다른 종류의 참여자가 콘텐츠 프로토콜을 통해 유통되는 데이터의 소비자가 될 수 있다.
 +
 +
  
 
===데이터===
 
===데이터===
74번째 줄: 69번째 줄:
  
 
==토큰모델==
 
==토큰모델==
 +
콘텐츠 프로토콜의 토큰모델은 모든 참여자가 각자의 활동을 적극적으로 하며 생태계 전체의 이익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이것은 모든 구성원의 참여가 지속적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인센티브 시스템에 의해 가능하다.
 +
 
===토큰===
 
===토큰===
* '''콘텐츠프로토콜토큰''' : 콘텐츠프로토콜토큰(CPT)은 생태계에서 기본이 되는 토큰이며 데이터 이용료 결제와 이를 분배하는데 쓰인다. 생태계 안에서 소비자가 결제를 하기 위해 쓸 수 있으며, 거래소로의 자유로운 송금과 거래가 가능하다.<ref name="소셜세이브블록체인">소셜세이브 블록체인, 〈[http://socialsave.net/221421076862 왓챠, 왓챠플레이 CPT 코인, 소셜세이브 콘텐츠프로토콜 분석]〉, 《네이버 블로그》, 2018-12-17</ref>
+
* '''CPT''' : 생태계에서 기본이 되는 토큰이며 데이터 이용료 결제와 이를 분배하는데 쓰인다. 생태계 안에서 소비자가 결제를 하기 위해 쓸 수 있으며, 거래소로의 자유로운 송금과 거래가 가능하다.<ref name="소셜세이브블록체인">소셜세이브 블록체인, 〈[http://socialsave.net/221421076862 왓챠, 왓챠플레이 CPT 코인, 소셜세이브 콘텐츠프로토콜 분석]〉, 《네이버 블로그》, 2018-12-17</ref>
  
* '''콘텐츠프로토콜파워''' : 콘텐츠프로토콜파워(CP Power)는 CPT의 특수한 형태로 CPT로부터 전환이 가능하다. 데이터 제공자는 보상을 촉진하기 위해 CP Power를 예치하며, 콘텐츠 공급자는 콘텐츠 프로토콜을 적용한 서비스에 자신의 콘텐츠를 광고하기 위해 CP Power를 보유한다.<ref>김병윤기자, 〈[http://paxnetnews.com/allView?articleId=2018121115101402326&portalCode=naver&objId=A2018121115101402326 콘텐츠프로토콜 “‘왓챠’ ICO 프로젝트 순항中”]〉, 《팍스넷뉴스》, 2018-12-11</ref> CP Power에는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가 있다. CP Power는 목적에 따라 사용 시점에 정해진 만큼이 비활성화 되며, 비활성화 된 CP Power는 30일 후에 활성화 상태로 자동 전환된다.
+
* '''CP Power''' : CP Power는 CPT의 특수한 형태로 CPT로부터 전환이 가능하다. 데이터 제공자는 보상을 촉진하기 위해 CP Power를 예치하며, 콘텐츠 공급자는 콘텐츠 프로토콜을 적용한 서비스에 자신의 콘텐츠를 광고하기 위해 CP Power를 보유한다.<ref>김병윤기자, 〈[http://paxnetnews.com/allView?articleId=2018121115101402326&portalCode=naver&objId=A2018121115101402326 콘텐츠프로토콜 “‘왓챠’ ICO 프로젝트 순항中”]〉, 《팍스넷뉴스》, 2018-12-11</ref> CP Power에는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가 있다. CP Power는 목적에 따라 사용 시점에 정해진 만큼이 비활성화 되며, 비활성화 된 CP Power는 30일 후에 활성화 상태로 자동 전환된다.
  
