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임트래블10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32번째 줄: 32번째 줄:
 
[[비트코어]](Bitcore)는 원래 [[비트코인]] 비전이 미래에 대비할 수 있도록 고안된 [[암호화폐]]로, 단일 회사나 개인의 재산이나 사업보다는 공동 제작, 공유, 커뮤니티 상품으로 발전한 [[오픈 소스]] 프로젝트이다. 원래 비트코인의 하이브리드 포크였던 비트코어는 업무 인증 합의 메커니즘을 갖추고 비트코인 [[프로토콜]]의 모든 [[BIP]]를 구현한다. 빈약한 구조와 활동적인 공동체를 통해 필요한 혁신을 구현하는데에 있어서 다른 코인들보다 더 민첩하고, 비트코어 [[블록체인]]에서는 비트코인 블록체인보다 [[세그윗]]이 일찍 활성화되어 번개망과 완벽하게 호환되었다. 또한, Bloom 필터 적용으로 전체 블록체인 [[노드]]를 실행하는 데 필요한 스토리지가 크게 줄어들어 더 많은 개별 사용자가 SPV/라이트 지갑을 통해 비트코어에 참여 할 수 있다.  
 
[[비트코어]](Bitcore)는 원래 [[비트코인]] 비전이 미래에 대비할 수 있도록 고안된 [[암호화폐]]로, 단일 회사나 개인의 재산이나 사업보다는 공동 제작, 공유, 커뮤니티 상품으로 발전한 [[오픈 소스]] 프로젝트이다. 원래 비트코인의 하이브리드 포크였던 비트코어는 업무 인증 합의 메커니즘을 갖추고 비트코인 [[프로토콜]]의 모든 [[BIP]]를 구현한다. 빈약한 구조와 활동적인 공동체를 통해 필요한 혁신을 구현하는데에 있어서 다른 코인들보다 더 민첩하고, 비트코어 [[블록체인]]에서는 비트코인 블록체인보다 [[세그윗]]이 일찍 활성화되어 번개망과 완벽하게 호환되었다. 또한, Bloom 필터 적용으로 전체 블록체인 [[노드]]를 실행하는 데 필요한 스토리지가 크게 줄어들어 더 많은 개별 사용자가 SPV/라이트 지갑을 통해 비트코어에 참여 할 수 있다.  
  
비트코어는 비트코인과 [[페이팔]]보다 빠른 속도를 보여주며, 세그윗의 시기적절한 구현과 기타 설계 결정 덕분에 실질적인 일상 결제 옵션이 될 수 있다. [[라이트닝 네트워크]]에서는 이론적으로 무제한의 오프라인 [[트랜잭션]]을 지원한다. 비트코어의 거래당 약 0.003달러의 낮은 수수료는 일상생활에 훨씬 더 적합하며 소액결제가 가능하게 한다.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시가 총액은 2019년 7월 기준 83억 9천만원으로 379위를 기록하고 있다.
+
비트코어는 비트코인과 [[페이팔]]보다 빠른 속도를 보여주며, 세그윗의 시기적절한 구현과 기타 설계 결정 덕분에 실질적인 일상 결제 옵션이 될 수 있다. [[라이트닝 네트워크]]에서는 이론적으로 무제한의 오프라인 [[트랜잭션]]을 지원한다. 비트코어의 거래당 약 0.003달러의 낮은 수수료는 일상생활에 훨씬 더 적합하며 소액결제가 가능하게 한다.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시가 총액은 2019년 7월 기준 83억 9천만원으로 379위을 기록하고 있다.
  
