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레이튼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82번째 줄: 82번째 줄:
 
클레이튼은 [[스마트 계약]] 실행과 외부 메모리 조작을 구분하는 가상 머신인 "KLVM(Klaytn VM)"을 제안하고 있다. KLVM은 실행 환경에 맞춰 조정된 라이브러리를 통해 KLVM과 통신하기 위해 실행할 수 있는 코드 세트를 각 시스템에서 실행해야 한다. 대표적인 실행 기계는 [[이더리움]]에서 제공하는 [[EVM]]이다. EVM은 "EVM 바이트코드(bytecode)"를 사용하여 이더리움 전체를 제어할 수 있다. [[웹어셈블리]](WebAssembly)와 같이 스마트 계약에 한정되지 않은 실행환경은 클레이튼이 제공하는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 클레이튼에서, EVM에 대해 편집된 스마트 계약은 EVM 변환기를 사용하여 수정하지 않고 쉽게 실행될 수 있으며 eWASM / WASM과 같은 다양한 실행 환경을 수용할 수 있다. 클레이튼이 가능하게 하는 실행 환경의 범위가 확대될 것이다.
 
클레이튼은 [[스마트 계약]] 실행과 외부 메모리 조작을 구분하는 가상 머신인 "KLVM(Klaytn VM)"을 제안하고 있다. KLVM은 실행 환경에 맞춰 조정된 라이브러리를 통해 KLVM과 통신하기 위해 실행할 수 있는 코드 세트를 각 시스템에서 실행해야 한다. 대표적인 실행 기계는 [[이더리움]]에서 제공하는 [[EVM]]이다. EVM은 "EVM 바이트코드(bytecode)"를 사용하여 이더리움 전체를 제어할 수 있다. [[웹어셈블리]](WebAssembly)와 같이 스마트 계약에 한정되지 않은 실행환경은 클레이튼이 제공하는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 클레이튼에서, EVM에 대해 편집된 스마트 계약은 EVM 변환기를 사용하여 수정하지 않고 쉽게 실행될 수 있으며 eWASM / WASM과 같은 다양한 실행 환경을 수용할 수 있다. 클레이튼이 가능하게 하는 실행 환경의 범위가 확대될 것이다.
  
==토큰==
+
== 클레이 ==
 
[[클레이튼]]에서 연동되는 [[토큰]]은 ‘[[클레이]](Klay)’로, 사용자들은 카카오톡 내 다양한 활동을 통해 클레이(Klay)를 얻어 거래소에서 자유롭게 환전하며 활용할 수 있다.<ref>원재연 기자, 〈[http://decenter.sedaily.com/NewsView/1S4ME6XD3C 카카오의 블록체인 '클레이튼'…한재선 대표 "실생활 서비스 내놓을 것"]〉,  《서울경제》 , 2018-09-13</ref> 클레이튼과 클레이는 무엇이든 만들 수 있는 찰흙(Clay)에서 모티브를 얻어 Clay의 C를 카카오의 K로 바꿔 이름을 정했다.<ref>이동언 기자, 〈[https://tokenpost.kr/article-4073 카카오, 블록체인 플랫폼 '클레이튼' 10월 공개…보상형 코인 '클레이' 발행]〉,  《토큰포스트》 , 2018-09-05</ref> 클레이는 이밖에도 클레이튼 기반의 모든 [[디앱]]에서 [[사이버 머니]]처럼 사용할 수 있고, 상장된 거래소에서 거래도 가능하다. 클레이튼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플랫폼이 등장한다면, [[카카오]] 계열의 플랫폼 사이에서도 장벽없이 클레이를 활용할 수 있다.<ref>윤희은 기자,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091065881 네이버 '링크체인' vs 카카오 '클레이튼'… 블록체인 플랫폼 전쟁]〉,  《한국경제》 , 2018-09-10</ref> 클레이튼은 초기에 100억 개의 클레이토큰을 기여도에 따라 두 유형의 노드에 분배하고 매년 보상으로 추가 토큰을 발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클레이튼]]에서 연동되는 [[토큰]]은 ‘[[클레이]](Klay)’로, 사용자들은 카카오톡 내 다양한 활동을 통해 클레이(Klay)를 얻어 거래소에서 자유롭게 환전하며 활용할 수 있다.<ref>원재연 기자, 〈[http://decenter.sedaily.com/NewsView/1S4ME6XD3C 카카오의 블록체인 '클레이튼'…한재선 대표 "실생활 서비스 내놓을 것"]〉,  《서울경제》 , 2018-09-13</ref> 클레이튼과 클레이는 무엇이든 만들 수 있는 찰흙(Clay)에서 모티브를 얻어 Clay의 C를 카카오의 K로 바꿔 이름을 정했다.<ref>이동언 기자, 〈[https://tokenpost.kr/article-4073 카카오, 블록체인 플랫폼 '클레이튼' 10월 공개…보상형 코인 '클레이' 발행]〉,  《토큰포스트》 , 2018-09-05</ref> 클레이는 이밖에도 클레이튼 기반의 모든 [[디앱]]에서 [[사이버 머니]]처럼 사용할 수 있고, 상장된 거래소에서 거래도 가능하다. 클레이튼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플랫폼이 등장한다면, [[카카오]] 계열의 플랫폼 사이에서도 장벽없이 클레이를 활용할 수 있다.<ref>윤희은 기자,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091065881 네이버 '링크체인' vs 카카오 '클레이튼'… 블록체인 플랫폼 전쟁]〉,  《한국경제》 , 2018-09-10</ref> 클레이튼은 초기에 100억 개의 클레이토큰을 기여도에 따라 두 유형의 노드에 분배하고 매년 보상으로 추가 토큰을 발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