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배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66번째 줄: 66번째 줄:
 
한국내 로봇시장은 제조업용 위주로 형성돼 있으며, 배송 로봇은 시장 형성 초기단계에 머무르고 있다. 드론 택배도 시범운영 단계다. 2019년 한국 로봇 출하액(내수+수출)의 절반 이상은 제조업용 로봇이 차지했으며, 배송 로봇이 포함된 전문서비스 로봇 분야는 6.3%에 그쳤다. 한국 기업의 배송로봇 개발은 규제 샌드박스를 활용한 실증 테스트 단계에 머무르는 수준이다. 드론의 경우 한국내 신고대수는 2020년 6월 기준 1만3234대로 2015년 921대에서 두 배 이상 늘어났으나 농업, 측량·탐사, 콘텐츠(방송) 제작 분야에 주로 활용되는 추세다. 드론 택배는 2017년 우정사업본부가 전남 고흥에서 득량도까지 우편을 시험 배송한 이후 성과가 없다가 최근 사업 상용화에 진전을 보이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2021년 4월 ㈜해양드론기술에 경량물품을 대상으로 부산 남외항~선박 구간 화물 드론 배송사업을 승인했으며, 8월에는 세종시 내 도미노피자에 피자 드론배달 서비스 '도미에어' 운영을 승인했다.
 
한국내 로봇시장은 제조업용 위주로 형성돼 있으며, 배송 로봇은 시장 형성 초기단계에 머무르고 있다. 드론 택배도 시범운영 단계다. 2019년 한국 로봇 출하액(내수+수출)의 절반 이상은 제조업용 로봇이 차지했으며, 배송 로봇이 포함된 전문서비스 로봇 분야는 6.3%에 그쳤다. 한국 기업의 배송로봇 개발은 규제 샌드박스를 활용한 실증 테스트 단계에 머무르는 수준이다. 드론의 경우 한국내 신고대수는 2020년 6월 기준 1만3234대로 2015년 921대에서 두 배 이상 늘어났으나 농업, 측량·탐사, 콘텐츠(방송) 제작 분야에 주로 활용되는 추세다. 드론 택배는 2017년 우정사업본부가 전남 고흥에서 득량도까지 우편을 시험 배송한 이후 성과가 없다가 최근 사업 상용화에 진전을 보이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2021년 4월 ㈜해양드론기술에 경량물품을 대상으로 부산 남외항~선박 구간 화물 드론 배송사업을 승인했으며, 8월에는 세종시 내 도미노피자에 피자 드론배달 서비스 '도미에어' 운영을 승인했다.
  
배송 로봇, 택배 드론의 상용화를 앞당기기 위해서는 인간과 로봇의 역할 분담, 안전성 제고, 사고 시 책임소재 등 규제 개선 및 법 개정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상황이다.<ref> 민유정 기자, 〈[https://www.weeklytrade.co.kr/news/view.html?smode=&skey=%B6%B0%BF%C0%B8%A3%B4%C2+%B7%CE%BA%BF%A1%A4%B5%E5%B7%D0+%B9%E8%BC%DB%BD%C3%C0%E5%A1%A6+%A1%B0%C7%D1%B1%B9%2C+%B0%E6%C0%EF%B7%C2+%C5%B0%BF%F6%BE%DF%A1%B1&x=30&y=7&section=1&category=3&no=75619 떠오르는 로봇·드론 배송시장… “한국, 경쟁력 키워야”]〉, 《한국무역신문》,  2021-09-10 </ref>
+
배송 로봇, 택배 드론의 상용화를 앞당기기 위해서는 인간과 로봇의 역할 분담, 안전성 제고, 사고 시 책임소재 등 규제 개선 및 법 개정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상황이다.<ref> 민유정 기자 〈[https://www.weeklytrade.co.kr/news/view.html?smode=&skey=%B6%B0%BF%C0%B8%A3%B4%C2+%B7%CE%BA%BF%A1%A4%B5%E5%B7%D0+%B9%E8%BC%DB%BD%C3%C0%E5%A1%A6+%A1%B0%C7%D1%B1%B9%2C+%B0%E6%C0%EF%B7%C2+%C5%B0%BF%F6%BE%DF%A1%B1&x=30&y=7&section=1&category=3&no=75619 떠오르는 로봇·드론 배송시장… “한국, 경쟁력 키워야”]〉, 《한국무역신문》,  2021-09-10 </ref>
  
 
{{각주}}
 
{{각주}}
77번째 줄: 77번째 줄:
 
*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2288281&memberNo=42666250&vType=VERTICAL 물류가 생활서비스로 자리잡기까지... ‘물류의 역사’]〉, 《네이버 포스트》,  2021-09-29
 
*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2288281&memberNo=42666250&vType=VERTICAL 물류가 생활서비스로 자리잡기까지... ‘물류의 역사’]〉, 《네이버 포스트》,  2021-09-29
 
* 〈[http://www.kl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7526 택배서비스의 특징...1]〉, 《물류신문》,  2000-04-21
 
* 〈[http://www.kl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7526 택배서비스의 특징...1]〉, 《물류신문》,  2000-04-21
* 민유정 기자, 〈[https://www.weeklytrade.co.kr/news/view.html?smode=&skey=%B6%B0%BF%C0%B8%A3%B4%C2+%B7%CE%BA%BF%A1%A4%B5%E5%B7%D0+%B9%E8%BC%DB%BD%C3%C0%E5%A1%A6+%A1%B0%C7%D1%B1%B9%2C+%B0%E6%C0%EF%B7%C2+%C5%B0%BF%F6%BE%DF%A1%B1&x=30&y=7&section=1&category=3&no=75619 떠오르는 로봇·드론 배송시장… “한국, 경쟁력 키워야”]〉, 《한국무역신문》,  2021-09-10
+
* 민유정 기자 〈[https://www.weeklytrade.co.kr/news/view.html?smode=&skey=%B6%B0%BF%C0%B8%A3%B4%C2+%B7%CE%BA%BF%A1%A4%B5%E5%B7%D0+%B9%E8%BC%DB%BD%C3%C0%E5%A1%A6+%A1%B0%C7%D1%B1%B9%2C+%B0%E6%C0%EF%B7%C2+%C5%B0%BF%F6%BE%DF%A1%B1&x=30&y=7&section=1&category=3&no=75619 떠오르는 로봇·드론 배송시장… “한국, 경쟁력 키워야”]〉, 《한국무역신문》,  2021-09-10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