* '''전환''' : 전환 비율은 1:1이며 CPT에서 CP Power로의 전환은 신청 즉시 이루어지고, CP Power에서 CPT로의 전환은 신청 후 30일 이후에 이루어진다.<ref>황덕현기자, 〈[http://news1.kr/articles/?3510212 (코인리뷰)코인을 포인트처럼...왓챠의 ‘콘텐츠 프로토콜’]〉, 《뉴스원》, 2019-01-09</ref>
+
* '''CPT와 CP Power의 전환''' : 전환 비율은 1:1이며 CPT에서 CP Power로의 전환은 신청 즉시 이루어지고, CP Power에서 CPT로의 전환은 신청 후 30일 이후에 이루어진다.<ref>황덕현기자, 〈[http://news1.kr/articles/?3510212 (코인리뷰)코인을 포인트처럼...왓챠의 ‘콘텐츠 프로토콜’]〉, 《뉴스원》, 2019-01-09</ref>
  
 
===스테이킹===
 
===스테이킹===
118번째 줄: 115번째 줄:
 
각 사용자의 평가보상을 결정하는 요소로 콘텐츠 프로토콜이 정의한 평가 활동을 얼마나 했는지와 각 활동에 대한 다른 사용자의 평가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산정한다. 감상보상은 왓챠플레이 사용자의 감상 데이터 제공에 대한 보상으로 대상 기간 동안 왓챠 플레이에서 콘텐츠를 감상한 사용자를 포함한다. 감상보상의 경우 유효한 감상 건에 대해 동일한 양이 지급되며 전문가 감상 모드를 통해 양질의 감상 데이터를 제공한 경우 보상 점수 산정에 가중치가 반영되어 보상이 커진다.<ref>민서연기자, 〈[https://decenter.sedaily.com/NewsView/1VDX3D14IJ (클레이튼XDApp)콘텐츠프로토콜, 고객이 만드는 콘텐츠를 꿈꾼다]〉, 《서울경제》, 2019-01-05</ref>
 
각 사용자의 평가보상을 결정하는 요소로 콘텐츠 프로토콜이 정의한 평가 활동을 얼마나 했는지와 각 활동에 대한 다른 사용자의 평가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산정한다. 감상보상은 왓챠플레이 사용자의 감상 데이터 제공에 대한 보상으로 대상 기간 동안 왓챠 플레이에서 콘텐츠를 감상한 사용자를 포함한다. 감상보상의 경우 유효한 감상 건에 대해 동일한 양이 지급되며 전문가 감상 모드를 통해 양질의 감상 데이터를 제공한 경우 보상 점수 산정에 가중치가 반영되어 보상이 커진다.<ref>민서연기자, 〈[https://decenter.sedaily.com/NewsView/1VDX3D14IJ (클레이튼XDApp)콘텐츠프로토콜, 고객이 만드는 콘텐츠를 꿈꾼다]〉, 《서울경제》, 2019-01-05</ref>
  
===보상 프로그램===
+
===리워드 프로그램===
콘텐츠 프로토콜은 원활한 초기 사용자 확보를 위하여 왓챠와 왓챠플레이 사용자를 대상으로 보상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누적된 왓챠 사용자의 콘텐츠 평가 활동과 왓챠플레이 사용자의 감상 활동 내역에 콘텐츠 프로토콜이 보상 철학을 반영하여 지급할 예정이다.
+
콘텐츠 프로토콜은 원활한 초기 사용자 확보를 위하여 왓챠와 왓챠플레이 사용자를 대상으로 리워드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누적된 왓챠 사용자의 콘텐츠 평가 활동과 왓챠플레이 사용자의 감상 활동 내역에 콘텐츠 프로토콜이 보상 철학을 반영하여 지급할 예정이다.
  
 
==로드맵==
 
==로드맵==
 
콘텐츠 프로토콜은 [[블록체인]] 기술 자체를 연구·개발하는 프로젝트라기보다는 콘텐츠 산업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 기술을 활용하는 프로젝트이다. 현재의 블록체인 기술은 태동기에 있기 때문에 프로젝트에 필요한 기능을 충분히 제공하지 못한다. 따라서 콘텐츠 프로토콜은 블록체인 개발 커뮤니티의 동향을 성실히 파악하고 프로젝트에 반영하며 로드맵을 수행해나갈 계획이다.<ref>콘텐츠프로토콜토큰 백서 - 〈[https://drive.google.com/file/d/1QqNgNxlOn8xlRnuD9zyPLl539kAkxSlH/view CONTENTS PROTOCOL Whitepaper v1.1 - 건강한 콘텐츠 산업 생태계를 위한 탈중앙화 프로젝트]〉, 2018-12</ref>
 
