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레이그 스티븐 라이트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크레이그 스티븐 라이트.jpg|썸네일|300픽셀|'''크레이그 스티븐 라이트'''(Craig Steven Wright)]]
 
[[파일:크레이그 스티븐 라이트.jpg|썸네일|300픽셀|'''크레이그 스티븐 라이트'''(Craig Steven Wright)]]
[[파일:비트코인에스브이 글자.png|썸네일|300픽셀|'''[[비트코인에스브이]]'''(BitcoinSV)]]
+
[[파일:비트코인에스브이 로고.png|썸네일|200픽셀|'''[[비트코인에스브이]]'''(BitcoinSV)]]
  
 
'''크레이그 스티븐 라이트'''(Craig Steven Wright)는 호주 [[시드니]]에 살고 있는 인터넷 사업가 겸 컴퓨터 공학박사이다. 2016년 5월 그는 본인이 [[비트코인]]을 창시한 [[사토시 나카모토]]라고 선언했다. 이후 몇몇 관련자들이 크레이그 스티븐 라이트가 진짜 사토시 나카모토가 맞는지 검증했고, 일부 기록이 맞다는 점을 인정했다. 하지만 이후 제기된 몇 가지 질문에 대해 제대로 해명하지 못하여, 그가 사토시 나카모토가 맞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이더리움 창시자인 [[비탈릭 부테린]]은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크레이그 스티븐 라이트는 사토시 나카모토가 아니며, 더 이상 사기꾼 행세를 중단을 것을 촉구했다.
 
'''크레이그 스티븐 라이트'''(Craig Steven Wright)는 호주 [[시드니]]에 살고 있는 인터넷 사업가 겸 컴퓨터 공학박사이다. 2016년 5월 그는 본인이 [[비트코인]]을 창시한 [[사토시 나카모토]]라고 선언했다. 이후 몇몇 관련자들이 크레이그 스티븐 라이트가 진짜 사토시 나카모토가 맞는지 검증했고, 일부 기록이 맞다는 점을 인정했다. 하지만 이후 제기된 몇 가지 질문에 대해 제대로 해명하지 못하여, 그가 사토시 나카모토가 맞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이더리움 창시자인 [[비탈릭 부테린]]은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크레이그 스티븐 라이트는 사토시 나카모토가 아니며, 더 이상 사기꾼 행세를 중단을 것을 촉구했다.
  
2018년 11월 크레이그 스티븐 라이트는 기존의 [[비트코인캐시]]를 하드포크하여 [[비트코인에스브이]]<!--비트코인 에스브이-->(BitcoinSV)를 만드는데 주도적 역할을 했다. 비트코인에스브이는 비트코인 사토시 비전(Bitcoin Satoshi Vision)의 약자이다.
+
2018년 11월 크레이그 스티븐 라이트는 기존의 [[비트코인캐시]]를 하드포크하여 [[비트코인에스브이]](BitcoinSV)를 만드는데 주도적 역할을 했다. 비트코인에스브이는 비트코인 사토시 비전(Bitcoin Satoshi Vision)의 약자이다.
 +
 
 +
크레이그 스티븐 라이트
  
 
==생애==
 
==생애==
25번째 줄: 27번째 줄:
 
* 2015년 ~ 현재 엔체인(nChain) 수석 연구원
 
* 2015년 ~ 현재 엔체인(nChain) 수석 연구원
  
==주요 활동==
+
==주요활동==
 
크레이그 스티븐 라이트는 [[비트코인]] 개발자이자 [[블록체인]] 전문가로 인정받는 사람이기도 하지만 업무 외적인 사건, 사고들로 더 유명하기도 하다.
 
크레이그 스티븐 라이트는 [[비트코인]] 개발자이자 [[블록체인]] 전문가로 인정받는 사람이기도 하지만 업무 외적인 사건, 사고들로 더 유명하기도 하다.
  
32번째 줄: 34번째 줄:
  
