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립토서울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크립토서울 로고.png|썸네일|200픽셀|'''크립토서울'''(KryptoSeoul)]]
+
[[파일:크립토서울.png|썸네일|200픽셀|'''크립토서울'''(kryptoseoul)]]
[[파일:크립토서울 글자.png|썸네일|300픽셀|'''크립토서울'''(KryptoSeoul)]]
 
[[파일:강현정.jpg|썸네일|200픽셀|'''[[강현정]]'''(Erica Kang)]]
 
  
'''크립토서울'''<!--크립토 서울-->(KryptoSeoul)은 활발한 블록체인 커뮤니티와 문화를 지향하는 단체이다. 정기적인 밋업을 통해 회원들끼리 교류하고 다양한 블록체인/암호화폐 프로젝트들이 발표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한다.
 
  
== 연혁 ==
 
* 2018년 05월 04일 : [[크립토서울]] 설립
 
* 2018년 11월 29일 ~ 30일 : [[비들 서울 2018]] 개최
 
* 2019년 07월 22일 ~ 07월 23일 : [[비들 아시아 2019]] 개최
 
 
== 주요 인물 ==
 
* '''[[에리카 강]]'''(Erica Kang) : [[강현정]]이라고도 부른다. 에리카 강은 크립토서울의 대표이사이며 한국 블록체인 협회 자문인 [[블록워터 캐피탈]]의 파트너이다.
 
* '''[[크리스 윤]]'''(Chris Yoon) : 크립토서울 창립 파트너이며 IT산업 전략 및 계획 전문가이다. 그는 SK 하이닉스, IBM 및 SK 플래닛 등에서 근무했으며 코인데스크코리아를 포함한 한국 미디어에 다양한 칼럼을 제공하는 IT 칼럼니스트이다.
 
* '''[[준 김]]'''(June Kim) : 화학 엔지니어와 연구원 등으로 근무했으며 현재, 크립토서울 커뮤니티 관리자이다.
 
 
== 주요 활동 ==
 
=== 비들 서울 2018 ===
 
비들은 블록체인 개발자를 위해 기획된 행사이다. 2018년 11월 서울에서 제1회 행사를 열었다. 당시 글로벌 연사 50명, 개발자 400명, 일반인 참가자 500명이 참여하며 '아시아 최대 규모의 블록체인 개발자 행사'라는 타이틀을 얻었다. <ref>명정선 기자,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53379 투자보다 기술! 블록체인 개발자 모인다..’비들서울 2018 개최’]〉,  《블록미디어》 , 2018-11-19</ref>
 
 
=== 비들 아시아 2019 ===
 
컨퍼런스는 '비들'이라는 이름이 가지는 의미처럼 블록체인 산업에서 기술을 연구하고 실제 개발 결과물로 만들어 내고 있는 사람들을 위한 행사로 마련됐다. 기조연설은 블록체인 업계에서 가장 주목받는 연사들로 구성됐다.
 
  
 
== 지도 ==
 
== 지도 ==
 
{{지도|크립토서울}}
 
{{지도|크립토서울}}
  
{{각주}}
 
 
== 참고자료 ==
 
* 크립토서울 홈페이지 http://kryptoseoul.com/
 
* 명정선 기자,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53379 투자보다 기술! 블록체인 개발자 모인다..’비들서울 2018 개최’]〉,  《블록미디어》 , 2018-11-19
 
 
== 같이 보기 ==
 
* [[강현정]]
 
* [[크리스 윤]]
 
* [[준 김]]
 
  
 
{{행사|토막글}}
 
{{행사|토막글}}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