콘텐츠 프로토콜은 [[블록체인]] 기술 자체를 연구·개발하는 프로젝트라기보다는 콘텐츠 산업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 기술을 활용하는 프로젝트이다. 현재의 블록체인 기술은 태동기에 있기 때문에 프로젝트에 필요한 기능을 충분히 제공하지 못한다. 따라서 콘텐츠 프로토콜은 블록체인 개발 커뮤니티의 동향을 성실히 파악하고 프로젝트에 반영하며 로드맵을 수행해나갈 계획이다.<ref>콘텐츠프로토콜토큰 백서 - 〈[https://drive.google.com/file/d/1QqNgNxlOn8xlRnuD9zyPLl539kAkxSlH/view CONTENTS PROTOCOL Whitepaper v1.1 - 건강한 콘텐츠 산업 생태계를 위한 탈중앙화 프로젝트]〉, 2018-12</ref>
 
== 행사 ==
 
2018년 12월 16일(일) 서울특별시 광진구 H에비뉴호텔 건대점에서 《왓챠, 콘텐츠 프로토콜을 만나다》라는 제목으로 약 300명이 참석하는 [[밋업]]을 진행하였다.
 
  
 
{{각주}}
 
{{각주}}
132번째 줄: 126번째 줄:
 
* 콘텐츠프로토콜토큰 공식 홈페이지 - https://contentsprotocol.io/
 
* 콘텐츠프로토콜토큰 공식 홈페이지 - https://contentsprotocol.io/
 
* 콘텐츠프로토콜토큰 백서 - 〈[https://drive.google.com/file/d/1QqNgNxlOn8xlRnuD9zyPLl539kAkxSlH/view CONTENTS PROTOCOL Whitepaper v1.1 - 건강한 콘텐츠 산업 생태계를 위한 탈중앙화 프로젝트]〉, 2018-12
 
* 콘텐츠프로토콜토큰 백서 - 〈[https://drive.google.com/file/d/1QqNgNxlOn8xlRnuD9zyPLl539kAkxSlH/view CONTENTS PROTOCOL Whitepaper v1.1 - 건강한 콘텐츠 산업 생태계를 위한 탈중앙화 프로젝트]〉, 2018-12
* 왓챠 공식 홈페이지 - http://www.watcha.com/
+
* 프로그램스 공식 홈페이지 - http://www.frograms.com/
 
* 코인정보소 영보스, 〈[https://blog.naver.com/jruits/221447632264 콘텐츠 프로토콜(CPT코인)에 대해 알아보자]〉, 《네이버 블로그》, 2019-01-22
 
* 코인정보소 영보스, 〈[https://blog.naver.com/jruits/221447632264 콘텐츠 프로토콜(CPT코인)에 대해 알아보자]〉, 《네이버 블로그》, 2019-01-22
 
* 동전플라이, 〈[https://cafe.naver.com/nexontv/1887411 카카오클레이튼 파트너로 합류된 콘텐츠프로토콜(CPT), 왓챠(WATCHA)의 퍼블릭세일]〉, 《비트맨 동호회》, 2018-12-11
 
* 동전플라이, 〈[https://cafe.naver.com/nexontv/1887411 카카오클레이튼 파트너로 합류된 콘텐츠프로토콜(CPT), 왓챠(WATCHA)의 퍼블릭세일]〉, 《비트맨 동호회》, 2018-12-11
138번째 줄: 132번째 줄:
 
* Robin, 〈[https://sadmad.blog.me/221423510916 콘텐츠 보상 토큰 〈왓챠, 콘텐츠 프로토콜을 만나다〉 후기]〉, 《네이버 블로그》, 2018-12-20
 
* Robin, 〈[https://sadmad.blog.me/221423510916 콘텐츠 보상 토큰 〈왓챠, 콘텐츠 프로토콜을 만나다〉 후기]〉, 《네이버 블로그》, 2018-12-20
 