 
===비트코인 횡령===
 
===비트코인 횡령===
2018년 2월 크레이그 스티븐 라이트는 [[비트코인]] 개발진으로 추정되는 [[데이브 클레이만]]이 사망한 이후 그와 공동으로 관리하던 비트코인을 빼돌린 혐의를 받기도 하였다. 라이트와 클레이만은 2011년 사이버 보안 업체를 설립하고 함께 비트코인 개발과 채굴을 해왔는데 데이브 클레이만이 사망할 당시 두 사람이 공동으로 관리하던 비트코인은 110만개로 현재 약 60조원의 가치가 있다. 당시 클레이만의 가족들은 라이트가 비트코인을 빼돌리기 위해 계약을 변경하고 서명을 위조하였다고 주장하였다.
+
2018년 2월 크레이그 스티븐 라이트는 비트코인 개발진으로 추정되는 데이브 클레이만이 사망한 이후 그와 공동으로 관리하던 비트코인을 빼돌린 혐의를 받기도 하였다. 라이트와 클레이만은 2011년 사이버 보안 업체를 설립하고 함께 비트코인 개발과 채굴을 해왔는데 데이브 클레이만이 사망할 당시 두 사람이 공동으로 관리하던 비트코인은 110만개로 현재 약 1조원의 가치가 있다. 당시 클레이만의 가족들은 라이트가 비트코인을 빼돌리기 위해 계약을 변경하고 서명을 위조하였다고 주장하였다.
 
<ref>황보수현 기자, 〈[https://decenter.sedaily.com/NewsView/1RVV84I3KN ‘사토시 나카모토’ 자칭하는 크레이그 라이트, 동료 비트코인 훔친 혐의로 피소]〉, 《서울경제 블록체인》, 2018-02-27</ref>
 
<ref>황보수현 기자, 〈[https://decenter.sedaily.com/NewsView/1RVV84I3KN ‘사토시 나카모토’ 자칭하는 크레이그 라이트, 동료 비트코인 훔친 혐의로 피소]〉, 《서울경제 블록체인》, 2018-02-27</ref>
  
 
===핫와이어 그룹(Hotwire Preemptive Intelligence Group)===
 
===핫와이어 그룹(Hotwire Preemptive Intelligence Group)===
2013년 6월 크레이그 스티븐 라이트는 [[비트코인]] 관련 거래를 통해 e-러닝 및 e-payment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핫와이어 그룹]](Hotwire Preemptive Intelligence Group)을 설립하였다.<ref>베리 코겐, 〈[http://www.mcgrathnicol.com/app/uploads/D14-140526-Hotwire439AReport-BFK.pdf 핫와이어 그룹 리포트]〉, 《맥그래스니콜》, 2014-05-26</ref> 2014년 핫와이어 그룹은 Denariuz라는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는데 이는 비트코인 기반의 저축 예금, 정기 예금, 대출 서비스 등을 제공하며 온라인 뱅킹과 같이 pc나 모바일에서 자신의 계정에 엑세스가 가능한 이월렛(eWallet)과 자사의 Coin-Exch플랫폼을 통한 환전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세계 최초의 비트코인 기반 은행이었다. 하지만 당시 호주 국세청(ATO)의 비트코인 관련 GST(Good and Service Tax) 규제와 비트코인 거래 규제로 인해 해당 사업은 2014년에 종료되었다.<ref>리즈 테이, 〈[https://www.businessinsider.com.au/aussie-technologists-are-opening-the-worlds-first-bitcoin-based-bank-this-year-2014-2  Aussie Technologists Plan To Open The World's First Bitcoin-Based Bank This Year]〉, 《비즈니스 인사이더 오스트레일리아》, 2014-02-12</ref>
+
2013년 6월 크레이그 스티븐 라이트는 비트코인 관련 거래를 통해 e-러닝 및 e-payment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핫와이어 그룹(Hotwire Preemptive Intelligence Group)을 설립하였다. <ref>베리 코겐, 〈[http://www.mcgrathnicol.com/app/uploads/D14-140526-Hotwire439AReport-BFK.pdf 핫와이어 그룹 리포트]〉, 《맥그래스니콜》, 2014-05-26</ref> 2014년 핫와이어 그룹은 Denariuz라는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는데 이는 비트코인 기반의 저축 예금, 정기 예금, 대출 서비스 등을 제공하며 온라인 뱅킹과 같이 pc나 모바일에서 자신의 계정에 엑세스가 가능한 이월렛(eWallet)과 자사의 Coin-Exch플랫폼을 통한 환전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세계 최초의 비트코인 기반 은행이었다. 하지만 당시 호주 국세청(ATO)의 비트코인 관련 GST(Good and Service Tax) 규제와 비트코인 거래 규제로 인해 해당 사업은 2014년에 종료되었다.
 +
<ref>리즈 테이, 〈[https://www.businessinsider.com.au/aussie-technologists-are-opening-the-worlds-first-bitcoin-based-bank-this-year-2014-2  Aussie Technologists Plan To Open The World's First Bitcoin-Based Bank This Year]〉, 《비즈니스인사이더 오스트레일리아》, 2014-02-12</ref>
 +
 
  
 