 
=== 머신코인 ===
 
=== 머신코인 ===
[[머신코인]](Machinecoin)은 2014년에 생성된 [[암호화폐]]이다. [[라이트코인]](Litecoin) 코드를 기반으로 하며 타임트래블이라는 고유 [[알고리즘]]으로 향상되었다. [[인 블록]](in-block) 재 타겟팅을 허용하는 [[워프 드라이브]](Warp Drive)라고 하는 독특한 재 타겟팅 시스템이 있다.<ref>coinguides, 〈[https://coinguides.org/time-travel-coins/ Time Travel (TimeTravel10 | Bitcore) Algorithm, coins, miners and hashrate]〉, 《코인가이드》, 2018-07-21</ref> 머신코인 0.16.0 버전에서 [[네트워크]] 보안, 생태계 안정화 및 [[거버넌스]] 기능과 같은 유용한 기능을 제공하는 [[마스터노드]]를 도입했다.<ref>머신코인 공식 홈페이지 - https://machinecoin.io/</ref> 머신코인 네트워크는 모든 사용자에게 수행하려는 프로젝트에 대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한 제안서를 작성할 기회를 제공한다. [[블록]]당 40%의 작업 증명이 있을 것이며, 채굴된 블록 보상의 45%는 마스터노드로 간다. [[플랫폼]]은 검열뿐만 아니라 중앙 집중식 기관을 제거하여 완전히 탈 중앙화된 암호화폐를 만든다. 머신코인의 즉시 지불 기능은 핵심 0.160. 릴리스 덕분에 [[세그윗]] 및 [[라이트닝 네트워크]]와 호환된다. 플랫폼의 안정적인 사용자는 머신코인 플랫폼에서 사용 중인 분산 네트워크 노드를 만든다. 또한 노드가 항상 작동하도록 마스터노드를 사용할 수 있다.<ref name="크립토킹"> Crypto King, 〈[https://cryptointelhub.com/what-is-machinecoin-mac/ What is Machinecoin (MAC)]〉, 《크립토인텔허브》, 2018-09-26</ref>
+
[[머신코인]](Machinecoin)은 2014년에 생성된 [[암호화폐]]이다. [[라이트코인]](Litecoin) 코드를 기반으로 하며 타임트래블이라는 고유 [[알고리즘]]으로 향상되었다. [[인 블록]](in-block) 재 타겟팅을 허용하는 [[워프 드라이브]](Warp Drive)라고 하는 독특한 재 타겟팅 시스템이 있다.<ref>coinguides, 〈[https://coinguides.org/time-travel-coins/ Time Travel (TimeTravel10 | Bitcore) Algorithm, coins, miners and hashrate]〉, 《코인가이드》, 2018-07-21</ref> 머신코인 0.16.0 버전에서 [[네트워크]] 보안, 생태계 안정화 및 [[거버넌스]] 기능과 같은 유용한 기능을 제공하는 [[마스터노드]]를 도입했다.<ref>머신코인 공식 홈페이지 - https://machinecoin.io/</ref> 머신코인 네트워크는 모든 사용자에게 수행하려는 프로젝트에 대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한 제안서를 작성할 기회를 제공한다. [[블록]]당 40%의 작업 증명이 있을 것이며, 채굴된 블록 보상의 45%는 마스터노드로 간다. [[플랫폼]]은 검열뿐만 아니라 중앙 집중식 기관을 제거하여 완전히 탈 중앙화된 암호화폐를 만든다. 머신코인의 즉시 지불 기능은 핵심 0.160. 릴리스 덕분에 [[세그윗]] 및 [[라이트닝 네트워크]]와 호환된다. 플랫폼의 안정적인 사용자는 머신코인 플랫폼에서 사용 중인 분산 네트워크 노드를 만든다. 또한 노드가 항상 작동하도록 마스터노드를 사용할 수 있다.<ref>Crypto King, 〈[https://cryptointelhub.com/what-is-machinecoin-mac/ What is Machinecoin (MAC)]〉, 《크립토인텔허브》, 2018-09-26</ref>
  
 
=== 엑소시스 ===
 
=== 엑소시스 ===
[[엑소시스]](Exosis)는 [[암호화폐]]를 이용한 분산화된 다기능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분산형 암호화폐 거래소]], 분산형 전자상거래 사이트, OTC(장외시장) 플랫폼, 다중 플랫폼 전자지갑, 가상의 [[마스터노드]] 등 다섯 가지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 서비스를 제공한다. 모든 서비스는 엑소시스 [[토큰]]을 제공한다. 엑소시스는 [[메인넷]]을 개발할 때 [[C++]]을 사용했다. 엑소시스 분산형 거래소에서 [[EXO]] 토큰을 사용하여 거래하면 거래 수수료를 할인받을 수 있다.<ref name="크립토킹"></ref> 엑소시스는 [[PoW]] 합의와 함께 타임트래블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수행한다.<ref>〈[https://cryptorival.com/coins/exosis/ Exosis (EXO)]〉, 《크립토라이벌》</ref>
+
[[엑소시스]](Exosis)는 [[암호화폐]]를 이용한 분산화된 다기능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분산형 암호화폐 거래소]], 분산형 전자상거래 사이트, OTC(장외시장) 플랫폼, 다중 플랫폼 전자지갑, 가상의 [[마스터노드]] 등 다섯 가지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 서비스를 제공한다. 모든 서비스는 엑소시스 [[토큰]]을 제공한다. 엑소시스는 [[메인넷]]을 개발할 때 [[C++]]을 사용했다. 엑소시스 분산형 거래소에서 [[EXO]] 토큰을 사용하여 거래하면 거래 수수료를 할인받을 수 있다.<ref>Crypto King, 〈[https://cryptointelhub.com/what-is-machinecoin-mac/ What is Machinecoin (MAC)]〉, 《크립토인텔허브》, 2018-09-26</ref> 엑소시스는 [[PoW]] 합의와 함께 타임트래블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수행한다.<ref>〈[https://cryptorival.com/coins/exosis/ Exosis (EXO)]〉, 《크립토라이벌》</ref>
  
 
{{각주}}
 
{{각주}}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