* 치킨책, 〈[https://lolmore.blog.me/221426566696 뒤늦게 쓰는 왓챠 콘텐츠 프로토콜 토큰(CPT) 보상 프로젝트 행사 후기.]〉, 《네이버 블로그》, 2018-12-25
 
* 치킨책, 〈[https://lolmore.blog.me/221426566696 뒤늦게 쓰는 왓챠 콘텐츠 프로토콜 토큰(CPT) 보상 프로젝트 행사 후기.]〉, 《네이버 블로그》, 2018-12-25
* 패치주스, 〈[https://blog.naver.com/traumfrau525/221417211697 12월 11일 오후 9시!! 코박에서 콘텐츠 프로토콜 퍼블릭세일이 진행되었답니다!]〉, 《네이버 블로그》, 2018-12-11
 
* 김병윤기자, 〈[http://paxnetnews.com/allView?vNewsSetId=6073&articleId=2019012114335302628&objId=A2019012114335302628&portalCode=naver ‘왓챠 ICO’ 콘텐츠프로토콜 “퍼블릭세일 만족··· 서비스 곧 출시”]〉, 《팍스넷뉴스》, 2019-01-21
 
* 임유경기자, 〈[http://www.zdnet.co.kr/view/?no=20180918204315 IOST, 왓차 리버스 ICO ‘콘텐츠 프로토콜’에 투자]〉, 《지디넷코리아》, 2018-09-18
 
* 오세성기자,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12086829g (코인터뷰) 콘텐츠포로토콜 “VOD시청자 어디서 영상 껐는지 알려드립니다”]〉, 《한경닷컴》, 2018-12-09
 
* 허준기자, 〈[http://www.fnnews.com/news/201812021142299261 “왓챠 이용자에 암호화폐 준다” 콘텐츠프로토콜 이달 베일 벗는다]〉, 《파이낸셜뉴스》, 2018-12-03
 
* 소셜세이브 블록체인, 〈[http://socialsave.net/221421076862 왓챠, 왓챠플레이 CPT 코인, 소셜세이브 콘텐츠프로토콜 분석]〉, 《네이버 블로그》, 2018-12-17
 
* 황덕현기자, 〈[http://news1.kr/articles/?3510212 (코인리뷰)코인을 포인트처럼...왓챠의 ‘콘텐츠 프로토콜’]〉, 《뉴스원》, 2019-01-09
 
* 배정환기자, 〈[http://www.ks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678740#08gK 왓챠, 업비트 통해 콘텐츠 프로토콜 확산 나선다]〉, 《경상일보》, 2019-01-22
 
* 조은아기자, 〈[http://news.mtn.co.kr/newscenter/news_viewer.mtn?gidx=2018103117573580652 (CEO리포트) 새로운 ‘왓챠’ 꿈꾸는 원지현 콘텐츠프로토콜 공동대표]〉, 《머니투데이》, 2018-10-31
 
* 이지영기자,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8&no=797185 콘텐츠 프로토콜 “진성 유저가 프로젝트 성공의 핵심”]〉, 《매일경제》, 2018-12-21
 
* 안희정기자, 〈[https://www.zdnet.co.kr/view/?no=20161209091943 왓챠플레이, 구글플레이·앱스토어서 올해의 앱 선정]〉, 《지디넷코리아》, 2016-12-09
 
* 권도연기자, 〈[http://www.bloter.net/archives/316706 왓챠, 영어권 서비스 시작]〉, 《비블록》, 2018-08-08
 
* 민서연기자, 〈[https://decenter.sedaily.com/NewsView/1VDX3D14IJ (클레이튼XDApp)콘텐츠프로토콜, 고객이 만드는 콘텐츠를 꿈꾼다]〉, 《서울경제》, 2019-01-05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왓챠]]
 
* [[왓챠]]
* [[㈜왓챠]]
+
* [[프로그램스]]
 
* [[박태훈]]
 
* [[박태훈]]
 
* [[원지현]]
 
* [[원지현]]
 
* [[테디 리]]
 
* [[테디 리]]
  
{{암호화폐 종류|검토 필요}}
+
{{로고 필요}}
 +
{{암호화폐 종류|토막글}}

위키원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위키원: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