===엔체인(nChain)===
 
===엔체인(nChain)===
[[엔체인]]은 중국의 채굴업체들이 중심이 되어 만든 암호화폐 [[비트코인캐시]](bitcoin cash)에서 2018년 11월에 [[하드포크]]된 [[암호화폐]]인 [[비트코인에스브이]](bitcoinsv)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블록체인 기업이다. 당시 비트코인캐시는 서로 다른 이견으로 [[비트코인ABC]] 진영과 비트코인SV 진영으로 나뉘게 되었는데, 비트코인ABC의 경우 비트코인캐시 네트워크에 새 [[프로토콜]]([[스마트 계약]] 솔루션)을 도입하자는 의견이었고, 이와 반대로 비트코인에스브이의 경우 프로토콜은 유지하되 블록 크기만 늘리자는 의견이었다. 크레이그 스티븐 라이트는 당시 비트코인에스브이 진영을 대표하는 인물이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블록체인 스타트업 [[엔체인]](nChain)을 설립하였다.
+
엔체인은 중국의 채굴업체들이 중심이 되어 만든 암호화폐 비트코인캐시(bitcoin cash)에서 2018년 11월에 하드포크된 암호화폐인 비트코인에스브이(bitcoinsv)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블록체인 기업이다. 당시 비트코인캐시는 서로 다른 이견으로 비트코인ABC진영과 비트코인SV진영으로 나뉘게 되었는데 비트코인ABC의 경우 비트코인캐시 네트워크에 새 프로토콜(스마트계약 솔루션)을 도입하자는 의견이었고 이와 반대로 비트코인에스브이의 경우 프로토콜은 유지하되 블록크기만 늘리자는 의견이었다. 크레이그 스티븐 라이트는 당시 비트코인에스브이 진영을 대표하는 인물이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블록체인 스타트업 엔체인(nChain)을 설립하였다.  
 
+
<ref>해시넷, 〈[http://wiki.hash.kr/index.php/%EB%B9%84%ED%8A%B8%EC%BD%94%EC%9D%B8%EC%BA%90%EC%8B%9C  비트코인캐시 해시넷 코인위키]〉, 《해시넷 코인위키》</ref> 2018년 크레이그 스티븐 라이트는 엔체인과 함께 당사 최초의 특허 승인을 받았다. 해당 특허는 블록체인 기반 스마트 계약의 등록과 자동 관리방식에 대한 것인데 이는 콘텐츠 제작자들과 권리 보유자들이 디지털 권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기술이다. <ref>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180414041800009?input=1195m  (PRNewswire) 엔체인(nChain),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계약 발명특허 첫 승인]〉, 《연합뉴스》, 2018-04-14</ref>
2018년 크레이그 스티븐 라이트는 엔체인과 함께 당사 최초의 [[특허]] 승인을 받았다. 해당 특허는 블록체인 기반 스마트 계약의 등록과 자동 관리방식에 대한 것인데 이는 콘텐츠 제작자들과 권리 보유자들이 디지털 권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기술이다.<ref>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180414041800009?input=1195m  (PRNewswire) 엔체인(nChain),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계약 발명특허 첫 승인]〉, 《연합뉴스》, 2018-04-14</ref> 크레이그 스티븐 라이트는 자신이 [[사토시 나카모토]]라는 주장에서 한 발 물러서 사토시 나카모토가 그린 비트코인의 미래는 비트코인캐시라는 입장을 꾸준히 피력하고 있는 반면 비트코인캐시와 갈등을 겪고 있는 [[비트코인 코어]] 진영은 그를 최악의 사기꾼으로 뽑기도 하였다.<ref>블록인프레스, 〈[https://blockinpress.com/archives/3939 크레이그 라이트 – Deconomy 2018]〉, 《블록인프레스》, 2018-03-28</ref>
+
크레이그 스티븐 라이트는 자신이 사토시 나카모토라는 주장에서 한 발 물러서 사토시 나카모토가 그린 비트코인의 미래는 비트코인 캐시라는 입장을 꾸준히 피력하고 있는 반면 비트코인 캐시와 갈등을 겪고 있는 비트코인 코어 진영은 그를 최악의 사기꾼으로 뽑기도 하였다. <ref>블록인프레스, 〈[https://blockinpress.com/archives/3939 크레이그 라이트 – Deconomy 2018]〉, 《블록인프레스》, 2018-03-28</ref>
  
 
{{각주}}
 
{{각주}}
51번째 줄: 55번째 줄:
 
* [[비트코인에스브이]]
 
* [[비트코인에스브이]]
 
* [[비탈릭 부테린]]
 
* [[비탈릭 부테린]]
* [[에스브이풀]]
 
  
{{암호화폐 창시자|검토 필요}}
+
{{암호화폐 창시자|토막글}}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